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민연금 다시 넣을까 해서 알아보니....

국민연금 조회수 : 6,866
작성일 : 2018-03-21 11:32:39

직장생활 18년 하고  10년 쉬었는데

다시 넣으려고 알아보니까

그간 안 넣은 거 넣고 앞으로 최소금액 넣으니

제가 90세까지 살아야 본전이네요?

물론 인플레가 있으니 단순계산은 어렵겠지만요.

제 수명이 얼마일지 모르겠으나 이러면 넣을 필요 없겠네요. 그렇죠?

좀 웃프네요 ㅎㅎㅎ

IP : 175.209.xxx.57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3.21 11:41 AM (220.118.xxx.157)

    어떻게 계산해야 본전이 나오나요? 직장생활 18년에 10년 쉬셨으면 연세가 좀 있을텐데 지금 40대까지는 본전일 수가 없어요.

  • 2. ...
    '18.3.21 11:43 AM (220.75.xxx.29)

    그건 안 넣은 걸 한꺼번에 넣지 마시고 지금부터 추가로 시작하는 것만 하세요. 부담 별로 없어서 전 좋던데요..

  • 3. 그게
    '18.3.21 11:48 AM (220.107.xxx.79)

    그렇게 생각하면 그렇고
    갑자기 죽으면 그거 못써요 ㅎㅎ 진짜 별로인 제도 일 수 있어요.

    다만 정말 운이 나빠서 오래오래 살면
    노인이 십원한장 버는게 진짜 구차하고 어려운 일이라는 생각에 전 최대금액 넣어요.

  • 4. 지나다
    '18.3.21 11:51 AM (123.248.xxx.78)

    저도 378900 넣어요

  • 5.
    '18.3.21 11:56 AM (49.167.xxx.131)

    전 전업으로 있다4.5년전에 들었는데 지금 9만원씩내요.

  • 6.
    '18.3.21 12:09 PM (49.161.xxx.108)

    국민연금은 지금 여유있을때 최대치 넣는게 좋아요
    노후에 그 댓가는 톡톡히 보답해줄겁니다.

  • 7. ...
    '18.3.21 12:15 PM (119.64.xxx.92)

    적게 낼수록 이익 아니에요?
    연금 받는 액수가 누진제와는 반대로, 많이 내봐야 받는 액수는 많이 증가 안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 8. 그게
    '18.3.21 12:18 PM (220.107.xxx.79) - 삭제된댓글

    효율성면에서 퍼센트가 이익이라는거지 실제 금액은 최대금액 낸 사람이 조금이라도 더 받아요.

  • 9. 전업
    '18.3.21 12:18 PM (121.182.xxx.198)

    15만원 내요..3년치 5백넘게 일시불 납입하고.

  • 10. Asdfg
    '18.3.21 12:18 PM (222.118.xxx.71)

    공단홈피 가면 자동 계산기 있어요
    저도 주부인데...지금부터 넣으면 90살까지 살아야 하던데...고민이에요. 죽어도 자식한테 승계 안된대요 (25세 이하여야만 승계...하지만 연금 받기 시작하는 65세 이후에 자식 25이하인 사람이 얼마나 있다고) 이래저래 고민이에요

  • 11. 그게
    '18.3.21 12:19 PM (220.107.xxx.79)

    효율성면에서 퍼센트가 이익이라는거지 실제 금액은 최대금액 낸 사람이 조금이라도 더 받아요.

    예를 들어 제 경우는 20만원 더 내면 20만원 지금 물가로 더 받아요. 더 내는게 의미가 없어보이죠.
    그런데 이게 인플레를 더하면 이야기가 달라져요. 지금 물가로 20만원 내지만 미래에는 더 크게 받죠.
    게다가 오래 살면 더 받는거고요.

    다만 빨리 죽으면 소용없어요. 그냥 버리는 돈이라 생각하시는게 맘 편해요.

  • 12. ...
    '18.3.21 12:27 PM (220.75.xxx.29)

    내는 돈과 받는 돈이 절대 비례하지 않는다는 건 공단에서 내금액 결정 할 때 설명 잘 해주더라구요. 국민연금은 공적 부조 성격이 있어서 많이 낸다고 많이 받는 것이 아니라고요.

  • 13. 저도 궁금
    '18.3.21 12:38 PM (211.38.xxx.181) - 삭제된댓글

    직장 생활 통틀어 10년 정도 하고 연금 안 넣고 있음 앞에 넣은게 다 무효처리 되는지요?

  • 14. 저도 궁금
    '18.3.21 12:38 PM (211.38.xxx.181) - 삭제된댓글

    직장 생활 통틀어 10년 정도 하고 퇴직 후 연금 안 넣고 있음 앞에 넣은게 다 무효처리 되는지요?

  • 15. 아뇨
    '18.3.21 12:45 PM (220.107.xxx.79)

    부은게 10년 넘으면 연금으로 나오고
    10년 미만이면 연금 개시시기에 일시금으로 돌려줍니다.

  • 16. 무명
    '18.3.21 1:26 PM (221.139.xxx.131) - 삭제된댓글

    그냥 지금부터 최소금액만 넣으세요. 한달 10만원 땅에 뭍는다 생각하거나.... 덜쓴다 생각하고.

    이게 연체금도 있어서 수입 없는데 금액 많거나
    안낸거 한번에 넣으려고 생각하면 부담이죠.

