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들 식사하시면서 젓가락 어디에 내려놓으시나요?

밥먹다가 조회수 : 5,719
작성일 : 2018-05-28 07:28:20
울나라는 계속 숟가락 젓가락을 바꿔가면서 잡아야 하잖아요..
숟가락은 밥그릇이나 앞접시에 실짝 걸쳐놓는다 해도
젓가락은 다들 어디에 두시나요?
그냥 맨식탁(?) 위에 내려놓으시나요?
식당에서는 냅킨 위에 두기도 하는데 지저분해지고
저만 이러나 싶네요^^;;
IP : 121.165.xxx.64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8.5.28 7:30 AM (121.168.xxx.41)

    냅킨이 전 더 더러워요

  • 2.
    '18.5.28 7:30 AM (182.227.xxx.142)

    밥그릇에 올려놔요~
    식당에서나 집에서나..
    식탁에 묻는거 싫어서..
    수저받침쓰면되지만 구거 씻는거도 귀찮아서.

  • 3.
    '18.5.28 7:32 AM (117.111.xxx.140)

    수저받침을 사용하니 좋아요
    식당서는 반찬 그릇위에 놓구요

  • 4. 상상
    '18.5.28 7:33 AM (211.248.xxx.147)

    테이블매트 깔고 먹으니 테이블매트나 수저받침대 위에 올려요

  • 5. 원글
    '18.5.28 7:33 AM (121.165.xxx.64)

    본래의 한국 식사예절은 어디에 놓는 건지도 궁금하네요~

  • 6. 근데
    '18.5.28 7:35 AM (59.11.xxx.194)

    식탁바닥보다 휴지가 더 더럽대요

  • 7. 집에서는
    '18.5.28 7:35 AM (211.48.xxx.170)

    꼭 수저받침 쓰고요,
    식당에서는 밥그릇 뚜껑에 올려 놔요.

  • 8. ㅣㅣㅣ
    '18.5.28 7:37 AM (59.187.xxx.68) - 삭제된댓글

    수저받침 사용하세요
    상에도 안묻고 너무 좋아요

  • 9. ㅣㅣㅣ
    '18.5.28 7:38 AM (59.187.xxx.68)

    수저 받침 사용해요
    나중에 식탁 닦기도 편해요

  • 10. 집에선
    '18.5.28 7:42 AM (116.39.xxx.186)

    집에선 큰 접시 밥공기 수대로 먼저 깔고 그위에 수저 놓고요
    접시위에 수저나 밥공기나 국그릇 놔요.
    접시는 씻으면 되니 식탁위에 밥풀이나 양념묻은 수저 안 닿아서 식탁닦기도 수월하고요

  • 11. 수저받침 사세요
    '18.5.28 7:45 AM (121.155.xxx.165) - 삭제된댓글

    얼마나 예쁘고 편리한데요.
    가격도 저렴한거 많아요.

  • 12. 원글
    '18.5.28 7:48 AM (121.165.xxx.64)

    수저받침 사야겠네요~ 그런데 보통 드라마 같은 데 봐도 없고 전통 우리나라 예절은 어떤 건지 궁금했어요~

  • 13. ㅇㅇ
    '18.5.28 7:53 AM (1.224.xxx.8)

    수저받침이요.

  • 14. 그러게요
    '18.5.28 8:05 AM (211.36.xxx.136)

    원래는 밥그릇옆에 원래 두는거아닌가요?
    집에서야 밥먹기전에도 닦고 밥먹은 후에도 닦는밥상인데 82는 좀 유난하네요
    박물관가도 우리가 조선시대부터 수저받침을 쓰지않았던거같은데요

  • 15. 받침
    '18.5.28 8:28 AM (211.108.xxx.4)

    수저받침 사용해요
    식당에서는 앞접시나 밥뚜껑 위에 올려놔요
    어떤식당 가니 개인접시인데 숟가락.젓가락 표시되어 있는 긴 접시위에 올리는것 주던데 매우 좋았어요

  • 16. 저는
    '18.5.28 8:43 AM (223.38.xxx.109)

    숟가락은 제 국 그릇에 담겨있고
    거의 식사는 국 만 빼고는
    처음부터 젓가락 계속 들고 있어요.
    국 먹을땐 같이,
    젓가락 든채로 숟가락질

  • 17. 건강
    '18.5.28 8:50 AM (14.34.xxx.200)

