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배운 사람들은 끄적여 놓은 글에서도 티가 나나봅니다

... 조회수 : 3,602
작성일 : 2018-03-15 12:31:10
심심해서 아는 사람들 카스 들여다 보는 중인데... 그냥 대충 끄적여 놓은 글에도 어휘력이나 단어 선택을 잘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거의 고학력자이거나 배운 사람들인데...
바보같은 질문일지 모르겠지만...
대학에서 어휘나 문장을 배우는 것은 아닐텐데 어째서 배움의 길이에 따라 글솜씨가 달라질까요
배운 사람들은 글만 봐도 티가 나는듯 해서 말이예요
어쩌면 제 선입견일 수도 있을까요?
IP : 125.183.xxx.15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당연한거 아닌가요.
    '18.3.15 12:33 PM (220.123.xxx.111)

    그만큼 책도 많이 읽고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고
    그 수준의 사람들과 교류하니까요..

  • 2. 늑대와치타
    '18.3.15 12:33 PM (42.82.xxx.244) - 삭제된댓글

    대학에서 배우는게 아니라 대학가기까지 그만큼 공부를 해야되고 대학 간 다음에도 또 공부를 하고..
    결론은 남들보다 더 많이 공부하니까 쌓이고 쌓인거죠.

  • 3. ㅇㅇ
    '18.3.15 12:39 PM (61.101.xxx.67) - 삭제된댓글

    학습지 교사하는 친구왈..대화해보면 바로 그 엄마가 대졸인지 고졸인지 알겠답니다. 어딘가 모르게 다르겠지요..

  • 4. 어머나 세상에
    '18.3.15 12:40 PM (125.183.xxx.157)

    대화 한마디로 알 수있다니...

  • 5. 그래요
    '18.3.15 12:47 PM (125.187.xxx.37)

    저 나름 엄청 똑똑한 고졸인데 요즘 그런거 느껴져서 속상해요

  • 6. 선입견
    '18.3.15 12:47 PM (1.225.xxx.199)

    같아요.
    제가 보기엔 배움의 길이 보다 독서량의 차이로 보이던데요.
    이과 문과 차이도 조금 있지만 뭐니뭐니해도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 제일이에요.

  • 7. 학습지교사
    '18.3.15 12:55 PM (223.62.xxx.88) - 삭제된댓글

    웃기네요... 뭔 궁예질인지..
    그런게 웃기지도 않는 선입견이지요...

  • 8. 대화
    '18.3.15 12:57 PM (182.216.xxx.37) - 삭제된댓글

    해보면 대충 판단되더군요. 우리 속담에 입닫고 있으면 중간은 간다 라는 말이 명언같아요.

  • 9. 333
    '18.3.15 1:04 PM (112.171.xxx.225)

    독서량이 대화수준과 연관돼 있음을 무시할 수 없고
    그보다 더 큰 차이는
    책을 썼다면 더더욱~!

  • 10. 그게
    '18.3.15 1:43 PM (163.152.xxx.151) - 삭제된댓글

    많이 읽고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또 이해한 것을 잘 설명하려고 하다보면 쌓이는 거더라고요.

  • 11. 많이
    '18.3.15 2:41 PM (115.136.xxx.67)

    책 많이 읽고 노력한 사람은 티나죠

    많이 배운 사람의 경우는
    학교에서 논문 써야해서 작문연습 하는거나 마찬가지고
    발표하면 지적도 받고 토론도 하니까
    조금 더 다듬어지겠죠

    그리고 학교 다니면 아무래도 안 다니는 사람보단
    일반적으로 책을 많이 읽게 됩니다

    그러니 쪼끔 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12. 부모님과 책의 영향
    '18.3.15 2:56 PM (175.223.xxx.33)

    부모님께서 사용 하시던 언어를 자식이 그대로 사용하죠. 또 개인이 깊이 있는 책들을 섭렵하면서 자기 것으로 소화해 자연스럽게 쓰는 것도 있겠고요.

  • 13. ㅋㅋ
    '18.3.15 3:22 PM (211.114.xxx.79)

    입닫고 있으면 중간은 간다.
    하하하
    몸소 느껴서 너무 입닫고 있었더니
    말하는 법을 잊었어요.
    말도 해야지 늘더라구요.
    글도 써야지 늘고...

