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름다운 제주 추억

꺾은붓 조회수 : 818
작성일 : 2018-07-10 12:43:16

                  아름다운 제주 추억

 

  필자는 한전재직시절(1992~3) 20개월간 한전제주지사에서 근무한 제주의 추억이 있습니다.

  한전은 입사해서 일정년도가 지나면 초급간부(당시는 ‘과장’, 현재는 ‘차장’으로 부름)로 승진 하는 아주 공정한 시험을 통하여 승진이 되고, 그 다음단계의 승진부터는 누구의 손금이 먼저 달아 없어지느냐에 따라 승진이 빨리 되기도 하고 늦어지기도 하며, 나와 같이 365일 손금이 또렷한 사람은 과장으로 정년을 마치며, 과장이 된 후 12년이 되도록 차 상위 직으로 승진을 못 하면 “순환근무”라는 제도가 있어 무능한 죗값으로 자신의 연고지(필자는 서울)를 떠나 타 지방으로 전근을 가야 합니다.

  그래서 기왕 타지방으로 귀양살이를 갈 것이라면 좋아하는 바다낚시나 돈 안 들이고 실컷 해 보자는 욕심으로 제주도를 지원해서 낯 설고 물 선 제주 귀양살이를 하였습니다.

 

  1. %&^%&% !

  제주에 가서 얼마 안 되는 토요일 오후 낚시가방을 들러 메고 사택에서 5분 거리에 있는 낚시터로 허겁지겁 달려가는데 자그마한 움막집 앞 좁은 마당에서 웬 할머니 한 분이 노기 띤 눈에 삿대질을 해대며 필자를 향하여 무슨 욕을 격하게 해대고 있었다.

  영문도 모르고 욕을 먹고 낚시터에 도착해서 낚싯대를 펴니 먼저와 있던 동년배또래인 사람이 “육지에서 오셨습니까?” 하고 물어서 그렇다고 했더니 “저 할머니가 당신보고 뭐라 했는지 아십니까?”하고 또 물어서 내가 “영어보다도 더 어려운 제주도 원토사투리를 제가 어찌 알아 듣겠습니까?, 제가 잘 못 한 것도 없는 데 왜 저를 보고 화를 내시는지 모르겠습니다.”하고 대답을 했더니 그 남성이 하는 말이 저 할머님이 당신보고 한 말은 “대갈빼기 피도 안 마른 새파란 자식이 남의 늙은 이것 공짜로 보려고 든다.”는 말씀이었고,저 작은 움막이 해녀들이 물질을 하고 와서 옷을 갈아입는 탈의실이라 남성들은 절대로 저 앞길로 다니면 안 되는 것이 라고 친절하게 가르쳐 주었다.


  아차- 내가 큰 실수를 했구나!

  욕 얻어먹을 짓을 했구나!

  하지만 욕만 실컷 얻어먹었지 공짜로 보지는 못 했습니다.

 

  2. 기상천외한 제주 게 잡이

  필자가 어려서 할머니 따라 고향(충남 당진 송악)의 한진 갯벌에 가서 게를 잡을 때는 갯벌 게 구멍에 팔뚝을 쑤셔 밖아 손가락을 무는 게를 손으로 움켜잡아 올렸습니다.

  하루는 제주해변 검은 자갈밭에서 낚시를 하는데 영 입질을 하지 않아 하염없이 서울 쪽 하늘만 바라보면서 마누라와 애들 생각에 잠겨있는데 웬 더벅머리가 큰 깡통을 하나 들고 내 옆으로 다가 오더니 자갈밭에 직경이 2미터 정도 되는 원을 대충 그리고 그 원 안의 검은 돌멩이를 돌아가면서 바깥쪽으로 계속 집어 던지고 있었다.

  내가 무얼 하는 것이냐고 물으니 더벅머리가 게를 잡는다고 대답을 하였다.

 

  한참을 바라보고 있으려니 개 잡는 방법이 곧 이해가 되었다.

원 안의 돌을 계속 바깥으로 집어 던져 원이 점점 줄어들며 게들이 점점 안쪽으로 모여들었다.

  낚시도 안 되고 나도 돌 집어 던지는 것을 거들어 주었다.

원이 줄어들다 마지막으로 큰 돌 몇 개 남자 게들이 몽땅 그 돌에 올라타고 게 덩어리를 이루고 있었다.

  더벅머리가 양손으로 돌을 깡통위로 가져가서 손으로 쓸어내리니 게들이 몽땅 깡통 속으로 떨어졌다.

  직경 2미터의 원 안에 있던 게들은 그야 말로 100%, 일망타진이었다.

