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안식년을 아이 중 1때 가신 분 계실까요?

안맞아도 너무 안맞아 조회수 : 1,529
작성일 : 2018-04-30 10:06:19
남편이 교수인데, 사정상 초등이 아니라 중 1때 나갈 수가 있어요.  거기 학기에 맞추려면 중 1학년 2학기에 나가서 중 2 2학기에 한국에 들어오게 되는데 아무래도 초등학생때가 아니다 보니 심적 부담이 많이 크네요.  물론 안가겠다 포기하면 그만이지만 또 갔을때의 장점도 있고 무엇보다 가족이 1년간 함께 색다른 생활을 해본다는 점과 동생은 초등 저학년이라서 시기적으로 좋은 점 때문에 쉽사리 결정을 못하겠네요.. 

초등에 나가시는 분들은 워낙 많겠지만 혹시 중학교 1학년때 나갔다와도 잘 적응하신 분들 계신지요?  요새 수학 선행 워낙들 중요하다는데.. 그것도 많이 부담스럽기도 하고... 아니면 갔다와서 아이가 열심히 하면 문제가 없을까요? 정말 결정을 못하겠어요..  실제 겪으신 분들 답 기다립니다.. 
IP : 124.50.xxx.7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4.30 10:24 AM (180.66.xxx.57) - 삭제된댓글

    중학교: 공부를 많이 가르쳐 주는것도 아니고. 억센 애들 사이에서 살아남는 법 배운다고 생각해요. 요즘 공부는 다 학원에서 하니깐요

    미국 중학생들은 초등보다 먼저 나갔다가 더 빨리 들어오더라구요. 가셔서 영어 튜터 붙이시고. 한국서 유학나온 서울공대 석사과정 한테, 수학하고 과학 선행 매일 돌리시면 되지요. 그리고는 미국 명절마다 알차게 돌아다니시구요.

    1년 간다고, 영어 해결 안되고. 거기서 수학 과학 열심히 하고 오면 될거 같은데요.

    전 4학년 애 데리고 갔었는데...둘째는 중학교때 다녀올까 생각중이어요.

  • 2. 소리
    '18.4.30 10:24 AM (125.186.xxx.113)

    저희가 큰애 초6-에서 중1, 둘째 초3-4 2년 나갔다 왔는데 아무 문제 없었어요. 한국학제는 저렇지만 큰애의ㅈ경우ㅈ거기선 첨부터 세컨더리 였죠. 영어만 보자면 프라이머리 2년과 세컨더리 2년은 완전 달라요. 애들 영어와 성인 영어의 차이라고 할까요. 여하튼 저희 경우는 큰애가 얻은게 훨씬 많았어요.

  • 3. ..
    '18.4.30 10:37 AM (125.182.xxx.150)

    저희 경우는 아이가 중2 1월에 가서 중3 1월에 왔습니다 딱 1년 있었는데 아이의 성향에 따라 다를것 같기도 합니다 일단 가기전에 수학 선행을 수1까지 하고 미국에서도 수학은 계속 교재로 꾸준히 복습하고 하니 돌아와서도 크게 힘들지는 않았는데 문제는 국어여서 돌아온 방학기간에 시간을 많이 투자해서 어느정도 올리기는 했지만 고등내내 좀 힘들었습니다 아이가 이과여서 그런 부분도 있었습니다 아이가 자기주도학습이 잘되어 있었고 공부욕심도 있어 다행히 갔다와서 오히려 성적이 오른케이스이기는 하지만 중3때 진도 따라가려면 정말 열심히 해야 합니다. 아이가 힘들어 하면 갔다와서 중2로 다시 공부하는것도 괜찮습니다 저희는 아이를 미국에 두고 올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지내면서 계속 한국으로 돌아가야한다고 말해서 아이가 돌아오는것에 부담이 없었지만 많은분들이 아이를 두고 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아이들이 남아있고 싶어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더군요.. 올해 대학간 5년전일이라 요즘은 어떨지...

  • 4. ㅎㅎㅎ
    '18.4.30 10:45 AM (121.129.xxx.37)

    이건 아이의 개인차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지요. 성격도 중요하지만 지능이 특히 중요합니다. 교수가족이라니 아이 머리도 좋고 집안에 학구적 성향도 있을 거라는 전제하에 저희 경험 말씀드릴게요.

    두 아이 중1 중2에 1년 있었구요. 결론적으로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특별히 수학 뭐 이런거 시키지도 않았구요. 그 대신 방학 초기 귀국이라 방학 동안 지난 해 배웠을 수학 책 한번 봐라 해서 그거 참고서 자습하는 걸로 무난히 적응했습니다. 책 좋아하는 애들이라 국어는 별 타격이 없었구요.

  • 5. 대딩 엄마
    '18.4.30 10:48 AM (183.103.xxx.157)

    문제는 아이가 2학년 2학기에 돌아오는 거니.... 특목고 진학은 어려울 것 같고 시험도 본격적으로 어려워 지는 상황이라서 아이가 시험에 기가 죽어서 힘들어 할까 그게 걱정이네요

  • 6. ...
    '18.4.30 11:17 AM (125.186.xxx.152)

    저는 아이 중1 여름방학에 들어왔는데
    수학 열심히 한다해도 아무래도 한국만 못했고..
    미국안갔으면 자사고 목표였는데
    결국 외고 갔어요
    외고에서 이과공부하겠다고 했다가 그것도 힘들어 포기.

