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 최저도 없애면 어쩌자는건지...

조회수 : 2,363
작성일 : 2018-03-26 01:24:27

이제 나는 상관없고 대학을 보냈지만

수능 최저도 없애면 너무하네요.

솔직히 지방에서 지균으로 서울대 최저 222 맞춰 들어와

적응도 못하는 애들 많은데

그거 아니면

자사고나 특목고 생기부 엄청 좋은데

최저를 못 맞추는 애들을 위한걸까요?

걔들이 최저를 못 맞출 리가 없는데...


아이고 그것도 못 맞추고 대학을 어찌 가려고...

나머지 애들이 불쌍하네요.


IP : 112.161.xxx.165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3.26 1:38 AM (211.207.xxx.94)

    김상곤 교육부 장관 해임 청원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167604

  • 2. 이거는
    '18.3.26 1:40 AM (180.69.xxx.123)

    뭔가 특별계층 자녀들을 위한 조치 아닌가요?
    지금 명문대는 수능최저가 마지노선이예요
    그걸 없애면
    뭐로 대학을 가죠?
    오직 학종?

  • 3. ..
    '18.3.26 1:46 AM (223.62.xxx.104)

    학업 부담 줄여준다고 그러는 것 같은데
    전 정시많던 시절인 30대 초중반 지방사람인데요.
    저희학교 친구들 수시로는 아무리 잘해도 성대가 최고치였는데 수능으로 서울대 연대 고대 서성한등은 다 붙었었어요. 서울대 수시 떨어진 3년 내내 전교1등이 정시로는 외교정치학부인가? 붙었었던거 생각하면 이젠 수시 인원이 많아져서 이렇게 실력있는 아이들은 수시로 붙게되는건지, 아닌지도 궁금하고 그래요.

  • 4. ...
    '18.3.26 1:47 AM (218.236.xxx.162) - 삭제된댓글

    학종, 논술에 수능최저 없애거나 완화하면 아이들은 시간부담, 학부모들은 사교육비 부감이 줄겠죠
    그 아이들이 수능을 안볼것도 아니고, 단지 수능에서 버리는 과목이 늘어나면 정시 준비하는 아이들 좀 유리하겠고요 (분모는 그대로 있고 분자가 적어질 확률이 높아지겠죠)

  • 5. ...
    '18.3.26 1:47 AM (218.236.xxx.162)

    학종, 논술에 수능최저 없애거나 완화하면 아이들은 시간부담, 학부모들은 사교육비 부담이 줄겠죠
    그 아이들이 수능을 안볼것도 아니고, 단지 수능에서 버리는 과목이 늘어나면 정시 준비하는 아이들 좀 유리하겠고요 (분모는 그대로 있고 분자가 적어질 확률이 높아지겠죠)

  • 6. 윗님
    '18.3.26 1:56 AM (118.220.xxx.21)

    정시폐지예정입니다.
    그리고 수능 무력화되면 학종대비 내신학원, 비교과학원, 자소서학원. 소논문학원든 학원비가 훨씬 더 많이 듭니다.
    정시준비학원비가 가장 저렴합니다.

  • 7. 에고
    '18.3.26 2:08 AM (211.186.xxx.176) - 삭제된댓글

    차라리 이명박 정부때가 나았다고 생각해야하나요?
    이번 정부는 집값 폭등시키고 정시없애서 사교육비 더 들게 만들고..서민입장에서는 살기 힘들기만 하네요..

  • 8. 돈없는 서민
    '18.3.26 2:13 AM (211.186.xxx.176)

    차라리 이명박 정부때가 나았다고 생각해야하나요? 경제원리는 잘 모르는 사람이지만 그때는 집값도 안정되었고 수시정시비중도 적절했었고 큰 무리가 없었어요
    근데 이번 정부는 8.2 대책으로 오히려 집값 폭등시키고 수능최저폐지로 정시없애서 오히려 사교육비 더 들게 만들고..돈없는 서민입장에서는 살기 힘들기만 하네요...

  • 9. 허걱
    '18.3.26 2:25 AM (218.236.xxx.162)

    전세값 폭등에
    새로생긴 반전세 (실상은 보증금 어마어마한 월세)
    이런 시절이 돈없는 서민이 큰 무리가 없었다고요?
    일자리는 없고 헬조선이었던 있던 복지제도 없어지고 내 세금은 멀리멀리 누구의 주머니로...

