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배운 사람들은 끄적여 놓은 글에서도 티가 나나봅니다

... 조회수 : 3,600
작성일 : 2018-03-15 12:31:10
심심해서 아는 사람들 카스 들여다 보는 중인데... 그냥 대충 끄적여 놓은 글에도 어휘력이나 단어 선택을 잘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거의 고학력자이거나 배운 사람들인데...
바보같은 질문일지 모르겠지만...
대학에서 어휘나 문장을 배우는 것은 아닐텐데 어째서 배움의 길이에 따라 글솜씨가 달라질까요
배운 사람들은 글만 봐도 티가 나는듯 해서 말이예요
어쩌면 제 선입견일 수도 있을까요?
IP : 125.183.xxx.15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당연한거 아닌가요.
    '18.3.15 12:33 PM (220.123.xxx.111)

    그만큼 책도 많이 읽고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고
    그 수준의 사람들과 교류하니까요..

  • 2. 늑대와치타
    '18.3.15 12:33 PM (42.82.xxx.244) - 삭제된댓글

    대학에서 배우는게 아니라 대학가기까지 그만큼 공부를 해야되고 대학 간 다음에도 또 공부를 하고..
    결론은 남들보다 더 많이 공부하니까 쌓이고 쌓인거죠.

  • 3. ㅇㅇ
    '18.3.15 12:39 PM (61.101.xxx.67) - 삭제된댓글

    학습지 교사하는 친구왈..대화해보면 바로 그 엄마가 대졸인지 고졸인지 알겠답니다. 어딘가 모르게 다르겠지요..

  • 4. 어머나 세상에
    '18.3.15 12:40 PM (125.183.xxx.157)

    대화 한마디로 알 수있다니...

  • 5. 그래요
    '18.3.15 12:47 PM (125.187.xxx.37)

    저 나름 엄청 똑똑한 고졸인데 요즘 그런거 느껴져서 속상해요

  • 6. 선입견
    '18.3.15 12:47 PM (1.225.xxx.199)

    같아요.
    제가 보기엔 배움의 길이 보다 독서량의 차이로 보이던데요.
    이과 문과 차이도 조금 있지만 뭐니뭐니해도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 제일이에요.

  • 7. 학습지교사
    '18.3.15 12:55 PM (223.62.xxx.88) - 삭제된댓글

    웃기네요... 뭔 궁예질인지..
    그런게 웃기지도 않는 선입견이지요...

  • 8. 대화
    '18.3.15 12:57 PM (182.216.xxx.37) - 삭제된댓글

    해보면 대충 판단되더군요. 우리 속담에 입닫고 있으면 중간은 간다 라는 말이 명언같아요.

  • 9. 333
    '18.3.15 1:04 PM (112.171.xxx.225)

    독서량이 대화수준과 연관돼 있음을 무시할 수 없고
    그보다 더 큰 차이는
    책을 썼다면 더더욱~!

  • 10. 그게
    '18.3.15 1:43 PM (163.152.xxx.151) - 삭제된댓글

    많이 읽고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또 이해한 것을 잘 설명하려고 하다보면 쌓이는 거더라고요.

  • 11. 많이
    '18.3.15 2:41 PM (115.136.xxx.67)

    책 많이 읽고 노력한 사람은 티나죠

    많이 배운 사람의 경우는
    학교에서 논문 써야해서 작문연습 하는거나 마찬가지고
    발표하면 지적도 받고 토론도 하니까
    조금 더 다듬어지겠죠

    그리고 학교 다니면 아무래도 안 다니는 사람보단
    일반적으로 책을 많이 읽게 됩니다

    그러니 쪼끔 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12. 부모님과 책의 영향
    '18.3.15 2:56 PM (175.223.xxx.33)

    부모님께서 사용 하시던 언어를 자식이 그대로 사용하죠. 또 개인이 깊이 있는 책들을 섭렵하면서 자기 것으로 소화해 자연스럽게 쓰는 것도 있겠고요.