    계속 젓가락 사용하고
    숟가락만 국물 떠먹을때 사용해요
    개인접시같은거 하나 놓고
    수저 놓아요

  • 18. 앞접시,수저받침
    '18.5.28 9:10 AM (61.74.xxx.241)

    앞접시, 수저받침 둘 다 써요

  • 19. 상 위 밥그릇옆이요
    '18.5.28 9:12 AM (183.100.xxx.6)

    밥먹기전에도 닦고 밥먹은 후에도 닦고, 식탁위엔 지저분한 것들 올리지도 않는데 너무 유난222222

  • 20. ...
    '18.5.28 9:52 AM (117.111.xxx.185)

    전통예절로는
    밥상에 올려놔야해요.
    손에 숟가락 젓가락 다 들고 바꿔가며 쓰는 것도 상스럽고
    대접에 담가놓거나 밥그릇에 걸쳐놓는 것도 아니에요.

  • 21.
    '18.5.28 10:15 AM (1.237.xxx.28)

    수저받침써요. 크게 힘들지도 설겆이거리도 없는데 안쓰는게 이해안될정도.. 저도 받침없음 놓을데 없어서요

  • 22. ..
    '18.5.28 12:05 PM (175.223.xxx.55) - 삭제된댓글

    식장에선 밥그릇뚜껑위에놔요
    냅킨은싫고

  • 23. 이상타
    '18.5.28 12:05 PM (58.233.xxx.102)

    어렸을때부터 밥상 문화 식탁 문화 갖고 살아온 우린데 넘 새삼스런 질문 아녜요?
    어렸을때 어머니 상차림은 어떻던가요?
    수저받침이 격식있어 보이긴 하지만 어차피 수저 닿는 부분 면적은 식탁이나 다름 없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9379 정치와법vs 윤리와사상 6 고1 2018/08/30 959
849378 송영길 의원님이 젠재에 가입했나봐요 15 젠틀재인 2018/08/30 1,010
849377 강낭콩이 많이 생겼어요. 뭐 해먹으면 좋을까요? 1 강낭콩 2018/08/30 891
849376 저녁에 시킨 피자 냉장고에 넣어놔야 하나요? 2 어쩌지 2018/08/30 687
849375 다주택자보다 1주택자가 피보겠네요 20 ... 2018/08/30 4,637
849374 삶은 달걀과 같이 먹으면 맛있는거 뭐가 있나요? 22 2018/08/30 4,542
849373 최진기는 아직 반론 안나왔죠? 33 .. 2018/08/30 1,700
849372 발음 어떻게 하는지? 3 ㅇㅇ 2018/08/30 779
849371 아는와이프에서 우진이 소문 1 아는와이프 2018/08/30 2,809
849370 제 목 : 펌)읍을 왜 감싸는가. (부제:진영의 문제가 아닌 권.. 9 권력문제 2018/08/30 400
849369 왜 다들 경수찡만 찾죠? 14 희망 2018/08/30 1,534
849368 좋은 글이 댓글에 있어 퍼 왔어요. 13 설라 2018/08/30 1,283
849367 과일사라다 맛있게 하는 법...알려주시면 안될까요? 27 사라다 2018/08/30 3,693
849366 저는요, 사주만 보면 남자복이 없다네요. 21 ㅇㅇ 2018/08/30 7,328
849365 상사 앞에서 한숨을 쉬었어요 2 ㄴㅇㄹㄴ 2018/08/30 1,701
849364 전국 저수율 현황 7 손이많이감 2018/08/30 1,489
849363 상속 관련 문의합니다 6 질문 2018/08/30 1,894
849362 영화 그것만이 내세상 보신분 계세요?? 7 ... 2018/08/30 1,122
849361 금값이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3 우리 2018/08/30 2,244
849360 노화방지글 읽고 8 저번에 2018/08/30 3,934
849359 보통속도로 걷는것도 운동효과 있나요? 5 ddd 2018/08/30 2,241
849358 54조 대 5000 명 관련 통계청 자료를 한 번 더 확인하니.. 3 개구쟁이 2018/08/30 567
849357 연예인 사주는 다르더라구요. 12 ... 2018/08/30 8,487
849356 친정아버지..어떻게 해드려야 할까요... 5 ㅠㅠ 2018/08/30 2,419
849355 자소서 유사도 검사 어디에 하나요? 2 대입 2018/08/30 1,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