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통령 중임제와 연임제의 차이를 아시나요?

중임찬성 조회수 : 3,414
작성일 : 2018-03-13 22:56:02

중임제는 여러 번 할 수 있고 연임제는 두 번까지만 할 수 있는 제도로 알고 있는데(더 정확한 것은 모르고요)

오늘 국민헌법자문특위에서 헌번개정안 초안을 대통령 연임제로 했네요.

얼마전까지 중임제로 한다고 들었는데 왜 바뀌었는지 모르겠어요.

박정희 군부 시절도 아니고 오래 한다고 독재가 될리는 없는데 (우리 국민이 그냥 놔둘리도 없고)

유능한 사람은 정책의 연속성 때문이라도 오래 하는 것이 좋을텐데요.

인재가 늘 있는 것도 아니고 정말 기적처럼 한 세기에 나올까말가한 큰 인물이 있어도 8년으로 끝내야 하나요?

지금 5년 단임인데 겨우 3년 늘리자고 헌법 개정하는 것도  참...

인물이 시원찮으면 4년으로 끝내주고 세종대왕급이면 20년도 좋지 않나요?

여러분은 어느 것을 선호하시나요?

IP : 123.254.xxx.5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3.13 11:00 PM (115.140.xxx.147)

    원글님. 개헌은 권력구조 개편만 하는거 아닙니다.
    헌법 개정에서 권력구조 개편은 그냥 하나의 작은 테마일 뿐입니다.
    그리고 20년이라뇨;;;
    아무리 훌륭해서 세종대왕급이라도 20년은 반대합니다.

  • 2. 연임제 지지
    '18.3.13 11:01 PM (124.59.xxx.247)

    제 짧은 소견으론 중임제는
    만약 대통령이 임기중반에 사퇴해서 다시 대통령 당선되면
    새로 임기가 시작되는거 아닌가요??

    그럼 8년할거 10년도 가능하잖아요.
    그런 꼼수 방지하기 위해 그냥 연임제가 좋을것 같아요.

  • 3. ...
    '18.3.13 11:02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온라인 정보 공유 및 합리적 정책평가와 공과의 판단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니 국민소환 과반 찬성 탄핵이 가능한 중임제

  • 4. ...
    '18.3.13 11:03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온라인 정보 공유 및 합리적 정책평가와 공과의 판단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니 국민소환 과반 찬성 탄핵이 가능한 중임제
    이 나라에 필요한 지도자이면 중임제한 불필요

  • 5. ...
    '18.3.13 11:06 PM (125.186.xxx.152)

    중임제는 2회 가능
    연임제는 연속으로 할 경우에만 2회 가능이래요.
    둘다 최대 2회구요.

  • 6. ..?
    '18.3.13 11:10 PM (121.129.xxx.37)

    연임은 붙어서 두번, 중임은 잠시 쉬고도 두번. 중임제 안에 연임제가 포함되는 거 같은데요

  • 7. 중임,연임 모두 8년은 마찬가지.
    '18.3.13 11:20 PM (211.243.xxx.4) - 삭제된댓글

    다만 연임은 연달아 당선돼야 하는 것이고 중임은 그 사이 공백기간이 있어도 되는 것이고....

  • 8. 5년이 제일 좋아요.
    '18.3.13 11:48 PM (42.147.xxx.246)

    그걸 왜 바꾸려고 하는지 ...

  • 9. 윗님
    '18.3.13 11:52 PM (106.252.xxx.238)

    5년은 너무 짧아요
    레임덕이 오면
    추진동력이 떨어지고요

  • 10. snowmelt
    '18.3.14 12:00 AM (125.181.xxx.34) - 삭제된댓글

    연임제는 현재 대통령이 임기 중에 치러지는 선거에 출마할 수 있고 당선될 경우 연이어 대통령을 할 수 있는데.. 차기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더 이상 대선에 출마할 수 없어요.. 연임제로 개헌이 이뤄져도 현직 대통령은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문 대통령 임기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장난이라도 20년 연임.. 이런 말씀은.. ㅎㅎ

  • 11. snowmelt
    '18.3.14 12:01 AM (125.181.xxx.34)

    연임제는 현재 대통령이 임기 중에 치러지는 선거에 출마할 수 있고 당선될 경우 연이어 대통령을 할 수 있는데.. 차기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더 이상 대선에 출마할 수 없어요.. 연임제로 개헌이 이뤄져도 현직 대통령은 적용 대상이 아니라 문 대통령 임기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장난이라도 20년 연임.. 이런 말씀은.. ㅎㅎ

  • 12. 연임제
    '18.3.14 12:03 AM (121.32.xxx.31)

    이해하고 보면 중임보다
    연임이 맞습니다~

  • 13. ㅣㅣㅣㅣ
    '18.3.14 12:09 AM (182.216.xxx.37) - 삭제된댓글

    중임제도 좋고 연임제도 좋지만,,뻘건당이 없어지지 않는한 언제고 한번은 정권이 바뀔테고 그순간 모든건 원위치 되면서 이메바그네 시즌 2가 다시 시작 됩니다.

