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들의 개인 도서관 #17 - 유대 상술의 기초, 78:22의 법칙

홀릭 조회수 : 1,188
작성일 : 2018-04-04 20:47:49

자주 가는 블로그에서 퍼온 글입니다. https://blog.naver.com/wangship

--------------------------------------------------------------------------


[유대 상술의 기초, 78:22의 법칙]

*화교나 유대인들은 불안한 삶을 살아온 존재들이기 때문에 돈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 
1) 지독할 정도로 현금을 선호한다 - 현금은 어려울수록 빛을 발하는 특성이 있다. 

2) 어려서부터 돈과 저축의 중요성을 철저히 배운다 
- 중국인들은 아이들 돌잔치에 붓과 주산을 올린다 → 이들이 생각하는 비즈니스의 궁극적 목표는 돈을 버는 것이다. 
- 돈과 저축의 중요성을 빨리 터득하는 길은 숫자와 친숙해지는 것이다 → 어릴 때부터 생활 속에 숫자를 끌어들인다. ex) 날씨도 정확한 숫자로 표현하는 것을 좋아한다. 
- 화교 기업들은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비용 절감 능력이 탁월하다는 점이다. 

3) 위험 관리를 위한 분산 투자를 생활화한다
- "만일 당신이 은행원이라면 은행 관련주를 사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은행원으로서의 소득이 있기 때문에 분산 투자 차원에서 비은행 관련주에 투자해야 한다"
- 유대인들과 화교들은 투자 자산의 배분 차원을 넘는 분산 투자를 한다
  ex) 화교들은 가족들이 여러 지역에 흩어져 거주한다. 가족 재산을 국가를 초월해 분산해 놓는다. 
  ex) 화교들은 자녀를 유학 보낼 때도 한 나라에만 보내지 않는다. 
  ex) 화교들은 돈이 되거나 전망이 있는 곳이라면 가리지 않고 진출하며 이를 분산투자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 탈무드에서 설명하는 분산 투자의 가르침 - "모든 사람이 자기 돈을 세 부분으로 나누도록 하라. 그리고 1/3을 토지에, 다른 1/3을 사업에 투자하고 나머지를 준비금으로 보유토록 하라" →  토지는 부동산을, 사업은 주식을, 준비금은 채권이나 은행 예금 등 현금성 자산을 의미한다!
*이들이 어려서부터 분산 투자의 중요성을 교육받는 이유 → 늘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기 때문!

4) 가난한 자와 부자의 삶의 차이를 명료하게 이해한다. 
- 자수성가형 부자들의 상당수는 어려서 가난했던 사람들이다 → 이들은 가난에 대한 본능적 두려움을 갖고 있다. 다시 가난해진다는 것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그들은 몸으로 알고 있다. 
- 일본의 유대 전문가 테시마 유로의 '가난해도 부자의 줄에 서라'
  : '빈부의 차이를 인정하라' - 부자는 가난한 사람을 전재로 하고 있다. 만약 모든 사람이 부자가 된다면 부자가 되어도 의미가 없을 것이다.
    '부자의 줄에 서라' - 부자의 마지막 줄에 선 사람이 가난한 사람들의 맨 앞줄에 선 사람보다 부자가 아닐 수 있다. 설사 그렇더라도 부자의 줄에 서는 것이 낫다.
      왜냐하면 마지막 줄이라도 부자의 줄에 서 있는 사람은 부자의 사고방식을 갖게 되지만, 가장 앞줄이라도 가난한 사람들의 줄에 서 있으면 영원히 가난이라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자는 가난한 사람들을 연구한다' - 부자는 다수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얻은 이익으로 부를 축적하는 것이지, 결코 부자들로부터 부를 축적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가난한 사람들이야말로 부의 원천이다. → 여기서 가난한 사람들이란 말 그대로 가난한 사람들도 있고 부자를 포함한 모든 고객이 될 수도 있다. 
- 유대인들은 이 사회에 '8:2의 법칙'이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  사회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나눠진 것은 불평등한 시스템 때문이 아니라 사회의 순리로 받아들인다.
  : 유대 상술의 기초가 되는 법칙이 78:22의 법칙이다. →  돈을 빌리고자 하는 사람은 빌려주는 사람보다 많다. 유대인들은 이 비율도 78:22로 해석한다. 그래서 자신들을 22쪽에 세우려고 한다!  

