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베란다창으로 산과 강을 선택하라면 어디일까요?

평온하게 조회수 : 2,006
작성일 : 2018-04-19 13:41:50
지금은 서울도심 아파트에서 살고 있어요
매일 꾸는 꿈은 
베란다창밖으로 하늘과 햇살이 다 들어오는 
그런 곳에서 사는 거랍니다
강을 선택하려면 한강라인의 경기도근접 아파트나
산을 선택하려면 서울주변 산근처 아파트를 물망에 올렸어요
여러분은 강과 산중 어느 뷰를 더 선호하세요?
IP : 14.32.xxx.4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묻고 따지지도 않고
    '18.4.19 1:43 PM (183.96.xxx.113) - 삭제된댓글

    숲입니다.

  • 2. ...
    '18.4.19 1:44 PM (211.110.xxx.181)

    전 산이 좋은데 현실에서는 강 조망권이 더 비싸네요
    교통이며 입지가 강조망권이 더 좋으니까 그런가봐요

  • 3. ..
    '18.4.19 1:45 PM (183.96.xxx.113) - 삭제된댓글

    산 보다는 공원, 숲이죠.
    산 조망은 서울 끝자락이 대부분이라서 .

  • 4. 산이요~
    '18.4.19 1:45 PM (175.195.xxx.87)

    지금 사는동네가 산 주변인데 너무 좋아요 바로 눈앞에 산이 있으면 더 좋을거같아요

  • 5. ...
    '18.4.19 1:46 PM (211.36.xxx.55)

    저도 산을 더더 좋아 하는데
    현실은 강조망이 비싸죠..

  • 6. 저는 산이요
    '18.4.19 1:46 PM (211.38.xxx.181) - 삭제된댓글

    근데 온갖 벌레들(심지어 지네까지 ㅠㅠ) 습기 높은건 고려하셔야 해요. 그래도 상대적으로 공기가 맑고 산새들 지저김이 좋아서 단점들은 견딜만 하더라구요.

  • 7. 원글
    '18.4.19 1:47 PM (14.32.xxx.47)

    추가
    아.. 지금은 한강변아파트에 살고 있어서 강에 대한 욕심은 없고
    겨울에 눈내리는 산 봄에 흐드러지게 피는 꽃에 뒤덮힌 산이
    감동으로 다가오네요

  • 8. ...
    '18.4.19 1:47 PM (119.71.xxx.61)

    저도 강이 좋긴한데 물을 바라보는게 사실 좋지는 않다고 하네요

  • 9. ...
    '18.4.19 1:54 PM (211.110.xxx.181)

    지난달 친정 집 팔았는데
    집은 낡았지만 거실에서 내다보는 산 전망이 정말 최고거든요
    앞에 온갖 꽃이 피고, 겨울에 눈 내린 산 보는게 정말 좋았는데
    부모님 연세가 너무 많아서 돌봐드릴려고 우리집 근처로 이사오시거든요
    산 조망권 친정집 너무 좋았어요
    교통은 불편했요..ㅋㅋ

  • 10. 신문기사
    '18.4.19 1:57 PM (222.106.xxx.19)

    90년대 읽었던 기사인데 남편과 사별한 50대 이상 여자들의 경우
    강이 보이는 아파트에서 사는 게 위험하다고 했어요.
    우울증이 생기고 점점 더 심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부러 이사하는 여자들이 있다고 했어요.

  • 11.
    '18.4.19 2:01 PM (223.38.xxx.139) - 삭제된댓글

    지금 벚꽃지니 진달래인지 철쭉인지 피었고 겁벚꽃이 활짝 폈네요.
    야리야리한 연돠색잎파리는 점점 진해질거고요.
    여름에 문열어놓으면 나무냄새 기막히지요.
    한강변 비싼아파트에 사는 친구는 매연에 시끄러워서 문못열고 산데요.
    타이어분진때매 걸레가 새까맣데요.
    우리집 먼지는 회색인거보고 놀라드만요.
    우리집은
    벌레는커녕 모기도 보기힘든데
    방충망이 좋아서일까요?

