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이태 박사, 그의 지난 10년

window 조회수 : 991
작성일 : 2018-07-05 22:58:59
https://www.youtube.com/watch?v=xceRp6kpS2A
(JTBC) 10년 전 '대재앙' 경고했던 김이태 박사…"후폭풍 거셌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570970.html#csidxba9a7c785cdab74add... [곽병찬.. 칼럼] 김이태 연구원, 별은 빛나는가]

 

등록 : 2013.01.23 19:19

 

 

곽병찬 논설위원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가야만 하는 길의 좌표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별빛이 그 길을 환히 밝혀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시대의 하늘에 먹장구름이 드리울 때마다 떠오르곤 하는 죄르지 루카치의 한마디다.

 

“저는 국토해양부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사이비 과학자입니다. 매우 소심하고 마음 약한 사람입니다.” 이렇게 운을 뗀 그의 양심선언은 과연 시작부터 소심했다. “이 얘기를 올리는 것만으로도 보안각서 위반이기 때문에 불이익과 법적 조처, 국가연구개발사업 자격이 박탈될 것입니다.” 그런 그가 용기를 냈던 것은 “국토의 대재앙을 막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그리고 “아들딸 보기 부끄러운 아빠가 되지 않기 위해서”였다. “제대로 된 전문가라면 (4대강 정비사업으로 포장된) 운하 건설로 인한 대재앙은 상식적으로 명확하게 예측됩니다.”

 

그 선언은 어둠 속 별이 되었다. 하지만 루카치의 말처럼 그는 홀로 된 영혼이었고, “(그는) 천상의 별을 형제로 가질 수 있지만, 지상의 동반자를 가질 순 없”었다. 화가 반 고흐가 그랬고, 시인 윤동주가 그랬다. 생레미 요양원에서 그린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별마저 고독과 불안에 떨고 있다. 윤동주는 그 높고 크고 거룩한 뜻으로 말미암아 그가 헤던 별처럼 더욱 고독해야 했다.

 

그는 차단되고 그에게는 협박과 정신적 테러가 이어졌다. 국정원 조사까지 받은 것은 약과였고, 중징계(정직 3개월)는 시작이었다. 인사평가 최하위의 굴욕이나 연구과제에서의 배제 역시 버틸 만했다. 하지만 사랑하는 동료들을 팔아 궁지로 몰아넣는 상급자의 저주는 그의 가슴을 후벼팠다. 그들은 심지어 대운하 양심선언이 잘못된 생각에서 나온 판단이라는 해명서를 게시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영혼을 저잣거리에 버리라는 것이었다. 사퇴 압박이 뒤따랐지만, 파면당할지언정 사직은 하지 않겠다고 버텼다. 그의 동료들을 들들 볶는 것은 더 비열했다. 징계를 위한 인사위원회 개최를 막았다고, 심지어 노조 창립 기념식을 천안함 추모 기간에 열었다는 이유까지 들어가며 노동조합 지부장을 파면하고 사무국장을 중징계 처분 하기도 했다. 법원 판결로 무효가 되긴 했지만, 그를 보호하려던 노조 조합원들은 승진·전보 등 인사상의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그 결과 92%에 이르렀던 노조 가입률은 불과 2년여 만에 18% 정도로 떨어지기도 했다.

 

그의 곁에 노조가 있고, 누리집엔 김이태 지키기 카페도 등장했지만, 홀로 정권에 맞선 데 대한 책임은 온전히 그의 몫이었다. 그의 아내는 이런 글을 누리집에 올렸다. “일을 시작하고부터… 헛소리에 밥 먹는 것도… 거부. 밤마다 헛소리하는 남편의 잠꼬대 소리로… 가슴이 철렁. 이후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남자.” 일하다가 맨홀 뚜껑에 엄지발가락 윗부분이 절단되어 목발을 짚고 다녀야 했는데도 산재 처리도 못했던 그 남자는, 어느 겨울날 거리를 헤매는 치매 노인을 집으로 모셔와 한 이불 덮고 잤던 인물이었다. 그 누이가 카페 회원들에게 ‘벌벌 떨리는 손으로 쓴 감사의 글’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가족도 겁이 나서 오빠에게 제대로 연락도 못하고 인터넷에 지지 글이나 서명도 못했습니다.”