  • 13. ㅋㅋ
    '18.3.15 3:22 PM (211.114.xxx.79)

    입닫고 있으면 중간은 간다.
    하하하
    몸소 느껴서 너무 입닫고 있었더니
    말하는 법을 잊었어요.
    말도 해야지 늘더라구요.
    글도 써야지 늘고...

  • 14. 고학력이라..
    '18.3.15 4:38 PM (14.40.xxx.217)

    고학력을 어디까지를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고학력이라고 전부 글을 잘쓰거나 말을 잘하지는 않고요.
    요샌 대학원생들도 머리에서 깡통 소리 나는 애들이 많거든요.
    아마도 원글님이 어떤 글을 읽고 뭔가 느낌이 달라서 찾아봤더니 고학력이었겠죠? 그건 거의 그런거 같아요.
    글을 잘 쓰려면 우선 많이 읽었을 것이고 쓰기 연습도 상당히 했을 것이니 학력이 짧다면 그게 더 드문일이 되지 않겠어요?

  • 15. ㅡㅡ
    '18.3.15 5:17 PM (125.180.xxx.21)

    동생이 그런 편인데, 평소에 책을 엄청나게 읽고 즐깁니다. 말하는 것, 단어선택, 글쓰는 거 다 티가 납니다.

  • 16. ㅇㅇ
    '18.3.15 7:03 PM (175.223.xxx.162)

    저는 어휘 선택도 그렇지만 띄어쓰기 잘 하는 사람보면
    그렇게 호감이 가더라구요. 범상치 않아 보이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0579 이혼을 결혼 초기에 하든, 중기에 하든, 말기 하든 2 oo 2018/03/18 2,222
790578 샤오미 로봇청소기 많이 시끄럽나요 3 샤샤 2018/03/18 1,542
790577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ㅠㅠ 99 2018/03/18 1,186
790576 아이스하키경기후 애국가부르는데..눈물이찔끔 1 뭉쿨 2018/03/18 679
790575 최고 맛있는 치킨 추천좀 8 최고 2018/03/18 3,036
790574 생양배추가 좋나요? 10 양배추 2018/03/18 3,175
790573 커피숍커피처럼 고소한 커피원두는 어떻게 사야될까요? 18 ... 2018/03/18 4,668
790572 일상적으로 카톡하는 상사 4 .. 2018/03/18 1,760
790571 알바하는 딸아이 2018/03/18 371
790570 커튼 고수님 계신가요?? 2 ㅎㅎ 2018/03/18 934
790569 일본에서 작은 보온병을 산다면...? 17 ... 2018/03/18 4,231
790568 인간관계 잘하는 법 따윈 없습니다 7 글로 2018/03/18 4,903
790567 학원차릴지 말지 고민이에요.. 2 .. 2018/03/18 2,654
790566 중국 시진핑 독재체체 구축하는게 너무 좋네요. 28 쩜두개 2018/03/18 5,284
790565 아픈와중 자랑질? 2 ... 2018/03/18 1,075
790564 이영하도 미투에 걸려들것 같은데요 31 40대부페녀.. 2018/03/18 40,408
790563 결혼 초기에 이혼하는 이유는 뭐가 큰 것 같아요? 32 00 2018/03/18 11,393
790562 서울에서 가성비 좋은 동네요 6 2018/03/18 4,967
790561 전 깨소금을 좋아해서 따로 사서 숫가락으로 먹어요... 7 .. 2018/03/18 1,400
790560 윤서x이 그린 장자연관련 웹툰.;; 7 ddd 2018/03/18 2,622
790559 남편이 집에서 입던 츄리닝바지입고 나가는데요.. 7 .. 2018/03/18 2,567
790558 정부의 헌법개정안 발의 지지해 주세요 2 14 ,,, 2018/03/18 750
790557 사람따라 행동이 다른 건 당연한 거 아닐까요? ㅂㄷㅂㄷ 2018/03/18 539
790556 작년에 올라온곳인데....애들 앞에서 학부모들끼리 술마시는 동네.. 4 기억이 안나.. 2018/03/18 2,126
790555 백악관에 한반도 평화협정 촉구서명 운동 참여 부탁드려요.!! 3 훈련병 엄마.. 2018/03/18 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