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3이 고등과학 선행하려면 어떤 과목을 해야하나요?

과학 조회수 : 6,157
작성일 : 2018-05-26 20:02:01
중3남자아이 공대진학 목표로 하는데 과학 선행은
어떻게 해야할지요
현재는 중3현행과 시험대비 정도만 하고있는데
이제서야 과학선행을 시작하려고요.
질문은
1학년 통합과학 먼저 선행하고 2학년 물화생지 중 두과목 선택해서 하면되는건지,
아님 통합과학은 안하고 2학년과정 선행하는건지요?

그리고 공대가려면 반드시 물리화학을 해야하는지
아이들이 많이 선택한다는 생물이나 지구과학을 해도
괜찮은건지도 궁금합니다.

큰아이라 잘 몰라 여쭤보니 고등이상 어머님들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182.209.xxx.14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5.26 8:05 PM (116.120.xxx.165)

    영과고 준비하던 아이긴 힌지만 초5에 중등과학 다빼고 초6에 물1,2 화1 나가고 중2인 지금 물,화 1,2 두번돌았어요 이해를 좀 하는인이들은 두번 안돌리고 바로 일반물리 들어가요

  • 2.
    '18.5.26 8:17 PM (223.62.xxx.29)

    보통은 통합과학 안 하고 화1, 생1, 이런 식으로 선행 시작하는데
    저는 통합과학 먼저 하시라고 권하겠어요.
    저 1과목들이(원과목이라 부름) 상당히 어려워요. 중학교에서 바로 건너갈 수 있는 과목이 아니라고 봐야 해요.
    물론 잘 하는 애들은 잘 하죠. 하지만 대개 그 나이에 맞는 인지력 이해력 기본 지식 등이 있잖아요. 그걸 넘어서는 분량을 갑자기 주입하니까
    애들이 어찌어찌 어버버 따라오다가도 나중엔 선행의 의미가 없어질 만큼 잘 잊어버리더군요.
    중학교 때 고등과학 선행했다는 애 치고 정말로 그 선행 가치를 해내는-
    즉 고등에 정작 들어갔을 때
    간단히 복습으로 수업해도 되는 아이는 지금까지 한 명도 못 봤어요.

    통합과학 먼저 하시고
    그 다음에 하나씩 선행을 하는데
    이과 아이들은 화1, 생1 제일 많이 해요.
    물리 해 두면 물리 연계된 대학 전공 때 편하겠죠. 그런데 수능에서는 그냥 원과목 2개 자유 선택인데
    물리는 어려워서 점수 따기가 힘들거든요.
    과학고 애들이 워낙 물리를 잘 하니 얘네하고 수능에서 경쟁하기도 어렵고.
    그래서 물리는 타고난 물리 사랑을 가진 아이들 아니면 잘 선택 안 하고요.
    지학은 쉬워서 한두 개만 틀려도 등급이 훅 내려가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택하는 애들은 택하지만
    이래저래 화1, 생1 응시자가 제일 많고
    인원이 워낙 많다 보니 등급 따기도 좀 낫고. 그렇습니다.

    가고자 하는 대학과 전공을 몇 개 추려서 입학 요강을 잘 보세요.
    앞으로 바뀔 수도 있지만, 대략 지금까지의 뼈대를 봐 두면 좋죠.
    혹시 물리를 반드시 택해야 하는 과가 있는지 훑어보시고
    그런 게 아니라면 굳이 어떤 과목을 염두에 두진 마시고
    아이가 어떤 과목을 잘 하고 좋아할지 소질을 찾아 보세요.
    하다 보면 싫었던 과목이 좋아지고 좋았던 과목이 싫어지기도 하고
    또 전략적으로 이 과목을 택해서 수능 봐야지 하는 생각도 정립되거든요.

    어느 학교든 대개는 2학년 때 물화생지 1과목을 다 하는데(내신)
    3학년 때는 물화생지 2과목(투 과목)중에서 택해서 교육하는 학교,
    학생들에게 택하게 하는 학교, 조금씩 달라요.
    물2는 아예 개설도 안 하는 학교도 많아요.
    수능에서 투 의무로 반영하는 학교는 서울대밖에 없나, 그렇고요.

