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도토리묵이 너무 묽게 쑤어졌어요

푸딩 조회수 : 6,889
작성일 : 2018-04-19 13:52:55
하룻밤 굳혔는데도 출렁출렁 푸딩상태에요
양도 많아서 3리터정도 되는데
이걸 어째야 하나요
IP : 116.127.xxx.4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4.19 1:56 PM (211.110.xxx.181)

    건조기 있으면 말려서 묵말랭이 만드세요

  • 2. ...
    '18.4.19 1:59 PM (1.248.xxx.74)

    도토리 가루는 어디서 구하셨어요?

  • 3. acorn puding
    '18.4.19 2:24 PM (116.127.xxx.43)

    묵말랭이 일단 묵을 썰어야 가능한거죠? 썰어지려나ㅠㅠ
    오븐에 돌려봤는데 껍질만 바삭해져서 뜯어먹고있는...어느 세월에 다먹죠 에휴휴
    도토리가루는 친정서 아는사람한테 사셨다고...일년 족히 넘었는 데 멀쩡함
    생협같은 데 도토리가루 팔거에요 아마

  • 4. 부침개
    '18.4.19 2:33 PM (218.149.xxx.115) - 삭제된댓글

    썰지도 못할상태라면 김치, 돼지고기, 쪽파, 미나리, 계랏 등등 집에 있는 채소넣고 부침개 만들어 드세요.

    저도 묵 쑤다 폭망해서 굵은체에 한번 내려 부침가루 섞고 전부쳐 먹은적 있는데 맛있어서 그 뒤론 일부러 김치전에 도토리가루 넣어 전 부쳐 먹고 있어요.

    꼭 체에 내리지 않더라도 비닐장갑 끼고 주물럭 거리다 부침가루랑 섞어 반죽 만드시면 될듯.
    제가 이 방법으로 순두부를 전부칠때 넣는데 대충 주물럭거리다 부침가루, 물 넣고 거품기로 막 섞으면 부침반죽으로 괜찮거든요.

  • 5. 부침개
    '18.4.19 2:35 PM (218.149.xxx.115) - 삭제된댓글

    썰지도 못할상태라면 김치, 돼지고기, 쪽파, 미나리, 계란 등등 집에 있는 채소넣고 부침개 만들어 드세요. 

    저도 묵 쑤다 폭망해서 굵은체에 한번 내려 부침가루 섞고 전부쳐 먹은적 있는데 맛있어서 그 뒤론 일부러 김치전에 도토리가루 넣어 전 부쳐 먹고 있어요.

    꼭 체에 내리지 않더라도 비닐장갑 끼고 주물럭 거리다 부침가루랑 섞어 반죽 만드시면 될듯.
    제가 이 방법으로 순두부를 전부칠때 넣는데 대충 주물럭거리다 부침가루, 물 넣고 거품기로 막 섞으면 부침반죽으로 괜찮거든요.

    그리고 묵 쑬때 도토리 1컵에 물 5컵 넣으면 절대 실패없어요.

  • 6. 홍차마니아
    '18.4.19 3:40 PM (218.149.xxx.115)

    썰지도 못할상태라면 김치, 돼지고기, 쪽파, 미나리, 계란 등등 집에 있는 채소넣고 부침개 만들어 드세요. 

    저도 묵 쑤다 폭망해서 굵은체에 한번 내려 부침가루 섞고 전부쳐 먹은적 있는데 맛있어서 그 뒤론 일부러 김치전에 도토리가루 넣어 전 부쳐 먹고 있어요.

    체에 내리기 귀찮으시면 믹서에 갈거나 비닐장갑끼고 대충 주물럭 거린뒤 부침가루랑 섞어 반죽 만드시면 될듯.
    제가 이 방법으로 순두부나 두부를 전 부칠때 넣는데 괜찮거든요.

    그리고 묵 쑬때 도토리 1컵에 물 5컵 넣으면 절대 실패없어요.

  • 7. 푸딩
    '18.4.19 4:15 PM (116.127.xxx.43)

    1대5였군요 ㅠㅠ 어쩐지 인터넷 검색했더니 1대6이라고 나와서 망쳤네요 참기름은 왜 넣으라는지 참기름냄새가 폴폴
    부침개 하겠습니다ㅡ부침개 해먹다가 기름좀 안먹어 보려고 묵쒔더니 이런 사태가

  • 8. 1대6도
    '18.4.19 9:40 PM (182.215.xxx.131)

    괜찮아요. 묵이 묶은 건 덜 쑤어져서 그럴수도 있어요. 더 충분히 저었아야 하는데 일찍 그릇에 부으신듯 해요. 다시 쑤면 탱탱해지기도 합니다

  • 9. 홍차마니아
    '18.4.20 12:50 PM (218.149.xxx.115) - 삭제된댓글

    묵이 다 쑤어졌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주걱을 묵 가운데 꽂아놨을때 쓰러지지 않으면 됩니다. 옛날 어르신들이 묵 쑬때 하시던 방법이예요.

