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 비평준화되고 고등학교 입시가 부활하는 건가요?

너무 불안하네요 조회수 : 1,575
작성일 : 2018-06-03 20:21:24
http://v.media.daum.net/v/20180527070020137

저 정시 늘렸으면 하는 학부모입니다.
이번 문재인대통령 교육공약때문에 혈압올랐던 사람이구요

하지만 고교서열화와 고등학교 입시 부활은 정말 아니지 않나요? 
박선영후보 이에 대해 정확하게 말해줬으면 좋겠어요

중학교 고등학교 다 선택해서 서열화해서 예전 60년대로 돌아가게 될까봐 불안합니다.

학생·학부모의 교육자율권을 확대하고 학교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입 못잖은 고입 경쟁을 부추길 수 있고 고교 서열화도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라고 써있어서요 

우리아이 중학교생활 겪어보니 그래요 여자애들 화장도 하고 연애도 하지만 그래도 즐겁게 잘 생활하더라구요. 조별수행때문에 너무 속상하지만 이제는 조별수행도 많이 줄어서 대부분 학교에서 하는 걸로 바뀌고 있어요. 수시도 고교서열화를 없앴는지 지난해에는 일반고에서 고르게 들어갔더라구요. 오히려 일반고를 대접해주는 느낌도 들구요. 탈대치가 이슈화되고 특목 자사고에 대한 인기도 시들해지고 있구요 전 멀리보면 이게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했어요. 단지 억울한 아이들이 없게끔 정시를 늘렸으면 했구요  아니면 내신과 정시를 합산해서 대학을 가는걸로 바꾸는건 어떤가도 생각했어요. 


그런데 교육감이 바뀌어,  고교입시를 위해서 초등때부터 학원을 달려야한다면.... 서울이 비평준화가 되는건 정말 너무 끔찍해요 사실 교육감이 정시를 늘릴 수 있는 권한은 없잖아요 

전 박선영후보가 이에 대해서 정확히 말해줬으면 좋겠어요. 정말... 아이들 대학입시도 모자라 고교입시까지 다시 치르게 할건지요 ?

여러분 정말 정시가 늘어난다면 고교입시가 부활해도 괜찮으신 건가요?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걸까요 ? 

IP : 221.147.xxx.6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시는
    '18.6.3 8:32 PM (112.171.xxx.225) - 삭제된댓글

    늘어나지 못해요
    대학에서 정시학생 수시학생 비교평가 다했구요
    정시로온학생보다 수시학생이 더 우수하다고 합니다

    게다가 정시는 통계로 나와있어요
    학교간격차 지역격차가 많이 난다는걸 알게되었고 이것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때입니다
    여러분들이 말하는 인강다 있고 지방에서도 인강듣고 공부해서 좋은대학 갈수없다는게
    통계로 서울 대치동 목동등 학군좋은곳에서 휩쓴다는거 다 나와있다구요

    수시를 어떻게 단순화해서 더 공정을 기할것인가에 포인트를 두어야지
    정시를 늘리자고 하는건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는겁니다

    게다가 지금 취업률이 사상최저잖아요 베이비붐세대 백만인구와 그 자손들이 서로 경쟁하고 싸우고있고요
    경쟁이 너무 치열하니 대학나와도 인턴으로만돌지 취업도 안되구요 정말 자살만이 답인 세상에 살고있지만요

    올해 출산율이 35만입니다 이 아이들은 100% 취직될겁니다 대학과 상관없이 경쟁률과 상관없이요

    정시고 수시고 스카이고 뭐고간에 지금부터 몇년간은 다죽자 입니다 너죽고 나살자요 이건 나랏님도 못할것 같아요 어쩔수 없잖아요

    차라리 아이들 학원비 덜들이고 스트레스없이 공부하고 놀게하는게 더 나은사람 뽑아야합니다
    학력저하는 정말 걱정하지마세요 제발 학력저하좀 되라고 기도해도 좋을나라입니다

  • 2.
    '18.6.3 8:42 PM (14.52.xxx.110)

    그래서 조희연 뽑으라는 얘기 길게 하신건가요
    조희연은 뭐 했나요
    님 말로 교육감이 저만큼 바꿀 수 있으면

  • 3. ...
    '18.6.3 8:45 PM (125.178.xxx.208)

    정시는.. 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일반고 지방 아무리 날고기어도 정시 늘어나도 들어가기 쉽지 않아요. 특목고나 자사고 , 학군 꽤좋은 애들에게 합격이 편중될 거예요. 차라리 수시를 어떤방식으로 해야 괜찮은지에 대해 연구하고 고치는 장법이 더 나을것 같습니다.

  • 4. 하필
    '18.6.3 8:48 PM (124.54.xxx.150)

    이런시기에 아이들이 고등학생이 되는지라 정말 피눈물을 흘리고 있네요
    위에 말씀하신 수시학생들이 성적이 더 좋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에요 오히려 학종으로 들어온 아이들이 결국 성적이 뒤쳐진다고.. 정시로 들어간 아이들은 첫해엔 학교가 맘에 안들어(기대보다 처지는 학교라) 공부안하다가 맘잡고 공부시작하면 그아이들 성적이 더 좋다고 들었어요.

