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소한 살림의 지혜 공유해봐요.

/// 조회수 : 5,206
작성일 : 2018-04-30 14:35:24
수세미 
일회용으로 갈아탔어요.
키친타올 롤 처럼 생겼는데 세일해서 5천원 줬어요.
한 칸씩 뜯어 쓰고 버리면 되고, 저는 혼자 살아 설거지 많지 않아 그런지 3~5일 정도 써요.
특히 후라이팬 닦고 버릴때 죄책감 없어서 좋아요.
단점은 거품이 많이 나지않아 세제를 조금 더 사용하게 되네요.

음식물 쓰레기통
세로로 길죽한 노브랜드 낡은 반찬통에 모아요.
음식물 전용통 거름망 청소는 정말 힘들어서 이게 낫네요.
냄새 배이는 듯 하면 뜨거운 물 끓여 부어 씻고 맑은 물 부어 놓으면 냄새 빠져요.
이것보다 더 나은 방법을 못찾았는데 괜찮은 방법 있으시면 자랑해주세요.

행주....
흰색 삶아 쓰다 귀찮아 패스
색깔 행주 보기싫어 쓰다 패스
뽑아쓰는 물티슈 물기 안닦기고 물자국 남아 패스
총체적 난국 행주
공유 좀 해주세요~~
IP : 61.255.xxx.74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8.4.30 2:39 PM (175.192.xxx.208)

    주방세제에 식초나 먹다남은 소주나 맥주 동량을 거품용기에 넣고 사용
    펌핑할때 마다 거품나와 좋아요. 원액을 두손으로 거품낼필요없어 좋아요. 양도 많구요.

  • 2. --
    '18.4.30 2:39 PM (220.118.xxx.157)

    피자나 치킨 먹고 남은 김빠진 콜라, 전기주전자에 넣고 끓여주면 구석구석 묵은 때 좌~ㄱ 빠져요.

  • 3. 배수구망
    '18.4.30 2:46 PM (220.123.xxx.111)

    다이소에서 샀나? 2000원정도면 몇년쓸 양인데
    확실히 싱크대 물때등이 덜 해요

  • 4. ㅌㅌ
    '18.4.30 2:49 PM (42.82.xxx.14)

    전 음식물 쓰레기통 안만들어요
    그냥 일회용 비닐에 모았다가 버려요
    냄새나는 통씻는게 보통일이 아니더라구요

  • 5. ...
    '18.4.30 2:57 PM (223.38.xxx.36)

    전 이마트트***에서 흰면 행주 셋트로 사서 써요. 좀 누래졌다 싶으면 락스한방울에 담궈두면 또 그럭저럭 쓸만해서;; 다른 수건 삶을 때 같이 삶고. 커피포트에 물끓여먹고 남을때마다 도마, 행주, 수세미에 끼얹고 주말에는 앞베란다에서 햇빛 쪼여줘요.

  • 6. ...
    '18.4.30 2:58 PM (223.38.xxx.36)

    저도 음식물 쓰레기통과 설겆이통는 안두는게 제일 낫더군요.

  • 7. ...
    '18.4.30 3:00 PM (223.38.xxx.36)

    저도 한때 물티슈니 일회용 물걸레패드 사랑했는데... 조금 더럽더라도 일회용은 최대한 자제하려구요. 지구의 깨끗함도 좀 생각해야겠더라구요.ㅜㅜ

  • 8. ..
    '18.4.30 3:06 PM (124.111.xxx.201)

    행주대신 빨아쓰는 키친타올 쓰시고
    집에 나 말고 드나드는 사람 없는 집이면
    두루마리 화장지도 하나 부엌에 두고
    음식하다 흘리는거,적은 오물 등은 화장지로 닦아버리면
    키친타올. 행주 쓸 일이 훨씬 줄죠.

  • 9. 수세미
    '18.4.30 3:17 PM (121.133.xxx.45) - 삭제된댓글

    씽크대 수세미를 고리있는 집게를 수전에 걸어 수세미를 집게로 집어놔요.
    물도 저절로 빠지고, 수세미 거치대 따로 씻을 필요도 없고요.

  • 10. 수세미
    '18.4.30 3:18 PM (121.133.xxx.45)

    씽크대 수전에 고리 있는 집게를 걸어서 수세미 집어놔요.
    물도 저절로 빠지고, 수세미 거치대 따로 씻을 필요도 없고요.