    물을1대 5로 잡느냐 1대 6으로 잡느냐 말들이 많은데 전분을 섞지않고 순수한 도토리가루로만 했을때는 1대 5로 잡는게 안전합니다. 대부분 6으로 잡았다가 망하신분들이 많아요.

    그리고 묵이 다 끓었다고 생각했을때 불을 줄이고 뜸을 좀 들이세요. 밑에 누룽지가 생길정도로 천천히 저어주면서 10분쯤(한컵분량. 양에 따라 뜸들이는 시간 가감) 뜸을 들이면 묵이 탱탱하니 잘됩니다.

  • 10. 홍차마니아
    '18.4.20 1:00 PM (218.149.xxx.115)

    묵이 다 쑤어졌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주걱을 묵 가운데 꽂아놨을때 쓰러지지 않으면 됩니다. 옛날 어르신들이 묵 쑬때 하시던 방법이예요.

    물을1대 5로 잡느냐 1대 6으로 잡느냐 말들이 많은데 전분이 섞였냐 안섞였냐에 따라 다르므로 자신이 없을때는 1대 5로 잡는게 안전합니다. 차라리 되게 끓인게 낫지 묽게 쑨 것은 썰거나 집을때 부서지니까요.

    그리고 묵이 다 끓었다고 생각했을때 불을 줄이고 뜸을 좀 들이세요. 밑에 누룽지가 생길정도로 천천히 저어주면서 10분이상 충분히 뜸을 들이면 묵이 탱탱하니 잘됩니다. 한컵 기준으로 10~15분인데 그 이상을 할 경우에는 20분이상 뜸을 들여주세요.

    그리고...
    기름 넣을때 전 들기름 넣어요. 참기름은 무칠때 넣으니까 다른 기름을 넣는게 좋거든요. 들기름 없으면 식용류도 괜찮아요.

  • 11.
    '18.4.20 10:33 PM (221.149.xxx.219)

    묵쓰는법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2115 DKNY 싱글 노처자들 컴온 35 싱글이 2018/04/20 2,733
802114 약사님계실까요? Losartan/HCTZ 50-12.5MG이것과.. 3 .... 2018/04/20 1,160
802113 속보- 남북정상 직통전화 핫라인 개통..."평양입니다&.. 7 ㅇㅇ 2018/04/20 1,753
802112 문재인 대통령, 美포춘 ‘위대한 지도자 50인’ 4위…국가 정상.. 7 ㅎㅎ 2018/04/20 1,117
802111 김경수 의원 26 ㅎㅎㅎ 2018/04/20 3,690
802110 전립선암, 서울대병원 의사 추천부탁드립니다 6 .. 2018/04/20 2,224
802109 유투브로 캔디를 보고있어요 5 ㅇㅇ 2018/04/20 1,573
802108 이재명 쪽 (?) 트윗 jpg 20 헐이런잡것 2018/04/20 3,054
802107 유치원 학부모 상담가요 2 ... 2018/04/20 1,272
802106 끌려가는 ‘미래 유권자’ 보고 웃는 한국당 홍준표·김문수 4 ㅇㅇ 2018/04/20 1,393
802105 다이슨 드라이기 사용하시는분? 15 .. 2018/04/20 4,302
802104 요즘 SBS 정말심한데, 안보기 운동하면 안될까요? 7 인생의회전목.. 2018/04/20 1,355
802103 종편 돌려보다보니.. 3 기레기아웃 2018/04/20 1,175
802102 술드시러 오시고 싶어하시는 시부모님 ㅠㅠ 31 bb 2018/04/20 6,433
802101 인간관계에서 자꾸 상처를 받아요. 11 36589 2018/04/20 5,416
802100 생리 몇일이나 하세요? 5 새벽2시 2018/04/20 5,372
802099 아들이라 딸이라 든든해 하는 분들과 내 자식들이 안 엮이기를 4 바랍니다. 2018/04/20 1,675
802098 계약서 1년 쓰면, 2년 안살아도 되나요? 5 전세 2018/04/20 1,382
802097 노처녀는 성관계 기준임, 혼인신고 기준임? 6 oo 2018/04/20 4,364
802096 공기청정기를 틀면 되려 기침가래를 해요 5 공기청정기 2018/04/20 3,483
802095 시간이 일할 때 빨리 가나요? 놀 때 빨리 가나요? 9 .... 2018/04/20 1,350
802094 부가가치세질문이요 3 ... 2018/04/20 1,207
802093 새삼 조상들의 사회모습이 궁금하네요 역사 2018/04/20 700
802092 카드론 받아보신 분 있나요? 4 2018/04/20 1,836
802091 동네 엄마와 안놀면 누구랑 노나요? 56 45567 2018/04/20 16,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