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 문재인이 예멘난민(?)을 용납하는 이유

.... 조회수 : 2,889
작성일 : 2018-07-05 01:12:13
출처: https://plus.google.com/u/0/113170722633699493559/posts/b6EKh87y12c?cfem=1

예멘 침략 전쟁을 일으킨 것은 사우디였다. 
사우디 살만 국왕의 아들인 무함마드 빈 살만 (MBS)은 자신의 통치 능력을 인정받고 왕위를 승계받기 위해서 이 전쟁을 벌였고 주도했다. (2015년 3월 ) 하지만 쉽게 끝날듯 보였던 이 전쟁은 게릴라전에 유리한 예멘의 험준한 지형과 그에 특화된 후티군의 활약으로 장기전으로 빠져들며 사실상 실패하게 된다. 

 이후 MBS는 트럼프의 사위인 쿠슈너를 통해 왕위 계승을 위한 궁정 쿠데타를 지원받고 성공시켜 예멘 전쟁의 실패에도 아버지 살만 국왕의 왕권을 이어받는 왕세자가 된다. (2017년.6월 왕세자 빈 나예프 제거) MBS는 이로써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것으로도 알려지는 아버지 살만 국왕을 잇는 실질적인 실권자가 됐지만 예멘 전쟁은 끝내지 않았다. 

 그리고 여기엔 몇 가지 큰 이유가 있다. 
 첫째는 사우디의 입장에서 볼때 자신과 인접한 국가인 예멘이 자국을 위협하는 잠재적인 경쟁 국가(즉 적대국)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는 어떤 측면에서 본다면 우리가 일본의 성장을 우려하고 (임진왜란이나 일제 식민지배 등의 상황 재현) 반대로 일본이 우리의 성장을 우려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사우드가의 입장에선 잠재적 경쟁자가 될지 모르는 예멘의 안정과 발전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단기전에 실패했지만 예멘을 석기시대로 되돌리는 초토화 전략 즉 영구 전쟁의 카오스적 혼란을 만들려는 것이다. 모든 것을 전부 파괴해버리는 것이다. 아무도 살지 않은 잡초도 없는 지역으로 말이다. 이것이 사우디가 예멘을 침략한 가장 본질적인 이유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쟁을 미 전쟁파들의 세계 지배의 전략과 맞닿아있다. 그들의 방식이 바로 그들의 사상적 스승이라는 레오 스트라우스가 말하는 영구 전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이 펜타곤의 새로운 세계 지도가 된다. (토마스 바넷) 유사한 방식으로 이스라엘의 전쟁파 정당인 리쿠드당이 팔레스타인이 사는 가자 지구를 석기시대로 돌리려고 한다. 같은 이유며 목적에서 이다. 물론 사우디가 이런 목적만 가지고 예멘을 침략한 것은 아니다. 

예멘은 지정학적으로 수에즈 운하의 길목으로 동서 무역의 핵심적인 관문이 된다. 또한 건너편 아프리카 뿔 지역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가 된다. 아프라카 자원을 약탈하는데 (특히 석유나 천연가스) 예멘이 중요한 거점이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MB정권에서 한국과 군사 동맹을 맺어버린 UAE가 예멘 남부의 항구인 아덴항을 처먹기 위해 예멘 전쟁에 사우디의 연합군에 참여하며 함께 뛰어든 것이다. 그리고 한국이 이 연합군의 군사 훈련과 무기 등을 지원해준 것이다. 심지어 이것을 알고 있는 문정부도 이를 폐기하지 않고 역시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한국이 예멘 침략 전쟁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게 만든 것이다. 

한국은 MH 정권에선 부시의 이라크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부시와 블레어 등이 침략 분열시킨 이라크 북부의 쿠르드 자치 지역을 지켜주기 위해서 (이스라엘의 똘마니인 바르자니를 보호해주기 위해) 군대를 파병하기도 했었다. 한국은 이라크 전쟁에서도 이렇게 제국주의에 협력해줬었다. 아무튼 그리고 또한 예멘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사우디와의 접경 지역에 대규모의 유전 지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석유 수송로와 관련한 이권도 존재한다. 이는 사우디의 적대국인 이란이 장악한 호르무즈 해협을 우회하는 노선이 될 것이다. 이쯤이면 왜 사우디가 예멘을 그렇게나 처먹고 싶어한 것이며 그래서 침략한 것인지 충분한 이유가 설명될 것이다. 

