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통령 중임제와 연임제의 차이를 아시나요?

중임찬성 조회수 : 3,412
작성일 : 2018-03-13 22:56:02

중임제는 여러 번 할 수 있고 연임제는 두 번까지만 할 수 있는 제도로 알고 있는데(더 정확한 것은 모르고요)

오늘 국민헌법자문특위에서 헌번개정안 초안을 대통령 연임제로 했네요.

얼마전까지 중임제로 한다고 들었는데 왜 바뀌었는지 모르겠어요.

박정희 군부 시절도 아니고 오래 한다고 독재가 될리는 없는데 (우리 국민이 그냥 놔둘리도 없고)

유능한 사람은 정책의 연속성 때문이라도 오래 하는 것이 좋을텐데요.

인재가 늘 있는 것도 아니고 정말 기적처럼 한 세기에 나올까말가한 큰 인물이 있어도 8년으로 끝내야 하나요?

지금 5년 단임인데 겨우 3년 늘리자고 헌법 개정하는 것도  참...

인물이 시원찮으면 4년으로 끝내주고 세종대왕급이면 20년도 좋지 않나요?

여러분은 어느 것을 선호하시나요?

IP : 123.254.xxx.5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3.13 11:00 PM (115.140.xxx.147)

    원글님. 개헌은 권력구조 개편만 하는거 아닙니다.
    헌법 개정에서 권력구조 개편은 그냥 하나의 작은 테마일 뿐입니다.
    그리고 20년이라뇨;;;
    아무리 훌륭해서 세종대왕급이라도 20년은 반대합니다.

  • 2. 연임제 지지
    '18.3.13 11:01 PM (124.59.xxx.247)

    제 짧은 소견으론 중임제는
    만약 대통령이 임기중반에 사퇴해서 다시 대통령 당선되면
    새로 임기가 시작되는거 아닌가요??

    그럼 8년할거 10년도 가능하잖아요.
    그런 꼼수 방지하기 위해 그냥 연임제가 좋을것 같아요.

  • 3. ...
    '18.3.13 11:02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온라인 정보 공유 및 합리적 정책평가와 공과의 판단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니 국민소환 과반 찬성 탄핵이 가능한 중임제

  • 4. ...
    '18.3.13 11:03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온라인 정보 공유 및 합리적 정책평가와 공과의 판단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니 국민소환 과반 찬성 탄핵이 가능한 중임제
    이 나라에 필요한 지도자이면 중임제한 불필요

  • 5. ...
    '18.3.13 11:06 PM (125.186.xxx.152)

    중임제는 2회 가능
    연임제는 연속으로 할 경우에만 2회 가능이래요.
    둘다 최대 2회구요.

  • 6. ..?
    '18.3.13 11:10 PM (121.129.xxx.37)

    연임은 붙어서 두번, 중임은 잠시 쉬고도 두번. 중임제 안에 연임제가 포함되는 거 같은데요

  • 7. 중임,연임 모두 8년은 마찬가지.
    '18.3.13 11:20 PM (211.243.xxx.4) - 삭제된댓글

    다만 연임은 연달아 당선돼야 하는 것이고 중임은 그 사이 공백기간이 있어도 되는 것이고....

  • 8. 5년이 제일 좋아요.
    '18.3.13 11:48 PM (42.147.xxx.246)

    그걸 왜 바꾸려고 하는지 ...

  • 9. 윗님
    '18.3.13 11:52 PM (106.252.xxx.238)

    5년은 너무 짧아요
    레임덕이 오면
    추진동력이 떨어지고요

  • 10. snowmelt
    '18.3.14 12:00 AM (125.181.xxx.34) - 삭제된댓글

    연임제는 현재 대통령이 임기 중에 치러지는 선거에 출마할 수 있고 당선될 경우 연이어 대통령을 할 수 있는데.. 차기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더 이상 대선에 출마할 수 없어요.. 연임제로 개헌이 이뤄져도 현직 대통령은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문 대통령 임기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장난이라도 20년 연임.. 이런 말씀은.. ㅎㅎ

  • 11. snowmelt
    '18.3.14 12:01 AM (125.181.xxx.34)

    연임제는 현재 대통령이 임기 중에 치러지는 선거에 출마할 수 있고 당선될 경우 연이어 대통령을 할 수 있는데.. 차기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더 이상 대선에 출마할 수 없어요.. 연임제로 개헌이 이뤄져도 현직 대통령은 적용 대상이 아니라 문 대통령 임기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장난이라도 20년 연임.. 이런 말씀은.. ㅎㅎ

  • 12. 연임제
    '18.3.14 12:03 AM (121.32.xxx.31)

    이해하고 보면 중임보다
    연임이 맞습니다~

  • 13. ㅣㅣㅣㅣ
    '18.3.14 12:09 AM (182.216.xxx.37) - 삭제된댓글

    중임제도 좋고 연임제도 좋지만,,뻘건당이 없어지지 않는한 언제고 한번은 정권이 바뀔테고 그순간 모든건 원위치 되면서 이메바그네 시즌 2가 다시 시작 됩니다.