 

  제주해변은 제주도라는 하나의 큰 바위덩어리 위에 아주 일부에는 모래사장(함덕해수욕장 등)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는 검은 절벽이나 자갈밭을 이루고 있습니다.

육지의 갯벌 게보다 제주 돌 틈의 게는 훨씬 작고, 육지 게가 옅은 회색 일색인데 반하여 제주 게는 검은 색 바탕에 붉고 노란 점이 듬성듬성 찍혀있습니다. 좁은 돌 틈을 비집고 살려니 몸집이 작고 색상도 갯벌 자갈 색깔과 비슷하게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여 오늘의 게가 되었을 것입니다.


  아- 자연의 오묘함이라니!

 

  3. 고달픈 삶의 신음소리

  갯바위나 자갈밭에서 바닷물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으면 어떤 때는 그 앞에서 해녀 몇 분이 자맥질을 하며 물질을 할 때가 있다.

  그런데 물질을 하던 해녀가 물 위로 올라오는 순간 “휙- 휙-” 휘파람을 불어대었습니다.

  그래서 속으로 물 위로 올라오면 휘파람을 불어 해녀 상호간에 저렇게 연락을 주고받는구나! 하고 생각하며 다음날 회사에 나가 그 얘기를 했더니 제주가 고향인 직원이 깔깔대며 그게 신호를 하는 휘파람 소리가 아니라 숨소리하고 했다.

  그러면서 덧붙이는 설명이 2~3분간 숨을 쉬지 않고 물질을 하고 물위로 올라와서 숨을 쉬면 한 참 동안 숨 쉬는 소리가 그런 휘파람 소리 같은 소리가 난다고 하였다.

  그것은 숨소리도 휘파람 소리도 아닌, 고달픈 삶이 자연스럽게 토해내는 신음소리였습니다.

 

  4. 비바리

  제주직원들과 얘기를 나누다 혹시 “비바리”라는 호칭이 여성을 얕잡아 보거나 깔보는 호칭이 아니냐고 물었더니, 제주직원 모두가 펄쩍 뛰며 육지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는 것 같은데, 제주에서 여성을 “비바리”라고 부르는 것은 절대로 욕이나 얕잡아 보는 그런 호칭이 아닌 아주 정감어린 부름이고, 여성은 나이에 관계없이 비바리라고 불러도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제주에서 가장 심한 욕은 바로 “몽골새끼?”라고 일러주었다.

  고려시대 고려가 원나라의 침략을 받다 강화도로 왕실이 피난 겸 천도를 하여 43년인가를 버텼고, 더 이상은 버틸 수가 없어 왕실은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는 뒷 협상을 하여 개경으로 돌아갔고 원에 항복하는 것을 마다한 삼별초군은 끝까지 항쟁할 것을 고집하며 진도로 쫓겨 가서 대몽항쟁을 하다 다시 제주도로 건너가서 항쟁을 하다 끝내는 여몽연합군에 제주가 함락되고 삼별초군은 모두다 항복을 하지 않고 옥쇄를 하였다.


  우리의 3.1만세혁명, 만주벌판의 처절했던 독립투쟁, 4,19혁명과 광주민주화 운동 등의 효시가 삼별초 항쟁은 아닌지?

  그러니 제주를 평정한 몽골군이 제주도민에 대한 박해가 얼마나 심했겠으며, 제주여성들을 얼마나 겁탈을 하였겠나?

  그 역사적 아픈 앙금과 흔적이 남아 지금도 제주에서는 ‘몽골새끼’가 가장 심한 욕으로 전해진다는 것이다.

 

  5. 잡는 놈 따로, 먹는 놈 따로

  제주는 7월말부터 한치 낚시가 시작된다.

  한치는 비교적 깊은 곳에서 몰려있어 바닷가의 수심이 얕은 돌밭에서는 낚시가 잘 되지를 않고 수심이 깊은 절벽 같은데서 낚시를 해야 한치 얼굴이라도 볼 수가 있다.

  바닷가에서 그런 조건을 갖춘 데가 바로 한전의 사택 옆에 있는 북제주화력발전소 구내 연료를 싣고 온 선박을 대는 부두(‘물양장’이라고 불렀음)이다.

  그러니 물양장은 일반인들은 출입이 안 되어 침만 삼킬 뿐이고, 한전직원이나 힘 있는 기관(경찰, 당시 안기부 등)사람들의 단골 낚시터이다.

 

  저녁을 먹고 사택에서 나와 같이 객지 홀아비 생활을 하는 직원 몇이 소주병과 초간장통을 차고 물양장에서 한치낚시를 하며 홀아비시름을 달랜다.

  헌대 낚시도구를 갖고 있는 낚시꾼은 나 한사람뿐이고 다른 사람들은 바람잡이다.

