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체력 기르려면 어찌해야 하나요?

근육 조회수 : 3,057
작성일 : 2018-04-16 21:56:29
보건소에서 운동관리 처방전 받았더니 전 체력이 바닥이라 운동을 과하게 하거나 많이 하면 안된답니다
걷기도 천천히 조금만 하래요
걸레질도 하지말고 청소하면 무조건 30분은 누워 있으랩니다
저혈압이구요
근육이 거의 없어요
46세인데 저한테는 운동을 많이 하는게 오히려 몸을 아프게 하는 이유가 될수 있으니 집안일 조금씩 하고 무조건 한가지 일하고 나서는 30분쉬기..이러고 어찌살아요

몇일전부터 왼쪽 팔이 너무 아픈겁니다
냄비 들면 통등이 느켜져서 파스 붙이고 맨소래담 계속 발라주고 있어요 대체 이유가 뭘까 크게 힘쓴일이 없는데?
생각을 해보니 중딩 아들 헤어드라이로 머리를 몇일 저보고 말려달래서 힘있게 팍팍 손 써가며 말려줬어요
왼손으로 하고 오른손은 드라이 잡구요
안쓰던 왼손을 쓰니 어깨부터 손목이 너무 아파서 물건 들기가 너무 아픈겁니다

남편이 이렇게 어찌사냐고 운동하라는데 오히려 운동하면 하루종일 누워 살아야 해요
저같은사람 영양제나 홍삼 같은거 먹음 좋아지는것 없을까요?
드라이로 머리 좀 말려줬다고 이리 팔이 아파서는 살수가 없네요
어떤걸 먹어야 힘이 날까 생각 해보니 전 홍삼이나 영양제 같은건 전혀 안먹고 살아요
술도 안마시고 탄수화물 별로 안먹구요
고기는 많이 먹는데 좋아하는건 채소.야채 과일.커피 이걸 가장 많이 먹습니다
추천해주세요
IP : 211.108.xxx.4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ㅔㅔ
    '18.4.16 9:59 PM (121.135.xxx.185)

    일단 무조건 많이 드세요 탄수화물 많이 드세요 탄수에서 힘이 나옵니다. 싫어도 드세요

  • 2. 0000
    '18.4.16 10:16 PM (124.50.xxx.211)

    무조건 영양가 있는걸로 많이 드시구요. 내일부터 하루에 걷기 30분, 팔굽혀펴기 2개, 스쿼트 10개부터 시작하세요..
    걷기는 매일 1분씩 늘려가시고 팔굽혀펴기랑 스쿼트는 1개씩 늘리세요. 한번에 몰아서 하지 마시고 오전에 걷기, 오후나 저녁에 팔굽혀펴기와 스쿼트 이렇게 나눠서 하시구요.

    한달만 하시면 걷기는 60분이 되고, 팔굽혀펴기와 스쿼트는 30개이상이 될겁니다. 두달이면 걷기 한시간 반에 팔굽혀펴기와 스쿼트는 50개 이상이 될거구요. 3개월만 하면 몰라보게 체력이 좋아지실거에요.


    음식은 1-2주에 한번씩 삼계탕이나 추어탕같이 몸에 좋은 음식 꼭 챙겨서 드시구요.

  • 3. ^^
    '18.4.16 10:22 PM (210.2.xxx.139)

    평생 운동 안해보신 거 같은데..
    초기에는 운동하고 나서 더 아플수는 있는데 점점 좋아져요.
    처음에는 30분 운동하고 30분 누워 있더라도 운동하세요.
    점점 좋아지실 거예요.
    난 운동하면 누워있어야 한다고 시작도 안하면 점점 약해져요.
    46세에 벌써 그러면 앞으로 어쩌시려구요.
    근육은 매년 1~2%씩 줄어든다는데..

  • 4. 저랑 동갑이신데
    '18.4.16 10:24 PM (112.155.xxx.101)

    운동을 거의 안하셨나봐요
    전40대 전에 체력이 바닥이고
    근육량도 거의 없어서 요통도 엄청 심했어요
    그 나이되면서 군살도 많이 생겼어요
    딱 님과 같았죠
    집안일 하나 하면 힘들어 쉬고 하나하고 쉬고
    체력보다는 군살때문에 운동을 하게 됬어요
    이제는 그냥 밥먹듯 일상적으로 합니다
    영양제도 챙겨먹고요
    예전엔 겉절이 하나 버무리면 쉬고 했네요

    남은 50년 바라보고 조금씩 움직이세요
    처음엔 죽을것 같아도 체력이 확 달라지는걸 느껴요

  • 5. ㅇㅇㅇ
    '18.4.16 10:31 PM (119.64.xxx.36)

    근력 부족 같아요.
    드라이해주고 팔이 아픈 건 근육힘이 없으니 피로감을 느껴서겠죠.
    더 나이 들어서 넘어지기만 했는데 뼈가 부러지는 골다공증 같은 거 안무서우세요?
    그냥 걷기도 좋지만 근육을 기르기 위해서
    헬스 등록해서 기구 운동 하시거나
    필라테스 등록하세요. 필라테스는 완존 근력 강화 운동이에요.
    돌이켜 보니 근래 5년간 한 번도 감기나 몸살에 걸려본 적이 없어요.
    딱 운동 본격적으로 시작하고부터 기초체력과 면역력이 길러진 듯요.
    올해 50입니다.