 예멘은 사실 2015년 3월 사우디가 침략하기 이전 영미프가 일으킨 2010년 말의 아랍의 봄에 의해 살레 정권이 전복 당하며 이미 내전에 돌입된 상태였다. 그리고 당시 살레 정권을 전복한 세력은 지금의 IS가 아닌 사우디가 지원하는 알카에다 세력이었다. (알카에다 아라비아 지부 AQAP) 이들은 사우디가 지원하는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인 알 누스라 전선과 같은 세력이다. 이 세력을 통해서 영미와 사우디는 민족주의적이며 세속주의 정권이었던 살레 정권을 전복해버렸다.(2012년 합의에 의해 퇴임 이후 17년 피살됨)
메나 지역에 이슬람 정권을 세우려는 그 계획에 따라서. 이후 살레 퇴임 뒤 사우디의 지원을 정권을 잡았던 하디 전 대통령(사우디의 꼭두각시)과 시아파 후티 세력 간엔 대립이 생기며 내전이 시작되게 된다. 여기에 퇴임 후에도 아직 예멘의 군대에 실제 영향력을 가졌던 살레 전 대통령이 후티와 손을 잡으며 복잡한 이해 관계의 내전이 생기게 된 것이다. 이 상황에서 2015년 1월 사우디 전 국왕이었던 압둘라 국왕이 사망하고 지금의 국왕인 살만이 정권을 잡으면서 그 아들인 MBS가 예멘 침략 전쟁을 시작하게 된다. 이것이 예멘 전쟁의 역사다. 

이런 예멘에서 한국으로 수백 명이 난민 신청을 한 것이다. 그런데 그들은 전쟁 중인 예멘에서 사실상 죽음의 고통을 당하고 있을 (실제 수백만명이 굶주림과 전염성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주민들의 모습과는 완전 딴판의 행색을 한 부유한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난민의 고통받는 사람이라며 정부와 한경오 등의 적극 그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우기고 있다. 아마 그들은 예멘에서 전쟁으로 고통받고 있을 그들이 볼때는 매국노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닐 것이다. 물론 그들이 진짜 예멘인인지조차도 의심스럽지만. 

유럽엔 수많은 시리아 난민들이 유입됐었다. 그런데 실제 그들이 시리아 국민인지 확인할 방법이 전무했다. 
 왜? 시리아와의 외교 관계도 단절됐고 전쟁 중인 시리아 정부가 자국의 국민이란 것을 증명해줄 수도 없었기 때문이다. 
즉 단돈 몇십달러면 시리아 여권이나 신분증을 위조해줬고 그것을 검증할 방법조차도 없었다는 말이다. 그렇게 가짜 시리아 난민들이 유럽에 대량으로 유입됐다. 

과연 이번에 제주에 유입된 예멘인들은 진짜 예멘에서 탈출한 난민들일까? 
한경오나 문정부를 지지하는 뉴스공장 등은 이러한 합리적인 의심은 전혀 하지 않고, 그들은 무조건 예멘에서 온 불쌍한 난민이라고 확정하고 그들을 무조건 지원해야 한다고 우긴다. 
도대체 왜? 전쟁을 일으킨 영미와 사우디가 아닌 우리가 지원해야 하는 것인지는 의심하지 않는다. 
그들이 진짜 난민인지조차도 의심스럽고, 유럽에서처럼 진짜 테러 세력이 섞여 있을 가능성도 있는데 그에 따른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을 그들이 이러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왜 그럴까? 

만일 진짜 그들 중에 이슬람 지하드 있고 그들이 테러를 한국에서도 벌인다면, 
그 배후와 책임은 바로 문정부와 이들 위장진보 세력들이 될 것이다. 물론 보수 세력도 반대하진 않는다. 
어차피 이 의제는 결국 재벌가의 이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IP : 146.185.xxx.24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남의글
    '18.7.5 1:16 AM (182.216.xxx.43) - 삭제된댓글

    퍼오지 말고 님 생각을 올려 보세요. 벌써 몇번째 퍼오는건가요. 본인 생각 글로 표현 못할 정도면 그냥 구석쟁이 찌그러져서 눈팅이나 하시던가.....

  • 2. ...
    '18.7.5 1:18 AM (110.14.xxx.45)

    이런 건 어디서 퍼오는 거래요??
    난민법을 문재인 대통령이 만들었대요?? 알면서 모르는 척인지 이해를 못하는 돌대가리들인지.

  • 3. ...
    '18.7.5 1:19 AM (218.236.xxx.162)






  • 4. ...
    '18.7.5 1:20 AM (180.68.xxx.136) - 삭제된댓글

    언제 용납했대요?
    자꾸 가짜뉴스 퍼뜨릴거에요?