  • 14. 그럼
    '18.3.14 12:12 AM (123.254.xxx.54) - 삭제된댓글

    연임제는 임기끝나고 재선에 나올 수 있으나 낙선하면 영원히 출마 못하고
    중임제는 임기 끝나고는 출마 못하고 나중에 하나요?
    그러면 예전 미대통령 루즈벨트가 4선한 것처럼 횟수 상관없이 계속 출마할 수 있는 것은 무슨 제도인가요?
    그리고 지금 미국은 연임제인가요

  • 15. 그건 알아요
    '18.3.14 12:21 AM (123.254.xxx.54)

    현재 문대통령은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당연히 알죠.
    미래에 정말 탁월한 지도자가 나오면 아까울 것 같아서요.
    그리고 임기는 연임이든 중임이든 5년이 좋은데 뭐 내 의견이 받아들여지지는 않겠죠.

  • 16. 그러면
    '18.3.14 12:27 AM (123.254.xxx.54)

    예전 미국 대통령 루즈벨트가 4선한 것처럼 횟수 상관없이 계속 출마할 수 있는 경우는 무슨 제도인가요?
    그리고 지금 미국은 연임제인가요

  • 17. 그냥
    '18.3.14 1:56 AM (218.153.xxx.6) - 삭제된댓글

    단임제가 나은 듯...
    8년 정도면 주변에서 엄청 해먹을 것
    같아서 단임제

  • 18. 루스벨트때는
    '18.3.14 2:33 AM (73.193.xxx.3) - 삭제된댓글

    대통령직 수행 횟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고 그 다음에 그 횟수에 제한을 두는 법이 생겼어요.
    특별히 연임,중임에 대한 단서는 없지 싶은데...통상 연임이지 싶어요.
    최장 10년 조금 못미치는 때까지 대통령직 수행 가능한데... 예를 들어 부통령이다가 대통령이 이런저런 이유로 궐석이 되어 부통령이 남은 임기를 채울 경우 그 기간이 2년 미만이면 그 이후 대통령으로 두번까지 선출될 수 있거든요.
    반면 대통령궐석을 채운 기간이 2년이 넘으면 그 다음에는 1번만 대통령할 수 있어요.

  • 19. 루스벨트때는
    '18.3.14 2:34 AM (73.193.xxx.3)

    대통령직 수행 횟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고 그 다음에 그 횟수에 제한을 두는 법이 생겼어요.
    미국은 특별히 연임,중임에 대한 단서는 없지 싶은데...통상 연임이지 싶어요.
    최장 10년 조금 못미치는 때까지 대통령직 수행 가능한데... 예를 들어 부통령이다가 대통령이 이런저런 이유로 궐석이 되어 부통령이 남은 임기를 채울 경우 그 기간이 2년 미만이면 그 이후 대통령으로 두번까지 선출될 수 있거든요.
    반면 대통령궐석을 채운 기간이 2년이 넘으면 그 다음에는 1번만 대통령할 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0049 주기자는 결혼했나요? 35 ... 2018/03/15 8,364
790048 운전한지 두달 됐어요. 7 가능할까 2018/03/15 3,162
790047 브로크백 마운틴 을 보고 히스레저와 제이크질렌할 1 포리 2018/03/15 1,897
790046 헤나염색 색상 정확히 알고계신분 이게 맞나요? 9 2018/03/15 2,404
790045 구례 광양 하동 여행 가보신분~~ 46 질문 2018/03/15 4,659
790044 빈 원룸, 관리비내야 하나요? 16 월세관리비 2018/03/15 4,928
790043 유산균 이건 효과봤다 하시는거 추천좀 해주세요 제발 14 2018/03/15 4,684
790042 영부인과 악수 하는데 새색시 표정 짓는 대통령님 22 ㅋㅋㅋ 2018/03/15 11,522
790041 트럼프는 체력이 대단한 듯 5 .. 2018/03/15 2,120
790040 장판깔고 바로 보일러 틀어도되나요?? 3 엘엘 2018/03/15 1,011
790039 김어준 수상소감 역시 김어준 - 그가 사랑받는 이유 22 눈팅코팅 2018/03/15 4,496
790038 중기취업 청년에 실질소득 1천만원 지원…대기업과 격차 없앤다 1 ........ 2018/03/15 711
790037 두돌 아기... 2주일 안보면 어떻게 될까요? 15 ㅇㅇ 2018/03/15 3,920
790036 오후 시간되면 너무나 졸려서..... 4 고민 2018/03/15 1,382
790035 성격좋고 포용력 넓으신분들 저에게 한수 가르쳐 주세요. 12 ,,, 2018/03/15 5,364
790034 건조기 구입후 삶의 질이 높아졋단 분들이 많은데 13 건조기 2018/03/15 6,360
790033 동물과 같이 사시는 분들 8 ㄱㄴ 2018/03/15 1,728
790032 오늘자 김정숙 여사 패션 61 ar 2018/03/15 15,103
790031 잘익은 아보카도가 너무 많은데 통째로 얼려도 될까요? 5 .. 2018/03/15 3,112
790030 층간소음//밤늦게 기타치는 동영상입니다. 8 ㅜ.ㅜ 2018/03/15 1,677
790029 시금치 된장국 질문이요 2 시금치 2018/03/15 1,318
790028 하원도우미 하는데 자꾸 마트가서 돈벌어오라네요 47 돈이 뭔지 2018/03/15 24,497
790027 최음제먹이고 성접대? 2 ㅇㅇ 2018/03/15 4,204
790026 수세미뜨기에 빠졌어요;; 10 .. 2018/03/15 3,672
790025 김정숙여사님 정말 최고네요!!! 20 ........ 2018/03/15 6,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