  • 7. 영재특목자사고
    '18.4.30 11:23 AM (183.98.xxx.143) - 삭제된댓글

    지원자면 신중하게 고민
    이과라면 문과보다 고민
    문과 일반고라면 걍 진행

  • 8. 경험자
    '18.4.30 11:28 AM (121.148.xxx.251)

    저희 집이요.
    큰 아이 중1.작은아이 초5. 1년 안식년 갔다 왔습니다.
    학년 변동없이 2학년 컴백 했고 올해 무난히 특목고 진학 했습니다.
    큰아이가 궁금하실 테니 그 아이를 중심으로 이야기해 드릴게요.
    가기 전에 수학은 중학교 3년 과정 선행 해서 갔고 영어는 잠수네 스타일로 하고 가서 els 없이 적응 잘 했습니다. 거기서도 즐겁게 1년 잘 지냈구요. 수학만 선행 나간 거 복습. 학교생활 충실 정도였습니다. 여행 많이 다녔고요 자동차 횡단 여행 추천 합니다.
    다녀와서 중학교 수학 심화 고등학교 수학 선행 열심히 했고 고등학교 입학 전 확통까지 하고 이번에 특목고 입학 했습니다. 국어는 1년 학원 다녔고 영어는 고등학교 입학 전 2개월 문법만 했습니다.
    1년 동안 충분히 충전하고 좋은 시간 보내고 왔더니 사춘기도 부드럽게 지나가고 공부에 집중할 수 있어서 나쁘지 않았습니다.

  • 9. 햇쌀드리
    '18.4.30 1:43 PM (182.222.xxx.120)

    중1이라면 고민도 안하고 가겠어요.
    저흰 중3임에도 갈까 생각중인데...
    주변에 부정적인 의견이 더 지배적이긴 합니다.

  • 10. 저희집
    '18.4.30 4:43 PM (118.36.xxx.235)

    원글님과 똑같이 중1 여름방학때 나가서 중2 여름방학에 들어왔어요.
    한국에 있었음 자유학기제라 어영부영 보냈을텐데 미국에서 다양한 경험하고 가족여행 충분히 하고 돌아와서 참 좋았어요.덕분에 사춘기도 쉽게 넘어가고 아이도 많이 성장해서 돌아왔어요.
    수학이 중요하다 해서 미국 현지 공부보다 한국 수학공부에 집중했고요, 한국에 있던 아이들보다 수학공부는 더 많이 한 것 같아요.
    다만 국어 따라가기가 좀 힘들었습니다.
    또 하나의 변수는 아이의 영어실력이에요.
    미국 아이들도 순진한 초등도, 철난 고등도 아닌 무서운 중딩들이러 영어 잘 못하는 아이가 쉽게 친구 사귀고 어울리는게 쉽지 않아요.
    어느정도 영어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가서 잘 적응할 수 닜울 덧 같아요.
    비슷한 시기에 연수 가서 그 곳에서 만난 지인은 아이가 등교거부해서 결국 귀국했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4769 정유라 아시안게임 연금???? 궁금궁금 2018/08/18 1,084
844768 스튜 1 일제빌 2018/08/18 407
844767 김반장 트위터 23 극딜스테이션.. 2018/08/18 1,751
844766 공무원 병가, 이런 경우도 해당되나요? 11 공무원 2018/08/18 5,645
844765 너무 신 복숭아 ㅠㅠ 어찌할까요? 8 가을 2018/08/18 1,385
844764 잠실에서 제일 비싼 아파트는 어디인가요? 11 잠실 2018/08/18 8,194
844763 야채 요즘 뭐 사드세요 10 2018/08/18 3,465
844762 근데, 집값 수억 올른 경우에 해당하는 국민이 몇프로나 될까요 4 dma 2018/08/18 1,703
844761 그럼..옷좀 많이 산다하시는 분들 브랜드 어디꺼 좋아하세요? 27 브랜드좀 2018/08/18 6,885
844760 이제는 댓글이라도 달아야겠어요. 67 평범녀 2018/08/18 3,341
844759 대마도 택시 투어 츠시마 2018/08/18 1,003
844758 쉽게 약속 캔슬하는 사람들 9 약속 2018/08/18 3,555
844757 알쓸신잡3 해외 가는 거였군요 10 ... 2018/08/18 3,491
844756 어제 김용건님 다시 태어나고 싶다는 말이 좀 충격이네요 43 꽃보다할배 2018/08/18 17,788
844755 진짜 권순욱트윗글 맞는지 22 ㄱㄴㄷ 2018/08/18 1,055
844754 종교와 관계된 아이 이름 개명해줘야할까요? 17 ... 2018/08/18 3,588
844753 공무원 며느리가 대단한건가요? 17 글쓴이 2018/08/18 10,878
844752 김지은, 법원 작심비판..'왜 내게는 묻고 안희정에겐 안 묻나'.. 21 ... 2018/08/18 4,060
844751 워터파크에 생후 3개월 아기 데리고 오는거 .. 2 ... 2018/08/18 3,318
844750 40대 중반 임플란트 하신 분들 몇 개씩 갖고 계세요? 8 ........ 2018/08/18 3,514
844749 이해찬의원 딴지에 인증하셨다니 부럽네요 38 ... 2018/08/18 1,410
844748 [탐사K] 검찰, 5년 전 '새누리 매크로' 물증 확보 뒤 방치.. 3 특검하라니까.. 2018/08/18 591
844747 은평뉴타운 테라스형 아파트 어떤가요? 4 이사계획 2018/08/18 3,346
844746 네일하는 아기엄마? 8 ㅇㄹ 2018/08/18 3,487
844745 경계성(?)adhd 라면 약 먹어야 할까요? 6 ㅇㅇ 2018/08/18 2,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