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3이 고등과학 선행하려면 어떤 과목을 해야하나요?

과학 조회수 : 6,163
작성일 : 2018-05-26 20:02:01
중3남자아이 공대진학 목표로 하는데 과학 선행은
어떻게 해야할지요
현재는 중3현행과 시험대비 정도만 하고있는데
이제서야 과학선행을 시작하려고요.
질문은
1학년 통합과학 먼저 선행하고 2학년 물화생지 중 두과목 선택해서 하면되는건지,
아님 통합과학은 안하고 2학년과정 선행하는건지요?

그리고 공대가려면 반드시 물리화학을 해야하는지
아이들이 많이 선택한다는 생물이나 지구과학을 해도
괜찮은건지도 궁금합니다.

큰아이라 잘 몰라 여쭤보니 고등이상 어머님들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182.209.xxx.14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5.26 8:05 PM (116.120.xxx.165)

    영과고 준비하던 아이긴 힌지만 초5에 중등과학 다빼고 초6에 물1,2 화1 나가고 중2인 지금 물,화 1,2 두번돌았어요 이해를 좀 하는인이들은 두번 안돌리고 바로 일반물리 들어가요

  • 2.
    '18.5.26 8:17 PM (223.62.xxx.29)

    보통은 통합과학 안 하고 화1, 생1, 이런 식으로 선행 시작하는데
    저는 통합과학 먼저 하시라고 권하겠어요.
    저 1과목들이(원과목이라 부름) 상당히 어려워요. 중학교에서 바로 건너갈 수 있는 과목이 아니라고 봐야 해요.
    물론 잘 하는 애들은 잘 하죠. 하지만 대개 그 나이에 맞는 인지력 이해력 기본 지식 등이 있잖아요. 그걸 넘어서는 분량을 갑자기 주입하니까
    애들이 어찌어찌 어버버 따라오다가도 나중엔 선행의 의미가 없어질 만큼 잘 잊어버리더군요.
    중학교 때 고등과학 선행했다는 애 치고 정말로 그 선행 가치를 해내는-
    즉 고등에 정작 들어갔을 때
    간단히 복습으로 수업해도 되는 아이는 지금까지 한 명도 못 봤어요.

    통합과학 먼저 하시고
    그 다음에 하나씩 선행을 하는데
    이과 아이들은 화1, 생1 제일 많이 해요.
    물리 해 두면 물리 연계된 대학 전공 때 편하겠죠. 그런데 수능에서는 그냥 원과목 2개 자유 선택인데
    물리는 어려워서 점수 따기가 힘들거든요.
    과학고 애들이 워낙 물리를 잘 하니 얘네하고 수능에서 경쟁하기도 어렵고.
    그래서 물리는 타고난 물리 사랑을 가진 아이들 아니면 잘 선택 안 하고요.
    지학은 쉬워서 한두 개만 틀려도 등급이 훅 내려가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택하는 애들은 택하지만
    이래저래 화1, 생1 응시자가 제일 많고
    인원이 워낙 많다 보니 등급 따기도 좀 낫고. 그렇습니다.

    가고자 하는 대학과 전공을 몇 개 추려서 입학 요강을 잘 보세요.
    앞으로 바뀔 수도 있지만, 대략 지금까지의 뼈대를 봐 두면 좋죠.
    혹시 물리를 반드시 택해야 하는 과가 있는지 훑어보시고
    그런 게 아니라면 굳이 어떤 과목을 염두에 두진 마시고
    아이가 어떤 과목을 잘 하고 좋아할지 소질을 찾아 보세요.
    하다 보면 싫었던 과목이 좋아지고 좋았던 과목이 싫어지기도 하고
    또 전략적으로 이 과목을 택해서 수능 봐야지 하는 생각도 정립되거든요.

    어느 학교든 대개는 2학년 때 물화생지 1과목을 다 하는데(내신)
    3학년 때는 물화생지 2과목(투 과목)중에서 택해서 교육하는 학교,
    학생들에게 택하게 하는 학교, 조금씩 달라요.
    물2는 아예 개설도 안 하는 학교도 많아요.
    수능에서 투 의무로 반영하는 학교는 서울대밖에 없나, 그렇고요.