5) 부동산에 밝아라
- 홍콩 최대의 재벌 리카싱도 부동산으로 부를 축적했고 미국 사회에서도 부동산 재벌들은 대부분 유대인들이다. 
- 화교 비즈니스의 중요성 특징 중 하나가 '부동산과의 연계'다. → 화교들에게기업가들의 부는  부동산은 유형인데다가 추가 자본을 획득할 수 있는 담보로 이용할 수 있어 최상의 투자 대상이다. 사실상 화교 기업가들의 부는 대부분 부동산이다. 
- 부동산 투자는 부자가 되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사실을 유대인과 화교들이 경험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리카싱은 현실적이다. 부동산은 단기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십중팔구 안전한 투자다. 그러므로 투자를 했으면 곧바로 돌아오는 것이 있기를 바라는 리카싱은 대부분의 자금을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다. 리카싱은 적게 벌지언정 절대로 손해는 보지 않는다!"

IP : 116.38.xxx.103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ㅋㅋ
    '18.4.4 8:49 PM (223.62.xxx.34) - 삭제된댓글

    차라리 먼나라 이웃나라를 읽겠다는

  • 2. ...
    '18.4.4 9:36 PM (223.63.xxx.219)

    분산투자
    부자의 마인드
    적게 벌더라도 절대 손해보지 않는다
    유대인과 화교의 자본과 부 흥미롭네요~
    좋은 글 감사해요 ^^

  • 3. 이명박도 분산투자?
    '18.4.5 1:16 AM (125.134.xxx.177)

    이넘도 전세계 분산투자해 쑤셔놓앗을듯. 모조리 찾아냅시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6931 다리 180도 찢기 연습하면 될까요? 18 ... 2018/04/05 5,292
796930 이불커버에 지퍼 달아주는 곳... 동대문에 가야할까요? 3 쫀득이 2018/04/05 2,020
796929 아기 엄마들이 브런치 먹을만한 호텔 추천 부탁드려요~ 12 율무차 2018/04/05 3,440
796928 얇은 대리석식탁 파는곳 보신분? 6 식탁바꿀래요.. 2018/04/05 1,448
796927 송파을 경선날짜가 4월10일 맞나요? 5 ㅇㅇ 2018/04/05 918
796926 아파트 경비원 월급 보통 얼마할까요? 14 ... 2018/04/05 6,967
796925 개인 망상 체계..ㅋㅋㅋㅋㅋㅋ 11 tree1 2018/04/05 3,440
796924 커피가 자꾸 땡기는데... 4 커피홀릭 2018/04/05 1,681
796923 알바근무시 고용보험 여쭙니다~ 봄비 2018/04/05 615
796922 오늘은 비도오구 쌀쌀하니 10 82cook.. 2018/04/05 2,365
796921 상가건물이나 다가구건물 살 때 주의사항이 뭘까요? 2 조언좀..... 2018/04/05 2,220
796920 오늘 추워요 8 춥다 2018/04/05 1,843
796919 읽어보세요.[시어머니와 며느리] 9 엉엉엉 2018/04/05 3,613
796918 소개팅했는데요..... 15 ''' 2018/04/05 5,917
796917 김옥빈 미모가 벌써 시들었나요? 29 2018/04/05 13,221
796916 40대 초반 주름 자글자글 고쳐지나요? 10 갓40 2018/04/05 4,775
796915 한반도 평화 기원 10만 백악관 청원 서명 부탁드려요. 5 프라즈나 2018/04/05 568
796914 방송PD에도 자료 넘기겠다… 삼성 첨단 3D낸드 공정까지 만천하.. 4 ........ 2018/04/05 1,615
796913 미만, 이하, 이상, 초과를 영어로 이찌 말하나요? 7 영어 2018/04/05 2,918
796912 [음악] 민서 - 멋진 꿈 ㅇㅇ 2018/04/05 428
796911 어쩌다 어른 2 2018/04/05 1,088
796910 청와대 트윗 - 식목일 소나무 기념식수 기레기아웃 2018/04/05 804
796909 수육 9킬로 삶을 냄비 조언부탁드려요~ 7 나라냥 2018/04/05 932
796908 핸드폰 에서 액셀 공부 2018/04/05 662
796907 문재인 정부에서 경제위기 올 가능성은 없을까요? 1 ... 2018/04/05 1,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