  • 10. 븅신이
    '18.3.26 3:04 AM (223.38.xxx.61) - 삭제된댓글

    나라 말아먹고 싶나보지

  • 11. .
    '18.3.26 3:09 AM (218.237.xxx.58)

    이번정권 지지자였는데
    갈수록 넘 실망스럽네요

  • 12. 5899
    '18.3.26 8:00 AM (211.36.xxx.196)

    문정부 교육은 4대강과 비슷

  • 13. ....
    '18.3.26 9:30 AM (211.46.xxx.253)

    안그래도 얼마전에 보니까 공대 교수들이 지들 논문에 공저자로 대거 자녀이름 올려서 적발됐던데요.
    수능 최저 없애면 저런 애들 완전 신나겠네요.
    도대체 이게 누구를 위한 개혁인지 모르겠어요.

  • 14. 문정부의
    '18.3.26 9:47 AM (218.48.xxx.69)

    문정부의 4대강~~ 딱 좋은 표현이네요.
    4대강은 전 국민이 골고루 피해 봤지
    집중적으로 피해봐야 할 현 고등학생/중학생들은 어떻게 하냐고요.

  • 15. 문정부의
    '18.3.26 9:48 AM (218.48.xxx.69)

    현 고1 엄아인데 학교 입시 설명회 듣고 완전 맨붕 왔어요.
    학종을 너덜너덜 하게 만들며
    확대시키고 있더군요.

  • 16. 학업 부담은 무슨...
    '18.3.26 11:28 AM (14.36.xxx.209)

    내신 피말리는 경쟁때문에
    전과목 학원다닌다고 하는 추세예요.
    무슨 부담을 줄여주나요

    학종이 자꾸 산으로 가네요.
    학종으로 갈 학생, 수능으로 갈 학생....각자 제각각의 길을 열어줘야지요.
    재수생은 또 그럼 어떡하나요
    에효, 이 정부의 교육정책이 진짜 욕나오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2114 요즘 박은영 아나운서 안보이네요? 4 ... 2018/07/14 4,623
832113 쇼핑몰에서 같은 제품 두 개 보냈는데.. 12 이럴 땐 2018/07/14 4,952
832112 오미자 분말 어찌 먹죠? 1 시옷 2018/07/14 643
832111 태국의 아이들 구조를 보니 돈많은 나라가 반드시 좋은 것도 아니.. 7 ..... 2018/07/14 3,106
832110 여러분 물 많이 드세요^^ 11 누리심쿵 2018/07/14 4,437
832109 작년 이맘때 1 구사일생 2018/07/14 418
832108 빨래바구니 어떤거 쓰세요 12 덥고 습한날.. 2018/07/14 2,046
832107 일어나서 1시간, 자기 전에 2시간씩 인터넷해요 ㅜㅜ 5 고민상담 2018/07/14 1,371
832106 최저임금 인상의 최대 수혜자는 조선족이네요 10 댓글보니 2018/07/14 3,138
832105 당근마켓 특이 약속법... 5 중고 2018/07/14 2,168
832104 재즈 안 좋아하다가 좋아하게 된 분 있나요? 1 .... 2018/07/14 574
832103 반찬값 너무들어요 고기 저렴한곳알려주세요 21 ㅇㅇ 2018/07/14 4,989
832102 코스트코 백 조기와 참 조기 중 어떤게 맛있나요? 7 백 조기 .. 2018/07/14 1,728
832101 요새 마트 가면 좀 기분 이상해요 4 뿜뿜 2018/07/14 3,847
832100 사먹는게 나은 음식들 33 요리왕소룡 2018/07/14 17,100
832099 어젯밤에 보일러 온수를 틀어놓고 11시간동안 방치했어요ㅜㅜ 7 ㅇㅇ 2018/07/14 6,353
832098 여름 원피스좀 봐주세요 22 원피스 2018/07/14 5,478
832097 환경을 생각해서 김장용비닐봉투 재활용 1 .. 2018/07/14 981
832096 요리용 시판소스 추천해주세요. 5 일품요리 2018/07/14 1,014
832095 우려했던 요즘의 페미니즘 분출 3 퓨쳐 2018/07/14 1,414
832094 재산세 얼마나 올랐어요? 17 ㅇㅇㅇ 2018/07/14 4,786
832093 젖은 쓰레기? 마른 쓰레기? 1 후리지아 2018/07/14 568
832092 전복 끓이는 시간.. 4 엘레핀 2018/07/14 1,633
832091 김정은이 바라봤던 야경…그 자리 다시 찾아간 文 13 ........ 2018/07/14 3,297
832090 최저임금 인상 불복종 투쟁 나선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jpg 히야 2018/07/14 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