 

계몽은 집단적 욕망 앞에서 빛을 잃고, 이성은 권력의 발바닥이나 핥고, 영혼은 누더기가 되어 버려졌던 시절, 온통 먹구름이 하늘을 가렸지만, 그의 양심은 별이 되어 가야 할 길, 갈 수 있는 길을 일러줬다. 그는 수난을 당했지만, 가슴만 끓이던 이들은 그 마음에 별과 양심의 기억을 하나씩 간직할 수 있었다. 엊그제 정권 이행 과정에서야 감사원이 돌연 4대강 사업의 재앙의 가능성을 인정했다. 흘러가는 먹장구름 사이로 문득 별빛 하나 천강을 밝힌 것이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창공의 먹구름이 걷힌 것은 아니다. 차기 정권은 더 크고 짙은 먹구름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별빛이 가려질 뿐, 별은 사라지지 않는다. 빛나는 양심 또한 그렇다. 김 연구원, 안녕하신가. 별은 빛나는가?

 

곽병찬 논설위원 chankb@hani.co.kr







IP : 72.80.xxx.15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7.5 11:03 PM (72.80.xxx.152)

    당시 정권에 붙어선 학자들도 있지만
    알고도 입다문 많은 학자들에게
    영광과 번영이 있으라고
    비꼬고 싶다.

  • 2. 역사에 길이 남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18.7.5 11:34 PM (175.117.xxx.164)

    이런 양심 바른 분. 길이길이 칭송해야 미래가 밝다고 봅니다.

  • 3. ...
    '18.7.6 10:46 AM (219.248.xxx.200)

    박정희 유신때는 유신반대가 민주화운동
    이명박근혜 때는 불의를 참지 않는게 민주화운동 입니다.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1273 영화 서치보신 분들께 여쭤봅니다. 4 ... 2018/09/05 1,778
851272 세상에서 젤 힘나는건... 5 엄마 2018/09/05 1,793
851271 이젠 51살 밖에 안된 사촌오빠가 하늘나라에 갔대요..ㅠㅠ 5 ... 2018/09/05 7,869
851270 제가 본 82에서 웃겼던 댓글 14 ㅋㅋㅋ 2018/09/05 4,490
851269 청와대 로고 현수막에 이어 명함까지.. 13 음? 2018/09/05 955
851268 (청원)삼성의 입장을 대변해준 법무부 직원? 9 ㅇㅇ 2018/09/05 407
851267 오븐 돌려서 고구마말랭이 만들었는데.. 4 ㅇㅇ 2018/09/05 1,675
851266 작년에 꼭지라고 집팔고 더오르자 정부 욕하네요. 12 ... 2018/09/05 1,792
851265 장하성이 강남집값은 잡을생각 없고 잡을이유도 없다네요 ㅎㅎ.. 38 ㅇㅇ 2018/09/05 3,458
851264 키크고 허리길고 힙 없고 ㅡ 옷입기 팁 어떻게 2 2018/09/05 1,294
851263 오후의 발견 김현철입니다. 13 2018/09/05 2,298
851262 피아노) 7세 딸아이를 바이엘까지 직접 가르쳐도 될까요? 13 7세 엄마 2018/09/05 2,557
851261 혹시 부동산 이런 시나리오? 22 2018/09/05 3,806
851260 밥좀 한번에 먹었으면. 4 내 일이지만.. 2018/09/05 1,515
851259 몸이 안 좋으신 부모님께 로봇청소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결정장애 2018/09/05 1,909
851258 이정렬 변호사는 속히 입장을 밝혀라... 8 marco 2018/09/05 937
851257 카드 마그네슘이 고장나서 안돼요. 12 ........ 2018/09/05 4,164
851256 중3 아들이 검정 면티만 입네요 28 중딩 2018/09/05 4,017
851255 24주년 생일날 태풍 직격탄 맞은 간사이 공항..관광·물류에 빨.. ..... 2018/09/05 554
851254 고1 하교시간이 몇시인가요? 5 ........ 2018/09/05 1,744
851253 집 때문에 너무 고통스러운 무주택자인데 67 84 2018/09/05 7,207
851252 최강욱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 내정 15 .. 2018/09/05 1,681
851251 근데 서동주 초영재급 아닌가요? 11 .... 2018/09/05 6,325
851250 청와대 로고 박은 현수막 근황 25 2018/09/05 1,794
851249 정세현 장관 '북미수교는 중국이 싫어한다? 큰 그림을 봐야지!'.. 기레기아웃 2018/09/05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