  • 6. 저도
    '18.4.16 10:35 PM (66.249.xxx.177)

    저혈압에 근육없는데요

    결국 운동이 답입니다.
    유일무이한 답.

    운동 최우선순위
    그담이 먹는것
    그담이 영양제..


    무조건 운동 운동하세요
    살짝 힘든순간 극복하는 바로 그 지점이 체력이ㅈ향상되는 지점예요

  • 7.
    '18.4.17 10:45 AM (211.36.xxx.75) - 삭제된댓글

    허약한 사람이 고기를 많이 먹으면 피곤하죠
    고기에는 단백질 지방이 많아서 간 콩팥 등이 일을 많이 함
    대사산물이 많이 배출되고요
    고기하고 인스턴트 줄여보세요

  • 8. 그래도
    '18.4.17 8:00 PM (175.211.xxx.50)

    운동 해야합니다.
    요가 추천합니다. 혼자 앉아 있다가 오더라도 빠지지 말고 시작해보셔요.
    기동 못해던 육십 넘은 분도 몇년 꾸준히 행하시고 체력 많이 좋아지셨습니다. 체형이 바뀐게 눈에 보입니다.
    이 분이 동작이 잘 되는 것도 아닌데 ...놀라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1043 정해인 부모님 직업이~~~~ 35 해인이 2018/04/18 81,762
801042 상속분할협의.. 11 .. 2018/04/18 3,495
801041 유럽사시는분들 kelly deli 맛 어떤가요? 3 ..... 2018/04/18 1,829
801040 삼성 시신 탈취 개입 요약 2 펌... 2018/04/18 1,484
801039 유자요.. 설탕 없이 먹으면 많이 시나요 ?? 5 유자.. 2018/04/18 1,110
801038 "장자연 사건 수사 때 조선일보 압력 있었다".. 4 샬랄라 2018/04/18 1,032
801037 괜찮은 신용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 2018/04/18 1,319
801036 배철수의 음악캠프에 이번주 소개된 영화요 1 우리 2018/04/18 867
801035 조현민 기사 중 이거 맘에 드네요~ 7 ㅇㅇㅇㅇㅇ 2018/04/18 4,993
801034 2018년 브리트니 스피어스 ...살 많이 뺐다는데 얼굴이..... 5 dd 2018/04/18 5,013
801033 단독)박근혜 정부 돈 받고 노동정책 홍보 기사 쓴 언론 4 시사인 2018/04/18 1,146
801032 예전보다 교과서나 시험문제 난이도가 어려워 진 이유는 뭔가요?.. 7 초딩중딩 2018/04/18 1,099
801031 종편 건강프로와 홈쇼핑 11 악어의꿈 2018/04/18 3,099
801030 검사부인도 별거없네요 37 ㅇㅇ 2018/04/18 25,495
801029 천정에 물이 새서 얼룩이 생겼는데요 3 ... 2018/04/18 1,306
801028 동물성 안 쓰시는 분들 가방 소재 확인 2018/04/18 723
801027 어제 추모식 기독교대표이신 분 4 추모식 2018/04/17 1,286
801026 다산신도시에 실버택배도입한다는데 여러분생각은 어떠십니까? 19 궁금이 2018/04/17 2,796
801025 김완선이요.요즘 나왔어도 떳을까요? 18 .. 2018/04/17 5,286
801024 마그네슘 저렴하게 구입하려면~ 1 ^^ 2018/04/17 1,497
801023 남편이 저보다 아이가 더 먼저래요 15 ㅇㅇ 2018/04/17 4,932
801022 4인가족 대만여행 2박3일 가지 않는게 낫나요? 7 여행 2018/04/17 2,793
801021 박그네청와대는 공권력을 국민협박하는데만ㅎ 1 별장성접대 2018/04/17 631
801020 싱크대 새로 하는데요,상부장 플랩과 일반적인 것, 어느게 나을까.. 2 집수리 2018/04/17 1,407
801019 맞벌이 부인의 의무는 어디까지인가 33 hjms 2018/04/17 6,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