  나는 열심히 건져 올리면 한치는 그 순간에 누구의 배로 들어갔는지 눈 깜짝 할 사이에 사라진다.

  나는 열심히 건져 올리고, 바람잡이들은 열심히 입속에 집어넣고

 

  글을 웬만큼 표현하는 나도 갓 잡아 올린 한치맛을 고대로 표현할 수 없다.

  횟집에서 냉동한치나 수족관에서 건져 올린 눈동자가 허옇게 풀린 한치 맛하고는 하늘과 땅 차이다.

  모든 생선회도 그렇지만 한치는 잡아 올린 그 자리에서 그 바닷물에 헹구어 살아있는 살을 먹을 때가 최고의 맛을 낸다.


  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를 정도가 아니라, 내가 먹다 내가 죽어도 모를 정도로 맛이 있다.

 

 

     <아- 아름다운 제주>

  한라산 자락에 걸린 구름 한 조각

  발 뿌리에 차이는 돌멩이 하나

  돌 틈에서 뾰족이 내민 이름 모를 풀 한 포기

  귓가를 스치는 스산한 바람소리

  코끝에 와 닺는 비릿한 바다-ㅅ 내음

  그 모두가 아름답다.

  제주에는 아름답지 않은 것이라고는 없다.

IP : 119.149.xxx.96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7.10 2:10 PM (221.138.xxx.73)

    이런 글은 어디서 퍼오셨는지~ 잔잔한 수필같네요.
    글도 담백하고 제주의 풍경과 사람이야기가 어우러진 좋은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

  • 2. 꺾은붓
    '18.7.10 3:38 PM (119.149.xxx.96)

    댓글 달아 주신 것은 감사한데 퍼오다니요!
    나는 죽으면 죽었지 남의 글 퍼오는 성격도 아니고, 나이도 있고 해서 남의 글 퍼다 옮기는 재주도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7992 밑에 친형제 부조금 글보고 씁니다 22 ... 2018/08/27 13,237
847991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소설이나 영화 보신 분 어떠셨어요? 29 갑자기 생각.. 2018/08/27 2,578
847990 전세집에서 인덕션 쓰다가 나중에 가져갈 수 있나요? 2 동생 2018/08/27 2,619
847989 개식용 주장하는 사람과의 토론 ㅠ 34 토론 2018/08/27 1,136
847988 물걸레 청소기 추천 부탁드려요~~ 8 2018/08/27 2,296
847987 동네 맘들하고의관계 글 읽다보니궁금.. 1 쵸코파이 2018/08/27 1,874
847986 강아지 심장전문병원좀 추천해주세요 3 .. 2018/08/27 1,244
847985 얼굴에 바르면 화...하고 시원한 팩? 로션? 뭔지 아시는 분... 3 화장품 2018/08/27 511
847984 초등학생 바디워시,샴푸,로션 어떤 제품 사용하시나요? 3 ... 2018/08/27 2,399
847983 일본 여자들은 살찐사람이 없는것같아요 15 ㅇㅇ 2018/08/27 6,424
847982 골반옆 군살에 효과적인 체조는? 스트레칭 좀 알려주세요~~ 5 2018/08/27 2,128
847981 문프께서 이번에도 결정을 참 잘하신 것 같습니다. 5 아마 2018/08/27 1,172
847980 2014년 기사)“내 딸을 성폭행?”…아버지가 용의자 살해 3 ..... 2018/08/27 3,410
847979 혼자 되신 시아버지 어떻게 해야할까요 13 ... 2018/08/27 7,008
847978 8-90년대 가요 제목 아시는분 5 ㅌㅌ 2018/08/27 811
847977 당원이 당에 청원보냈는데 쓰지도 않은 집주소로 다시 왔대요 3 ... 2018/08/27 489
847976 기질적으로 예민한 아이에게 도움되는 영양제 있나요? 4 주부 2018/08/27 1,469
847975 압구정 본누벨 근처에 있는 농수산물 마트 아시는 분 3 마트 2018/08/27 501
847974 사는 동네에 문방구 있나요? 6 사는 2018/08/27 959
847973 피부 어두운 분들 화장품 어떤거 쓰시나요? ... 2018/08/27 751
847972 5kg 감량 후 알게 된 것. 25 ... 2018/08/27 25,926
847971 출생률이 0%여도 여성들은 아쉬울 게 없죠. 26 oo 2018/08/27 3,168
847970 호식이 두마리 치킨집은 몇시에 열어요? 6 23 2018/08/27 1,091
847969 열무물김치가 너무 맛있게 됐는데 2 너머 2018/08/27 1,628
847968 이번주 동행 10살 남자아이 보셨나요???? 19 대박 2018/08/27 4,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