    그러니 내신을 위해서는 원과목 뭘 해도 하면 좋다,
    (내신엔 원과목 4개 들어가니까)
    하면서 수능에서 뭘 택할지 적성을 슬슬 찾아 봐라,
    선행을 할 거면 통합과학 먼저 하는 걸 권한다,
    투과목은 벌써 걱정할 일은 아니다,
    이 정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홧팅.

  • 3.
    '18.5.26 8:27 PM (49.167.xxx.131)

    과학은 수학후하세요.

  • 4. 음님
    '18.5.26 9:07 PM (182.209.xxx.142)

    정성스러운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요약까지 해주시고...일단 아이와 잘 얘기해보고 적성도 생각해보라고 해야겠네요. 막연했는데 이제 좀 알것같아요. 사실 수학도 더 해야하는것도 사실이고요
    당장 내년에 고딩된다 생각하니 저혼자 마음이 급하네요ㅠㅠ

  • 5. 공대는
    '18.5.26 9:29 PM (124.54.xxx.150)

    물리 필수죠

  • 6. 시간 여유 있으니까
    '18.5.26 9:37 PM (218.236.xxx.187)

    물리부터 시작하고 겨울에 화학 하시면 되겠어요

  • 7. ....
    '18.5.26 9:49 PM (121.166.xxx.249)

    작년은 통과 교과서도 나오기 전이어서 물1 화1 각각 두번씩 돌리고 입학했어요. 통과는 내용자체는 중학교 수준이라 아주 쉽다고 하네요.

  • 8. 과학선행도
    '18.5.27 12:54 AM (182.209.xxx.142)

    두번씩 보고 가는군요...지금부터라도 정신 바짝 차리고 따라가야할것 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7884 (펌) 이재명 지사님..지자체 Top 이시네요 8 와아 2018/07/31 1,114
837883 조현오 "장자연 사건 수사 때 조선일보 사회부장이 협박.. 4 샬랄라 2018/07/31 1,223
837882 진짜 여자들 인간관계 어렵네요. 어려워. 55 아놔 2018/07/31 24,431
837881 부동산 투자에 밝으신분... 마곡 실거주 겸 투자 어떨까요? 7 부동산 2018/07/31 2,770
837880 이읍읍 맛간거 다아는구만 9 우기기 2018/07/31 1,371
837879 대선 주자 (이재명)의 날개를 15 민주당 내부.. 2018/07/31 1,278
837878 애가 친구 하나 없어요 ㅠㅜ. 14 ..... 2018/07/31 5,738
837877 냉장고 메탈 유행 언제까지일까요 14 ... 2018/07/31 4,919
837876 오유펌) 이해찬 - 이재명 22 0ㅇㅇ 2018/07/31 1,607
837875 지금 문파들의 행동을 누가 가장 좋아라 할까요. 20 50년장기집.. 2018/07/31 805
837874 인문학 강의 저한테는 엄청 어렵네요 6 ........ 2018/07/31 1,565
837873 청와대 국민청원 답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2018/07/31 288
837872 아이돌보미 오늘까지 오시는데 감사선물 7 추천 2018/07/31 1,426
837871 맛집에 별로 관심 없는 분 계세요? 22 ........ 2018/07/31 3,088
837870 바그다드 카페 여주인공 넘나 예쁘지 않나요 11 .... 2018/07/31 2,803
837869 눈치 없는 나 15 .. 2018/07/31 4,045
837868 김홍걸 12 ㅅㄷ 2018/07/31 2,374
837867 롱샴에 가죽제품도나오나요? 7 롱샴 2018/07/31 1,771
837866 이재명한테 대선준비하라는 정성호 28 ㅋㅋㅋㅋ 2018/07/31 2,782
837865 오늘 BBC 북한 새미사일 뉴스.. 6 공... 2018/07/31 2,035
837864 14개월 아기 발달 상태는 어느 정도인가요? 6 조카바보 2018/07/31 1,563
837863 올해 너무 더워서 북캉스 하려구요~~ 6 ... 2018/07/31 1,634
837862 은둔형 외톨이가 저 자리에 앉아 있었으니 나라 꼴이 참... 6 2018/07/31 3,061
837861 유리컵 보덤이랑 비슷한 브랜드가 있던데 뭔가요. 9 ,,. 2018/07/31 1,817
837860 유산하고 미역 주문해달라는 아는 동생- 원글 추가 150 덥다더워 2018/07/31 24,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