  • 14. 그럼
    '18.3.14 12:12 AM (123.254.xxx.54) - 삭제된댓글

    연임제는 임기끝나고 재선에 나올 수 있으나 낙선하면 영원히 출마 못하고
    중임제는 임기 끝나고는 출마 못하고 나중에 하나요?
    그러면 예전 미대통령 루즈벨트가 4선한 것처럼 횟수 상관없이 계속 출마할 수 있는 것은 무슨 제도인가요?
    그리고 지금 미국은 연임제인가요

  • 15. 그건 알아요
    '18.3.14 12:21 AM (123.254.xxx.54)

    현재 문대통령은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당연히 알죠.
    미래에 정말 탁월한 지도자가 나오면 아까울 것 같아서요.
    그리고 임기는 연임이든 중임이든 5년이 좋은데 뭐 내 의견이 받아들여지지는 않겠죠.

  • 16. 그러면
    '18.3.14 12:27 AM (123.254.xxx.54)

    예전 미국 대통령 루즈벨트가 4선한 것처럼 횟수 상관없이 계속 출마할 수 있는 경우는 무슨 제도인가요?
    그리고 지금 미국은 연임제인가요

  • 17. 그냥
    '18.3.14 1:56 AM (218.153.xxx.6) - 삭제된댓글

    단임제가 나은 듯...
    8년 정도면 주변에서 엄청 해먹을 것
    같아서 단임제

  • 18. 루스벨트때는
    '18.3.14 2:33 AM (73.193.xxx.3) - 삭제된댓글

    대통령직 수행 횟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고 그 다음에 그 횟수에 제한을 두는 법이 생겼어요.
    특별히 연임,중임에 대한 단서는 없지 싶은데...통상 연임이지 싶어요.
    최장 10년 조금 못미치는 때까지 대통령직 수행 가능한데... 예를 들어 부통령이다가 대통령이 이런저런 이유로 궐석이 되어 부통령이 남은 임기를 채울 경우 그 기간이 2년 미만이면 그 이후 대통령으로 두번까지 선출될 수 있거든요.
    반면 대통령궐석을 채운 기간이 2년이 넘으면 그 다음에는 1번만 대통령할 수 있어요.

  • 19. 루스벨트때는
    '18.3.14 2:34 AM (73.193.xxx.3)

    대통령직 수행 횟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고 그 다음에 그 횟수에 제한을 두는 법이 생겼어요.
    미국은 특별히 연임,중임에 대한 단서는 없지 싶은데...통상 연임이지 싶어요.
    최장 10년 조금 못미치는 때까지 대통령직 수행 가능한데... 예를 들어 부통령이다가 대통령이 이런저런 이유로 궐석이 되어 부통령이 남은 임기를 채울 경우 그 기간이 2년 미만이면 그 이후 대통령으로 두번까지 선출될 수 있거든요.
    반면 대통령궐석을 채운 기간이 2년이 넘으면 그 다음에는 1번만 대통령할 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9101 155cm, 83kg 24 가방만들어줘.. 2018/03/14 5,397
789100 노무현 대통령이 돌아가신 날, 김어준 총수가 딴지일보에 올린 글.. 43 .. 2018/03/14 6,935
789099 총회니 상담이니 학교활동들이 아이에게 어떤 도움이나 불이익이 있.. 1 ㅁㅁ 2018/03/14 895
789098 문재인정권 오늘 '치졸한 꿈'이뤘다네요. 17 헐. . ... 2018/03/14 3,275
789097 유치원 학원이 케어가 잘된다 안된다라는 말이 1 ㅇㅇㅇ 2018/03/14 839
789096 카레에 감자크게 하는게 맛있나요~~? 7 자취생 2018/03/14 1,786
789095 현관문을 안 잠그고 잤어요..ㅠ.ㅠ 8 2018/03/14 4,103
789094 학부모총회 12 고민 2018/03/14 4,094
789093 모두 한마음으로 기도합시다 1 국운 상승 2018/03/14 500
789092 가시없는 북어포..없나요?? 9 ㅠㅠ 2018/03/14 1,458
789091 미디어 몽구한테 주기자 전화 왔대요 14 기레기아웃 2018/03/14 4,841
789090 티비조선 화면만 틀었는데 4 나쁜방송 2018/03/14 1,201
789089 결혼전인데 여성호르몬수치 낮아서 약 먹어야한다는데 2 2018/03/14 1,393
789088 원장 혼자하는 미용싷에 예약해서 왔는데... 6 이런 경우 2018/03/14 2,637
789087 법 아는 친구말론 이 명박 구속 힘들거라네요 쳇 54 ㅇㅇㅇㅇ 2018/03/14 15,036
789086 그대가 마지막 구속자가 되라, 5 무겁게값치뤄.. 2018/03/14 699
789085 티비조선~이와중에도 안희정 3 징하다 2018/03/14 1,094
789084 부자들의 개인 도서관 #3 3 홀릭 2018/03/14 1,625
789083 서른에 카페 알바 일을 하고 있는데요... 7 yy 2018/03/14 3,220
789082 지금 서초역 7번 출구에서 떡 돌리고 있대요 17 어머 2018/03/14 17,352
789081 감방가기 딱 좋은 날-현수막 왤케 이뻐요? 2 깨알 2018/03/14 2,384
789080 축MB소환) 이쯤에서 플랜다스의계 6 .. 2018/03/14 852
789079 라이브..역시 2 000 2018/03/14 1,123
789078 문재인 포토라인에 세워 망신주려던 MB시절.jpg 20 흠흠 2018/03/14 7,138
789077 이제 시작이니 끝까지!! 1 2018/03/14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