  • 14. 고학력이라..
    '18.3.15 4:38 PM (14.40.xxx.217)

    고학력을 어디까지를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고학력이라고 전부 글을 잘쓰거나 말을 잘하지는 않고요.
    요샌 대학원생들도 머리에서 깡통 소리 나는 애들이 많거든요.
    아마도 원글님이 어떤 글을 읽고 뭔가 느낌이 달라서 찾아봤더니 고학력이었겠죠? 그건 거의 그런거 같아요.
    글을 잘 쓰려면 우선 많이 읽었을 것이고 쓰기 연습도 상당히 했을 것이니 학력이 짧다면 그게 더 드문일이 되지 않겠어요?

  • 15. ㅡㅡ
    '18.3.15 5:17 PM (125.180.xxx.21)

    동생이 그런 편인데, 평소에 책을 엄청나게 읽고 즐깁니다. 말하는 것, 단어선택, 글쓰는 거 다 티가 납니다.

  • 16. ㅇㅇ
    '18.3.15 7:03 PM (175.223.xxx.162)

    저는 어휘 선택도 그렇지만 띄어쓰기 잘 하는 사람보면
    그렇게 호감이 가더라구요. 범상치 않아 보이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9814 영어 듣기와 관련해서 지난번에 여기에 1 주니 2018/03/16 1,132
789813 검, 'MB 진술 태도' 적극 브리핑'영장청구 불가피' 입장 1 빠른진행 원.. 2018/03/16 2,250
789812 1880년대 고양이 7 ㅇㅇ 2018/03/16 2,884
789811 고1부터 공무원 준비해 합격한 19살 소년 27 올해 스무살.. 2018/03/16 10,962
789810 탄산수 즐겨마시면 몸에 안좋은가요? 9 청량감 2018/03/16 5,937
789809 JTBC 뉴스룸 신개념 취재 "마우스 드래그 취재&qu.. 10 ar 2018/03/16 2,489
789808 다른집 아들도 이렇게 애태우나요? 22 분기탱천 2018/03/16 7,277
789807 오늘 블랙하우스에 김유찬 나왔나요? 7 아마 2018/03/16 2,538
789806 블랙하우스 북한얘기 너무 재밌네요. 43 .. 2018/03/16 7,079
789805 4월중순, 중딩초딩 아이들과 2주일, 바르셀로나 or 런던? 4 가는거야 2018/03/16 1,059
789804 보통 요리는 어떤걸 많이 참고하시는편이세요..??? 6 ... 2018/03/16 1,956
789803 주차 범칙금 고지서 잃어버리면 어디 연락해요 6 dd 2018/03/16 904
789802 김흥국 관련 그 설계사라는 사람은 5 ㅂㄴ 2018/03/16 5,069
789801 MB 소문인줄 알았더니 대단한 인간이네요 진짜 59 설마했더닝 2018/03/16 22,267
789800 동정심이 많아 삶이 힘들었는데 23 .... 2018/03/15 5,292
789799 초밥이 너무 좋아요 11 ㅇㅇ 2018/03/15 4,454
789798 보수언론기자들이 걍 이명박을 찾아갔군요 12 기레기야 2018/03/15 4,151
789797 마더 결말 어떻게 끝났어요 3 .. 2018/03/15 3,380
789796 공부도 좋지만 잘 놀던 친구들이 결혼도 잘하고 삶도 재미있게 사.. 7 공부 2018/03/15 4,069
789795 82에 찰랑둥이들 다 어디갔을까요? 36 ... 2018/03/15 3,610
789794 박형준땜에 시민좌도 포기했는데 털보방상에 목기춘이 뙇~ 10 가는데 마다.. 2018/03/15 2,272
789793 녹색어버이날 1시간 늦게 출근 가능으로 바꾸면.. 5 .... 2018/03/15 1,089
789792 정규재 이 사람 ㅋㅋ 7 ........ 2018/03/15 2,588
789791 스테로이드주사 맞으면 간수치 올라가나요? 6 똑똑한 82.. 2018/03/15 8,126
789790 김어준 귀가 상당히 특이하게 생겼네요 2 ... 2018/03/15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