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고등학생 용돈의 범위는 어디까지 인가요?

.. 조회수 : 1,028
작성일 : 2018-06-15 12:54:08

지금 중3 남아예요

현재 한달 용돈 4만원 주고있어요

교통비 따로 충전/ 치킨 피자등 배달등 간식은 별도~

그런데 요녀석이 용돈을 안쓰고 모아놓고 저한테 다른거 살때 돈을 타가요;;

안쓰고 모은거는 큰거 갖고싶은거 살때 돈을 내놓아요

예를들면 좀 비싼 신발이나 갖고싶은 물건등을 살때 비싸면

이만큼 모았으니까 보태서 사달라고 해요.

옷을 사러가도 좀 한두개 더 사면 자기돈에서 줘요

대신 자잘한 용돈으로 해도 되는것들은 평상시에 제게 따로 타가요..

예를들어 학원끝나고 간식 사먹고 하는것도 따로 타구요

그러니 생각보다 나가는 비용이 꽤 되더라구요


그런데

"얼마전부터 자기 용돈을 10만원으로 올려달라고 하네요"(교통비만 따로)

그렇게 해주면 옷이든 신발이든 자잘하게 엄마한테 안타고

다 그안에서 해결하겠다구요

자기가 모아서든 간식을 안먹어서든 그 안에서 다 해결할테니까

엄마는 교통비만 충전해주고 나머지는 다 알아서 하는게 엄마도 더 나을것 같다고 제안하는데

어떤가요?


한편으로는 어차피 돈관리도 본인이 해야하니 그게 낫겠다 싶다가도

너무 많이 주나 싶기도하고..고민되네요

그래서 만일 10만원 용돈을 주면 니 통장에 최소한 얼마정도는 저금을 해야하는데 할수있겠냐? 했더니

하겠다네요(이건 일부러 만원이라도 오천원이라도 모으는 습관들이려고 )


궁금한건

보통 아이들에게 주는 용돈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궁금해요?

그리고 용돈 관리를 어떻게 하는게 좋은지도 경험있으시면 좀 나눠주세요~


IP : 175.125.xxx.24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ㅇ
    '18.6.15 1:21 PM (125.186.xxx.113)

    고딩아들은 대부분 먹는거에 들어갑니다. 학교 끝나고 오다가 아이스크림 사먹고 애들이랑 빵 사먹고 그런거요. 간단한 문구용품이나 준비물도 용돈으로 쓰고요.
    그외 책 집에서 사주는 먹을것 옷 등은 다 엄마가 사줘야죠.
    한주에 2만원씩 주는데 부족하지 않나봐요. 하긴 고등학생들은 뭐 사먹을 시간도 없으니까요.
    중학생이면 2만원까지 올려줘도 될 듯 하고 용돈범위는 아들이랑 같이 이야기해서 정해 보시지요.

  • 2. 저는
    '18.6.15 1:23 PM (175.209.xxx.57)

    비교적 넉넉하게 줘요.
    제 카드 주고 먹고 싶은 건 사먹으라고 해요.
    최소한 돈이 없어서 배고픈거 참는 일은 없어야 된다고 생각해서요.
    저한테 문자가 오니까 어디서 뭐 먹는지 알아요.
    옷,신발 등등은 제가 사주고요

  • 3. 하던 대로
    '18.6.15 1:50 PM (58.122.xxx.137) - 삭제된댓글

    하던대로가 나을 거 같아요.
    씀씀이가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잖아요..어른도요.

    저는 중1 주당 9천원 줘요. 교통비 따로요. 간식값이죠. 그런데 사고 싶은 게 있다길래 그 용돈 모아서 사라고 했더니 자전거로 통학하면서 차비까지 모으더라고요.. 너무 짜게 구는 것도 같지만 만일 제가 대신 사주거나 보태주면 용돈 관리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 같아서요. 돈 모으고 쓰는 게 힘든 줄 알아야 큰 돈도 규모있게 쓸 거 같아서 올해는 이렇게 가려고요. 내년엔 아이와 상의해서 더 올려줘야죠.

  • 4. ...
    '18.6.15 2:43 PM (220.75.xxx.29)

    매점에서 먹는 거랑 참고서나 문구류는 제 카드 하나 줘서 쓰게 해요. 옷 신발 이런 건 제가 알아서 다 사주고 본인이 가끔 아빠한테나 저한테서 챙기는 현금은 본인돈이고 아마 동생 뭐 사주고 본인이 좋아하는 아이돌 굿즈 사고 그러는 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22838 홍삼 진액 얼마나 복용해야 하나요? 2 갱년기 2018/06/15 1,367
822837 중혼은 취소전엔 유효하다는데 5 .. 2018/06/15 1,493
822836 면접 갔는데 기분이 참 그렇네요.. 12 2018/06/15 5,525
822835 남편이 너무 이상한건지 내가 예민한건지 ㅠㅠ 28 ㅇㅇㅇㅇㅇㅇ.. 2018/06/15 17,610
822834 문재인 따까리, 김명수의 잔머리 10 .... 2018/06/15 1,982
822833 밥솥으로 한 가지밥 어떻게 보관해야해요? 4 U 2018/06/15 1,024
822832 이재명은 당선직후부터 성격 제대로 보여줬네요...대단~~~ 14 ㅉㅉ 2018/06/15 2,392
822831 가끔 느끼는게 사람은 살던대로 사는게 나은것같다는 생각이 10 가끈 2018/06/15 4,111
822830 바람엄청 불고 시원하네요 1 00 2018/06/15 951
822829 트럼프에 대한 오해( 기레기의 농간) 2 기레기박멸 2018/06/15 984
822828 김주하 아나운서목소리가 12 MBN 2018/06/15 5,343
822827 정진석 이새키.... 2 Bla 2018/06/15 1,844
822826 영화 ...마음에 드는건 두번이상 보는분 게세요? 22 극장에서 2018/06/15 2,405
822825 고딩아이 체육복바지 허리 늘리려면? 6 날개 2018/06/15 1,573
822824 10년 적금 부어서 뺏기기 3 싫다 2018/06/15 5,057
822823 국내선 탑승시 지참서류 문의 2 흠흠흠 2018/06/15 973
822822 "김경수가 없네" 축배의 순간에 그는 어디에?.. 20 아아아 2018/06/15 6,207
822821 총선,지선..좀 쉽게 설명해주실 분~~? (비례대표 추가요) 20 정알못 2018/06/15 1,136
822820 아파트 인테리어공사하시고 입주하신분 조언부탁드려요 5 ㅇㅇ 2018/06/15 2,228
822819 이재명스러운 표창원의 해명, 처음부터 끝까지 다 틀렸다 23 ㅇㅇ 2018/06/15 2,350
822818 왜 지금 부는 바람은 추운거죠? 7 추위 2018/06/15 3,497
822817 이읍읍쪽인 경기동부연합(주황색뻐꾸기-손가혁)에 대해서 공부합시다.. 35 꼭 알아야해.. 2018/06/15 2,074
822816 총선까지 2년 너무길어요 ㅠㅠㅠㅠㅠㅠㅠ 6 ... 2018/06/15 1,353
822815 어릴땐 몰랐는데 다시보니 넘 예쁘고 세련됐던 여가수 40 8090 2018/06/15 20,670
822814 손꾸락 오렌지들 벌써부터 김경수 견제작업 들어갔네요 52 ... 2018/06/15 2,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