  • 12. 원글
    '18.4.19 2:07 PM (14.32.xxx.47) - 삭제된댓글

    윗님 한강변아파트인데 시끄럽고 매연 타이어분진이라면
    아마 강남은 아니고 강북일거예요
    강남 한강변아파트는 도로와 아주 근접하게 맞닿지 않고
    대부분 한강공원 폭이 넓어서 도로로 인한 스트레스는
    경험상 없던데요
    강북라인보면 아파트아래에 도로가 대분분인걸로 봤어요

  • 13. 원글
    '18.4.19 2:09 PM (14.32.xxx.47) - 삭제된댓글

    윗님 한강변아파트인데 시끄럽고 매연 타이어분진이라면
    아마 강남은 아니고 강북일거예요
    강남 한강변아파트는 도로와 아주 근접하게 맞닿지 않고
    대부분 한강공원 폭이 넓어서 도로로 인한 스트레스는
    경험상 없던데요
    강북라인보면 아파트아래에 도로가 대분분인걸로 봤어요
    아... 포인트는 이게 아닌데

  • 14. ㅁㅁ
    '18.4.19 3:03 PM (110.70.xxx.34)

    산을 좋아하면 산 전망도 좋겠죠.
    대부분 왜 산보다 강 전망이 비싼지 생각해보면
    산이라는 건 경사진 지형이고 가로막고 있으니 대도시면 변두리일 수밖에 없죠 도시가 확장을 못하니까요.
    따라서 전망은 좋으나 가격이 싸겠죠ㅡ
    도시는 강을 따라서 발전을 하니까 강 근처는 교통이 편하고
    조망권까지 있으니 비싸구요.
    상식 선에서 판단하면 됩니다.

  • 15. ..
    '18.4.19 3:12 PM (211.224.xxx.248)

    우리나라서 강조망이 더 쳐주는 이유는 딱 하나예요. 우리나란 국토의 70퍼센트가 산이라 산이 흔해서 강을 더 쳐주는거

  • 16.
    '18.4.19 4:07 PM (175.117.xxx.158)

    산이요 ᆢ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1687 커튼봉 짧은거 설치 어떻게 하는건가요? 2 .. 2018/04/19 555
801686 18세 주민등록증발급문의 1 ㅇㅇ 2018/04/19 713
801685 5월7일 공휴일 인가요? 4 ... 2018/04/19 1,690
801684 간경화 당뇨환자인데 뱃가죽이 너무 아프다는데 ㅠ 4 2018/04/19 3,032
801683 미역이랑 파와 궁합이 안좋다네요 6 ㅇㅇ 2018/04/19 1,826
801682 청순한 경수씨 사진 보고 가세요 11 ㅇㅇ 2018/04/19 3,017
801681 아이가 항암 중이예요. 집에 오면 침구류는 어쩌죠? 138 하늘이 무너.. 2018/04/19 20,485
801680 어제 일반폰 경선투표 못했다고 글 올렸는데 방금 했어요!! 5 .. 2018/04/19 490
801679 칼발.. 구두사기 느무 힘드네요 ! 15 에혀 2018/04/19 6,330
801678 부가가치세 1500건 입력하는데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나요?? 2 사월이 2018/04/19 767
801677 홍준표 “김경수 출마 반갑다..민주당 '특검'반대이유 없어” 7 세우실 2018/04/19 1,370
801676 김경수 차차기라 하시는데 차기는 누구?? 48 ... 2018/04/19 5,165
801675 오늘 강아지랑 산책을 나갔다가... 2 웃음이 2018/04/19 1,428
801674 초3이랑 둘만 여행지 부탁드려요 6 다시시작 2018/04/19 996
801673 우울증 약 먹지마세요 64 우울증 2018/04/19 31,451
801672 직장인은 딱 급여만큼만 일라면 되는 거 아닌가요? 6 직장 2018/04/19 1,789
801671 풀컵브라는 안뜨나요? 2 .. 2018/04/19 895
801670 부산 칠순가족 식사 일식정식 11 부탁드려요 2018/04/19 3,472
801669 수영,필라테스 할때 (그냥 제 경험) 19 화이팅 2018/04/19 10,980
801668 면세점에 선물 포장 되나요? 1 ... 2018/04/19 2,559
801667 누군가에게 저토록 매료된적이 있으셨나요 5 여쭈어봅니다.. 2018/04/19 2,495
801666 쉬우면서 고급진 요리책 추천 부탁드려요~ 6 2018/04/19 2,069
801665 이제 마음놓고 자랑질 하나 추가 3 .. 2018/04/19 1,541
801664 어린이집선생님 훈육법 4 ㅇㅇ 2018/04/19 1,559
801663 지금 막 공부시작하는 아이 to부정사용법 쉽게 이해하기? 12 부정사 2018/04/19 2,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