  • 11. 행주
    '18.4.30 3:21 PM (39.116.xxx.164) - 삭제된댓글

    부직포행주 한장에 120원정도하는게 있어요
    색깔 분홍노랑초록으로 된 행주
    마트에서 사면 300원 넘는데 인터넷에 똑같은거
    포장안되있는거 사니 120원정도
    그거 몇일 행주로 쓰다 좀 더러워지면 가스렌지나 주방에
    좀 더러운곳 청소하고 깨끗이 빨아서 걸레로 한두번
    쓰고 버려요

  • 12.
    '18.4.30 3:28 PM (211.114.xxx.183)

    살림팁 감사합니다

  • 13. 저도
    '18.4.30 3:31 PM (121.128.xxx.111)

    세제에 식초 소주 섞어서 써요.
    음식 쓰레기는 소량이면 원글님 방법이 제일 좋아요.
    여름엔 벌레 생기니 냉동고에 들어 가기도..
    행주는 예전에 82 장터에서 흰색 부직포 지금껏 쓰는데
    조금 남아서 고민이예요.

  • 14. 근데
    '18.4.30 3:34 PM (125.177.xxx.106)

    수세미 1회용으로 쓰면 쓰레기가 너무 많아지지 않나요.
    플라스틱 차이나 보면서 쓰레기 줄여야겠다는 생각 들던데...
    수세미 잘 말려서 여러 번 쓰는 게 좋을 것같아요. 1회용보다..

  • 15. 저도
    '18.4.30 4:19 PM (210.92.xxx.130)

    일회용 수세미 사랑하고요
    사나흘 쓰고 그걸로 화장실 청소하고
    마지막으로 변기까지 싹싹 닦아 버려요
    그러면 환경에 좀 덜 미안하죠 ^^; 암튼 그냥 안버리고
    화장실이든 어디든 청소 후 빨기 어려운 곳을 닦아 버립니다

  • 16. ///
    '18.4.30 4:35 PM (223.62.xxx.195)

    음식물은 락엔락 같은 밀폐용기면 여름에도 벌레 안생겨요.
    저는 노브랜드 싼거써요.

    참 종량제 쓰레기 관리
    밀폐용기 큰걸 사요. 천원샵에서 3-4천원 준 것 같아요.
    거기 비닐 끼워 써요.
    냄새 하나도 안나요. 벌레 한마리도 안꼬여요.
    저희는 냥이 화장실을 매일 치워야해서 냄새가 너무 골치였어요.
    강쥐 키우시는 분들도 좋을듯해요.
    3천원으로 쓰레기 해방됐어요!

  • 17. ///
    '18.4.30 4:36 PM (223.62.xxx.195)

    쓰레기팁 받고
    행주팁 던져 주세요~^^

  • 18.
    '18.4.30 4:39 PM (1.227.xxx.5)

    음식물 쓰레기통은 여튼 싼거든 비싼거든 가격이 중요한 게 아니라 버린다음 씻는 과정 있는 게 불편하니까요. (저도 온갖 쓰레기통을 다 써봤네요. ㅎㅎㅎ) 제일 좋은 건 지퍼백이에요. 그런데 새 지퍼백을 그냥 쓰긴 좀 아까우니까요. 저는 자투리 야채, 쌀 등등을 지퍼백에 보관하거든요. 새 지퍼백을 그 용도로 쓴 다음, 자투리 야채들을 쓰고 그 지퍼백이 비워지면 한번 사용했던 지퍼백들을 모아뒀다가 음식물 쓰레기통으로 활용해요.
    음식물 쓰레기 모아두고 지퍼로 잠궈두면 냄새도 안나고요, 들고 내려가서 버리고 옆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 전용 비닐 쓰레기통에 버리면 끝.

    행주는 빨아쓰는 종이행주 쓰시구요. (저는 별로 좋아하진 않습니다만 원글님 스타일엔 좋을 듯요.)

  • 19. 123
    '18.4.30 5:29 PM (125.178.xxx.183)

    시간이 없을 수록 위생이 우선이죠.. 관리못한 행주 수세미는 세균의 온상이에요

  • 20. ,,,
    '18.4.30 5:33 PM (121.167.xxx.212)

    저는 귀찮아도 면행주 사용 하는데요.
    며칠전 언니네집에 놀러 갔더니 물휴지 톡톡한걸로(얇은거 말고요) 행주 대신 사용 하고
    식탁 닦고 버리고 물기 남으면 크리넥스 한장으로 마무리 하는데 편하다고 얘기 하더군요.

  • 21. ///
    '18.4.30 7:33 PM (61.255.xxx.74)

    음님 맞아요
    지퍼팩도 음식물쓰레기용으로 아주 좋아요.
    저는 여름에 주로 지퍼백 써요.ㅎㅎ

    행주대신 물티슈로 닦으면 물자국이 나서 또 손이 한번 더 가더라구요.
    윗님은 크리넥스 마무리 하시네요.
    게다가 아무리 톡톡한 물티슈라도 싱크대 상판 물 튄거랑 닦기는 역부족이라 톡톡한 일회용을 찾는데,,,그런게 있을리가요..ㅜㅜ

  • 22.
    '18.4.30 8:53 PM (220.83.xxx.189)

    행주는 전 평소엔 빨아쓰는 키친타올을 쓰고요.
    하루 이틀 정도는 그거 빨아서 쓰고 레인지 닦고선 버려요.
    부억 대청소 할때만 천으로 된거로 쭉 닦고 전자렌지로 삶은 다름에 말려서 넣어두어요.
    다음에 싱트대 청소할때나 꺼내려고요.

