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 많이 읽은 것과 글 잘 쓰는 것은 별개인가요?

조회수 : 1,786
작성일 : 2018-07-04 07:58:47
아나운서 정은아가 말을 조리있게 잘 하는 이유가
학창시절 책을 많이 읽어서라고 하는데
글 잘쓰는 재능은 어떻게 길러지는 건가요?
IP : 110.70.xxx.16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marco
    '18.7.4 8:04 AM (14.37.xxx.183)

    말을 문자로 옮기면 글이 됩니다...

  • 2.
    '18.7.4 8:07 AM (61.78.xxx.157)

    언어는 쓰기 말하기 읽기 잖아요 많이 읽으면 말과 글이 동시에 따라옵니다. 단 ,시 .소설은 타고난 문학적 감수성이 있어야 합니다

  • 3. ....
    '18.7.4 8:07 AM (175.223.xxx.61)

    별개이면서도 상관이 있겠지요.
    별개인 것은 글은 꾸준히 써 봐야 해요.
    아무리 책을 많이 읽어도 안쓰면 글쓰기가 안되요.
    상관이 있는 것은, 어느 정도 글쓰기 경지가 올라오면, 안읽은 것보다 많이 읽은 것이 도움이 되겠지요.
    말하기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 4. 민트
    '18.7.4 8:13 AM (117.111.xxx.181)

    책많이 읽어도 글은 못쓰는경우가 많죠
    그러나 책을 안읽고도 글을 잘쓰는경우는 거의 없어요
    결론은 많이읽고 많이 써야됩니다

  • 5. nake
    '18.7.4 8:26 AM (59.28.xxx.164)

    많이 읽으면 말은 잘할지몰라도 쓰는건 아닌거 같음

  • 6. ...
    '18.7.4 8:30 AM (14.39.xxx.18)

    글도 많이 써봐야 해요. 혼자서 쓰는거 말고 남한테 읽히고 평가받구요.

  • 7. ㅇㅇ
    '18.7.4 9:09 AM (110.70.xxx.250)

    글을 그냥 자판부터 두들기면서 쓰는게 아니구요
    생각을 다 하고 틀을 짜놓고 옮기기 시작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이런 데다 쓰는 글이야 그냥 막 싸질르지만, 각 잡고 쓸 때는 먼저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고 쓰죠.

    즉 책도 중요한데
    생각을 많이 하는게 중요해요.

  • 8. 글쓰기
    '18.7.4 9:14 AM (211.108.xxx.4)

    중고등때 책을 많이 읽었어요 서점 도서실 책볼수 있는곳에서 몇시간씩 읽었거든요
    초등까지는 책도 안읽었고 글도 못썼는데 책을 만나고 부터
    책속의 문장 글귀등이 뇌리에 남게 되더군요

    중학교때는 작문시간이 많았는데 책속에서 읽었던 단어 문장 글귀등을 응용하거나 비슷하게 옮겨 적어 글쓰기를 했고
    좋은 결과를 얻었어요

    학교대표 대회도 나가고 학교문집에도 글이 실렸구요
    글쓰는 방향을 제시 해준것 같단 느낌
    막막하게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하나 고민했던 문제가 사라진 느낌
    그동안 읽었던 책속 문장들에서 꺼내 조합해 써내려가면 됐어요
    글은 쓸수록 늘어나는건 맞아요
    책을 많이 읽어야 글을 잘 쓰는것도 맞는것 같습니다
    제기준으로는요

  • 9. ㅡㅡ
    '18.7.4 10:47 AM (175.118.xxx.47)

    글잘쓰는건 재능이있어야됩니다
    책읽는건 재능필요없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3910 지금 집에서 20년 살았습니다 3 이사가답 2018/09/13 3,125
853909 한국어 교사 자격증 있으신 분, 취업 진로 같은 정보좀 주셔요... 1 도리도리 2018/09/13 1,738
853908 [속보]북한 ICBM 발사차량 시험 시설까지 해체완료 30 ㅇㅇㅇ 2018/09/13 3,701
853907 부동산 정책에 불만 많았던 사람입니다. 18 9 13 2018/09/13 3,534
853906 연합 오보 [전문취소] 13 .. 2018/09/13 2,140
853905 미용실에서 너무 불쾌 9 불쾌 2018/09/13 6,475
853904 종부세 해당자 -> 시가 18억이상 주택 소유자 7 .... 2018/09/13 2,204
853903 대한민국은 서울공화국 ᆢᆢ 2018/09/13 449
853902 집 많이 사라는 금일의 조세부동산 정책 좋네요! 7 리슨 2018/09/13 1,277
853901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4 댕댕이 2018/09/13 1,488
853900 이번 부동산 대책 뉴스 자막 해설 좀 해주세요 이괴모죠 2018/09/13 576
853899 주위에 종부세 내시는 분 있으시면... 2 ... 2018/09/13 1,287
853898 환자한테 화내는 의사ㅡㅡ 14 ㅡㅡ 2018/09/13 5,319
853897 제주도 곳곳에 출몰하는 개들! 32 ... 2018/09/13 3,365
853896 아이가 갑자기 변이 안 나온다고 해요. 8 도와주세요... 2018/09/13 1,062
853895 9억 초과분에 대해서 내는건가요? 8 질문 2018/09/13 1,554
853894 주변사람에게 스토킹을 당하고 있어요 1 스토커 2018/09/13 1,367
853893 골목식당 첨봤는데 짜증나네요 4 ㅇㅇㅇ 2018/09/13 2,640
853892 네스프레소를 가장 싸게 사는방법은요?? 4 2018/09/13 2,006
853891 종부세 이번 정책에 제가 돈이 없다는 것을 확실히 깨닫는 것 같.. 12 ... 2018/09/13 3,858
853890 슬로우쿠커로 홍삼 달이는거 가능할까요 3 홍사미 2018/09/13 1,406
853889 종부세 외의 부동산 정책들 정리 11 ㅇㅇ 2018/09/13 2,546
853888 얼굴에 오일 바르세요? 2 ㅇㅇ 2018/09/13 1,802
853887 클렌징워터..싸고 좋은거 없나요? 9 올리브영 2018/09/13 2,475
853886 1주택자는9억 다주택자는6억 5 .. 2018/09/13 2,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