  • 5. 조희연을
    '18.6.3 8:50 PM (112.171.xxx.225) - 삭제된댓글

    뽑으라는 얘기가 아니고
    정시를 늘린다는건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는걸 길게 말한겁니다

    저는 위 내용과 상관없이 조희연을 뽑을건데
    이유는 자유학기제와 자사고 특목고와 일반고 입시날자를 같게하는둥
    고교평준화와 고교수업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왔고
    이 기조는 미래교육과 맞으며 현정부의 정책과도 일치하기때문에
    조희연을 뽑을겁니다

    여기서 보수교육감을 뽑으면 서로 엇박이 생기며 서울시와 혹은 교육부와 대립되겠죠
    아 정말 상상하기 싫으네요

  • 6. 정시님 말 맞아요
    '18.6.3 8:56 PM (121.133.xxx.124) - 삭제된댓글

    고등학교 생활잘한 아이들
    결국 대학와서도 생활잘한다고 했어요.
    공부만 올인한 정시생보다
    더 학교생활 잘한답니다.

    대치동 초등 때부터 대학입시로 계획짜서 엄청난 투자를 해가며 공부하는 학생들(일부 못따라가는 학생도 있지만).
    ㅎ,ㄱ,ㅅ,ㅈ,ㄷ ...고등학교 모의고사 성적들 후덜덜 합니다.

  • 7. 수시학생 학점높다 팩트
    '18.6.3 9:01 PM (112.171.xxx.225) - 삭제된댓글

    수시 확대를 주장하는 측에서는 수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통한 입학생이 대학생활에서 학점 등이 높기 때문에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반면, 정시 확대가 필요하다는 측에서는 정시 입학생이 자기관리와 종합적 사고 등 핵심역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애초에 정시, 수시 논란에서 우위에 선 건 수시였다. 지난해 2월 건국대·동국대·서울시립대 등 6개 대학은 학종 운영성과에 대한 공동컨퍼런스에서 학종 입학생이 학점도 높고, 전공을 바꾸는 전과는 드물었으며 대학생활 적응도도 설문조사 결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입학사정관협회장을 맡고 있는 조효완 광운대 교수는 "각 학교마다 학종으로 뽑는 깊이(단계)에 있어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학생의 역량도 달라질 수 있다"면서 "학종으로 뽑은 학생들은 전공의 방향성을 정해놓고 가기 때문에 더욱 전공 공부에 집중해 학점 등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 서울대와 한양대학교에서 이뤄진 분석에서도 학종 입학생이 학점이 높아 뛰어나다는 평가를 내놓으면서 수시 중요성이 확대되는 양상이었다.

    그러나 정시 입학생이 핵심역량에서 우수하다는 새로운 분석이 나오면서 또 다시 논쟁이 불붙었다. 그러나 수시를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학점이라는 수치를 제시했고, 정시 중요성을 강조한 측에서는 핵심역량진단(K-CESA) 결과를 내놓으면서 평가 잣대가 달라 논란은 더욱 커진다.
    [출처] 수시 VS 정시 어느쪽 학생이 우수? 교육계 '갑론을박'|작성자 대치해솔학

  • 8. 또다른 연구결과도 있군요
    '18.6.3 9:29 PM (124.54.xxx.150)

    http://v.media.daum.net/v/20180513103552056?f=m&rcmd=rn 함께 고민해봐야할 문제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18624 핸드폰이 통화중 모드로 넘어가는데요 핸드폰 문제일까요? 통신사.. .. 2018/06/05 961
818623 한국산 전자개표기, 이라크 총선 득표조작 증거 확보 ....우.. 4 . 2018/06/05 1,006
818622 층간소음 경비실에 연락했다고 방망이 들고 내려온 위층사람 5 ㅡㅡ 2018/06/05 4,984
818621 무좀치료 잘하는 병원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6 .... 2018/06/05 1,647
818620 강북 지역에서 사진찍기 좋은 곳 8 ... 2018/06/05 1,070
818619 평생 날씬하신 분들은 비결이 뭔가요? 59 ... 2018/06/05 19,522
818618 곡소리 나는 자영업·실직자… 이자비용 역대 최대 21 ........ 2018/06/05 2,804
818617 포항 디비자~~~ 2 포항 허대만.. 2018/06/05 646
818616 읍읍하다 사전적 의미 6 누리심쿵 2018/06/05 807
818615 현명한것과 그렇지 않은것 1 .. 2018/06/05 878
818614 무채색 단색 스카프 추천해주세요 1 추천 2018/06/05 863
818613 읍시장의 세월호 뱃지에 대해 진정성 의심가는 부분 6 가면 2018/06/05 822
818612 물가가 너무 비싸요 61 2018/06/05 5,825
818611 또 한가지 반가운 소식!! 6 귀인방문 2018/06/05 2,608
818610 남경필 방금 트윗 ㅋㅋㅋ 8 ㅋㅋㅋ 2018/06/05 4,279
818609 짝 안맞는 그릇 어쩔까요 6 까칠마눌 2018/06/05 1,802
818608 강아지 키우시는분들 궁금한거 있어요 1 댕댕이 2018/06/05 902
818607 등산 다니시는 분들 계시나요? 16 지름신 2018/06/05 2,575
818606 경북을 주목해주시고 지역민께 전화 한 통 부탁합니다!! 2 오중기화이팅.. 2018/06/05 319
818605 크린토피아만 가면 세탁물이 망가지네요 11 .. 2018/06/05 4,851
818604 가방 하나 추전해주세요 2 가방 2018/06/05 985
818603 역시나 한나라당매크로 네이버는 없네요!!! 1 네일베 2018/06/05 361
818602 읍읍 마지막 토론ㅡ나도할말 많다.침묵하지않겠다 21 읍읍이 낙선.. 2018/06/05 1,717
818601 "KDI 최저임금 고용영향 분석, 부정확하고 편의적&q.. 11 아미타 2018/06/05 631
818600 감정표현 잘 못할때요. 2 .. 2018/06/05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