  • 23. cake on
    '18.4.30 9:12 PM (110.35.xxx.86)

    노브랜드 쿠키 바구니에 채소 다듬은 거, 음식물 남은 거 붓고 뚜껑닫아서 냉동실..

  • 24. ...
    '18.4.30 9:28 PM (220.127.xxx.123)

    전 아이땜에 물티슈 한개는 꼭 집에 두는데요. 그냥 저렴한 이마트 트레이더스 pb상품. 부엌에서 빨간거나 양념, 기름뚝뚝 흘린거 같은거 물티슈 한장으로 대강 정리하고 일반 행주쓰면 행주 그리 안더러워져요.
    그리구 후라이팬은 꼭 달궈졌을 때 키친타월로 싹 닦아내고 설겆이하면 수세미 덜 더러워지구요.

  • 25. ...
    '18.4.30 9:29 PM (220.127.xxx.123)

    물티슈가 물자국은 남아서 저도 결국 저렇게 하는데 생각보다 번거롭진 않아요. 행주 빡빡 안빨아도 되니까요.

  • 26. ...
    '18.5.1 10:24 AM (121.168.xxx.202)

    행주 대신 코인티슈 써요 물티슈는 성분들이 의심스럽고해서요 코스트코에서 사면 꽤 오래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5902 또릿또릿 남동생입니다(마지막) 33 또릿또릿 2018/08/21 5,083
845901 김찬식님 페북)))헬게이트 열리는거 한순간이네요 28 투표 잘하자.. 2018/08/21 1,280
845900 부대찌개집 스테이크? 1 ..... 2018/08/21 782
845899 내일태풍어느정도일까요?ㅜㅜ 3 ㅇㅇ 2018/08/21 2,282
845898 김성태씨 패기, 한 놈만 팬다, 끝장 보자 18 김성태씨패기.. 2018/08/21 1,033
845897 내 눈에 잘생긴 남자 4 \\ 2018/08/21 2,090
845896 실시간 대한민국 일자리 상황판 2 ㅇㅇㅇ 2018/08/21 554
845895 낼모레50 처음 피아노 배우고 싶은데 분당 수내 정자쪽에 학원 .. 8 지역카페는 .. 2018/08/21 1,339
845894 82쿡에서 나만 정상인거같아요 48 정상 2018/08/21 4,406
845893 식빵 이거 먹어도 되는걸까요? 4 진선 2018/08/21 1,248
845892 지금매불쇼에 유툽가짜뉴스얘기하는데 수익;; 12 ㄱㄴ 2018/08/21 847
845891 김동연 부총리와 장하성 정책실장 왜 그런가요? 29 궁금 2018/08/21 2,483
845890 회사 학비 지원 궁금해요 10 . . 2018/08/21 1,992
845889 설정스님... 산중으로 돌아가겠다 19 ........ 2018/08/21 3,702
845888 이정렬 판사가 가사노동의 가치를 높게 보는 판례를 만들어줬네요... 2 오~ 2018/08/21 803
845887 중고생 애들에겐 역시 부모의 이혼이 영향이 크겠죠? 19 신중하게 2018/08/21 5,414
845886 이 사람 조건 어떤가요 17 .... 2018/08/21 2,832
845885 라흐마니노프 곡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28 클래식 2018/08/21 2,690
845884 문대통령에게 욕설한 당대표 후보- 기사 삭제됐네요 32 ㅇㅇ 2018/08/21 1,244
845883 *****수퍼바이저 먹이금지, 빈상가 제목보고 득달같이 달려옵니.. 5 수퍼바이저에.. 2018/08/21 398
845882 제가 직접 겪은 이해찬 비화? 실화? 24 .. 2018/08/21 1,553
845881 YTN 라디오 인터뷰 중 이해찬 팩폭.TXT 7 해찬옹 2018/08/21 743
845880 박근혜 황교안은 친일파? 2 매국노 2018/08/21 449
845879 극우 유튜브 개인방송 '가짜뉴스' 큰 사회적문제 되는건 시간문제.. 3 ㅇㅇ 2018/08/21 411
845878 내집 없는 저소득자 급증..다주택자, 알짜주택 '싹쓸이' 2 샬랄라 2018/08/21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