    그러니 내신을 위해서는 원과목 뭘 해도 하면 좋다,
    (내신엔 원과목 4개 들어가니까)
    하면서 수능에서 뭘 택할지 적성을 슬슬 찾아 봐라,
    선행을 할 거면 통합과학 먼저 하는 걸 권한다,
    투과목은 벌써 걱정할 일은 아니다,
    이 정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홧팅.

  • 3.
    '18.5.26 8:27 PM (49.167.xxx.131)

    과학은 수학후하세요.

  • 4. 음님
    '18.5.26 9:07 PM (182.209.xxx.142)

    정성스러운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요약까지 해주시고...일단 아이와 잘 얘기해보고 적성도 생각해보라고 해야겠네요. 막연했는데 이제 좀 알것같아요. 사실 수학도 더 해야하는것도 사실이고요
    당장 내년에 고딩된다 생각하니 저혼자 마음이 급하네요ㅠㅠ

  • 5. 공대는
    '18.5.26 9:29 PM (124.54.xxx.150)

    물리 필수죠

  • 6. 시간 여유 있으니까
    '18.5.26 9:37 PM (218.236.xxx.187)

    물리부터 시작하고 겨울에 화학 하시면 되겠어요

  • 7. ....
    '18.5.26 9:49 PM (121.166.xxx.249)

    작년은 통과 교과서도 나오기 전이어서 물1 화1 각각 두번씩 돌리고 입학했어요. 통과는 내용자체는 중학교 수준이라 아주 쉽다고 하네요.

  • 8. 과학선행도
    '18.5.27 12:54 AM (182.209.xxx.142)

    두번씩 보고 가는군요...지금부터라도 정신 바짝 차리고 따라가야할것 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1755 중1 아이 자꾸...포기하고 싶은 마음.정상인가요? ㅠㅠ 22 자연스러운건.. 2018/07/13 4,540
831754 아이들을 사랑하지만...숨이 막혀요 12 라미로 2018/07/13 4,921
831753 혹시 이런 미신? 알고 계신 분 계신가요? 8 시모시름 2018/07/13 2,570
831752 기말고사는 등수가 많이들 바뀌네요 14 중학 2018/07/13 3,624
831751 중고딩 셋과 엄마가 국내 일박하고 올만한 여행지.. 11 국내 2018/07/13 1,434
831750 인견 이불도 정말 여러 종류, 어디서 사야?? 9 인견 2018/07/13 2,407
831749 힘없고 조금만 움직여도 숨차고 지쳐서 아무것도 못할때 4 이동 2018/07/13 2,907
831748 최저임금 인상으로 자영업 이제 아무나 못 할 것 같은데 퇴직후 .. 26 노후대비 2018/07/13 4,243
831747 상대방이 오바라고 생각 들지 않을 3 ko 2018/07/13 601
831746 낙지볶음밥 맛없는데 3 안사 2018/07/13 1,044
831745 제눈에 최고의 성공은 10 ㅇㅇ 2018/07/13 5,213
831744 . 48 ... 2018/07/13 15,250
831743 형광등 안정기 교체하려면 9 ..... 2018/07/13 2,627
831742 간밤에 손가혁 7천명 이상 전사...... 8 2018/07/13 2,546
831741 중학생 딸 페이스북,,,, 6 페이스북 2018/07/13 3,094
831740 “한국 결핵치료 공짜” 외국환자 우르르 12 .. 2018/07/13 2,909
831739 우울증끝에 사람들 만나는거 언제 편해질까요. 2 뾰족해지는것.. 2018/07/13 1,453
831738 주방창쪽으로 여름 햇살이 엄청 들어와요 .. 2018/07/13 912
831737 탁구같이 다니실분 찿아요 8 탁구 2018/07/13 1,374
831736 저는 마크롱이 너무 잘 이해되는데요..ㅎㅎㅎ 15 tree1 2018/07/13 6,019
831735 단식투쟁 노조 찾은 김경수 도지사.jpg 4 ㅇㅇ 2018/07/13 1,646
831734 노인들 쓰던 '보료' 느낌의 깔고 잘 수 있는 요 어떤 게 있을.. 4 메트리스 대.. 2018/07/13 1,051
831733 오유펌]강경화 장관 문재인 대통령님과 셀카 찰칵!! 6 남매같은 2018/07/13 1,939
831732 김동철..청와대 비서실 500명 육박…더 키우겠다고요? 4 ........ 2018/07/13 1,460
831731 뷔스티에 원피스가 안이쁘다뇨 51 관점 2018/07/13 9,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