  • 5.
    '18.7.5 1:38 AM (49.167.xxx.131)

    지랄도 풍년 내가 알려줄께 난민 받겠다고 한건 503이야

  • 6. 지금
    '18.7.5 1:39 AM (223.62.xxx.53)

    예멘난민 건은 가장 민감한 부분이여서
    받아들이는 순간 지지율 하락 그리고 회복불가

    정부는 국민들의 걱정을 외면하지 말아주길...

  • 7. ...
    '18.7.5 2:48 AM (112.140.xxx.61) - 삭제된댓글

    정부는 예멘을 금년 6월1일 부터 제주도 무사증 입국허가 국가지정을 취소..... 이런글도 있네요

  • 8. 멍 멍
    '18.7.5 2:51 AM (71.34.xxx.200)

    개소리를 길게 써서 읽는 것 포기

  • 9. 또 알바놈
    '18.7.5 7:18 AM (175.126.xxx.46) - 삭제된댓글

    어럽게도 엮으려 애쓰네. 요즘도 지능적, 조직적인 알바글들이 판을칩니다. 분란조성하고 악의적인놈들

  • 10. 난민 수용인지 아닌지
    '18.7.5 7:43 AM (14.39.xxx.7)

    는 더 기다려봐야 알죠 심사결과 끝나봐야 알죠

  • 11. 그것만 말해
    '18.7.5 8:25 AM (117.111.xxx.114) - 삭제된댓글

    누가 시키디

  • 12.
    '18.7.5 8:44 AM (116.124.xxx.148)

    참 헛소리도 정성스럽게 하네.

  • 13. ...
    '18.7.5 10:53 AM (125.132.xxx.207)

    맛없는 짬뽕이네..

    어디 글을 번역기에돌린거에다 내용을 추가해놓은듯한데요??

    좀 제대로 써봐요.. 알기 쉽게 쓰던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1938 82 추천 성공한 제품은 무엇일까요~~ 8 고장안남 2018/07/12 3,331
831937 머리를 감아도 냄새가 났었는데요 -_- (해결완료) 43 ... 2018/07/12 30,865
831936 남비에 밥해먹는 그릇 추천좀 6 2018/07/12 1,558
831935 중고나라에서 명품가방짝퉁들 구경하다가 뒤집어졌어요. 1 너무 웃겨서.. 2018/07/12 4,016
831934 말고기 먹고 싶네요 5 ... 2018/07/12 1,463
831933 대통령궁에서 말이 왜 나와??? 000 2018/07/12 1,483
831932 남편이 뿜뿜뿜 노래만 주구장창 틀어놔서 8 ,,,, 2018/07/12 2,458
831931 요즘 많이 드는 매듭 그물가방 고터에 많이 있을까요? 1 모모 2018/07/12 1,326
831930 펌)난민 신청 악용한 불법 체류…‘공공연한 비밀’ 4 .. 2018/07/12 900
831929 김병기 국회의원 아들 ... 23 ... 2018/07/11 6,350
831928 신지예라는 사람은 또 뭔가요? 1 워마나 2018/07/11 2,105
831927 연산에서 실수 많이 하는 여 중3 5 82최고 2018/07/11 1,519
831926 찻주전자 좀 골라주시겠어요 ^^ 11 .. 2018/07/11 1,676
831925 쥐가 테니스 치러 다니던 곳 7 스아 2018/07/11 2,281
831924 답답해서 그래요 중견 조연 여자 연기자 1 2018/07/11 2,494
831923 역할을 역활로 배운 세대는 어느 세대일까요? 20 .. 2018/07/11 2,965
831922 누우면 귀 뒤쪽으로 찌릿찌릿해요! 1 찌릿찌릿 2018/07/11 1,708
831921 "몸매 좋은 직원들이 박삼구 회장 전담 배웅".. 4 샬랄라 2018/07/11 3,001
831920 펌) 무슬림들이 유럽이 아닌 한국에 오는 이유와 (이만석 목사).. 10 난민 2018/07/11 3,256
831919 결국 영업이 목적인 친구들 전화 10 헛살음 2018/07/11 3,748
831918 지금 추적 60분 ㅡ 아스콘의 공포 아이들이 위험하다 2 추적60분 2018/07/11 2,897
831917 라디오스타 보세요! 조현우 나와요!! 5 지금 2018/07/11 3,084
831916 중등 한학교에 평균 90이상인 친구가 몇프로나 나오나요 7 2018/07/11 2,380
831915 남자로만 태어나도 범죄자? 8 페미나치 2018/07/11 1,065
831914 질문입니다. 우체국탁배 3 북한산 2018/07/11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