    님이 지금까지 넣은거 어디 없어진거 아니니 지금부터 최소만 넣어도 돌려받는 금액은 꽤 될텐데

  • 17. 제가 아는 사람이
    '18.3.21 1:29 PM (42.147.xxx.246)

    몇 년전에 연금을 1년 밖에 안넣었고 나이는 60이 가까이 와져서
    연금공단에 상의를 해보니 9년치를 한꺼번에 넣으라고 해서
    10년 연금에 해당하는 돈을 넣었어요.

    그 사람이 왜 그렇게 목돈을 넣었나하면
    자기가 그렇게 목돈을 넣어도 연금을 2년 만 타도 원금상환이 된다고 하네요.

    저도 그자리에서 계산을 해 보니 엄청 수지맞는 계산이네요.

  • 18. ...
    '18.3.21 1:38 PM (119.64.xxx.92)

    그러니까 딱 10년 채우는게 원금대비 상환률이 높아서 그런거에요.
    저도 직장생활로 연금 낸 기간이 12년이고 오랫동안 안내고 있는데, 내면 낼수록 손해.
    차라리 적금 드는게 낫죠. 적금이 물가오르면 오히려 손해라고 생각하는사람은
    계속 넣어도 나쁠거 없겠지만.

  • 19. 올리
    '18.3.21 2:10 PM (121.161.xxx.222)

    전 추불에 추불까지 노후에 오래살까봐 걱정스러워서 예상 백으로 나오네요
    강제저축이라 생각합니다

  • 20. ㆍㆍ
    '18.3.21 2:58 PM (223.38.xxx.210)

    국민연금 들까 하는데
    드는게 나은건지,,

  • 21.
    '18.3.21 3:12 PM (211.186.xxx.141)

    20대 직장생활 9개월 할때 냈었고요
    직장그만두고 프리랜서로 10년차 됐는데
    10년동안 한번도 안냈어요.......

    근데 연금내라는 지로용지는 계속 오고요.......

    이렇게 지로용지 오는데도 안내도 되는지 모르겠어요...

    프리라 수입이 들쭉날쭉하고

    최근 3년간은 일년에 500만원도 못벌었는데......ㅠㅠ
    생활비도 빠듯한데
    연금넣을 돈은 전혀 없어요........ㅠㅠ

    근데 지로용지는 계속오고......

  • 22. 연금이 적금 보다 낫습니다.
    '18.3.21 3:36 PM (42.147.xxx.246)

    연금 수령할 나이에 죽으면 손해가 나는 것이나 죽을 때 까지 계속나오는 적금은 아예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27520 고기외에 메인요리 추천해주세요 2 ㅑㅑ 2018/06/29 705
827519 스마트폰 유심도 유통기한이있나요? 3 sk 2018/06/29 5,210
827518 독전보신분 부모님과 봐도 되나요? 4 2018/06/29 1,294
827517 어깨가 결리는데요 8 50대 2018/06/29 1,215
827516 박주호라는 선수 아내보셨어요? 10 .. 2018/06/29 7,878
827515 이재명 민주당 경선에서 도덕성 만점. 22 .... 2018/06/29 2,204
827514 꽃할배 예비소집 보니 제가 다 설레요 8 아 부럽다아.. 2018/06/29 3,525
827513 에어컨이 안시원한 이유는 뭘까요 9 ㄷㅇ 2018/06/29 3,507
827512 천도복숭아도 다이어트에는 안좋죠? 1 마이쪙 2018/06/29 1,524
827511 믿고 보는 문프님과 정부 ㅡ 난민문제 23 역시 2018/06/29 1,914
827510 읍읍씨와 딸딸씨의 300만 스피커 근황...풉 4 2018/06/29 1,970
827509 수술중 성추행 성형외과어디인지 8 궁금한이야기.. 2018/06/29 6,696
827508 아이의 행동 지적은 어느정도까지 말해야 하나요. 15 ... 2018/06/29 2,349
827507 주말여행 어떻게들 하세요? 5 ... 2018/06/29 1,792
827506 사업자카드 유익한가요? 초보 2018/06/29 440
827505 일회용 렌즈 아큐브 vs.쿠퍼비젼 8 .. 2018/06/29 4,747
827504 아이를 혼내고 씁쓸해요 5 엄마 2018/06/29 2,050
827503 김밥천국이나 분식점 오징어덮밥은.. 2 매콤냠냠 2018/06/29 3,446
827502 판결의 온도 ㅡ 재미있어요 2 엠비씨 2018/06/29 1,240
827501 박지윤 전아나 하체 수술이라도 한건가요? 33 잉? 2018/06/29 24,358
827500 넘불행하거나..넘 운이좋은사람보면 어떤생각드나요 11 ㅇㅅㄴ 2018/06/29 4,376
827499 김창완 콘서트 보러 갔었던 이재명 부부.jpg 6 혜경궁네이뇬.. 2018/06/29 3,977
827498 대장내시경약 7 2018/06/29 1,968
827497 중학수학 한학기를 9회 수업만에 끝내는 특강 도움될까요? 4 마이마이 2018/06/29 1,477
827496 급)스마트폰 연락처가 갑자기 사라졌어요 ㅜㅜ 2 룰루 2018/06/29 3,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