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졸로 살기엔 앞으로 세상이 너무나도 많이 바뀔 것 같지 않나요?

ㅇㅇ 조회수 : 4,556
작성일 : 2018-03-11 11:58:36
지금 당장엔 국가에서 고졸채용을 장려하고 있으니 
고졸이 취업도 쉽고 괜찮아 보이지만

저는 막연한 불안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소득수준이 올라가고 임금이 올라감에 따라서
고부가가치 산업이 아닌 생산시설들은 전부 외국으로 나가거나
외국인 근로자들이 국내생산을 맡아서 할 것으로 보이는데다

자동화설비와 인공지능기술 때문에
더 이상 전문성이 낮은 인력들은 국내에서 필요가 없어질 것 같아요.

결국 미래는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을 필요로 할텐데
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으로 그걸 대비할 수 있을까요?

당장에 큰 변화가 없겠지만
지금 학생들은 앞으로 일할 시간이 너무나도 긴데..



물론 특성화 고등학교 나와서 바로 취업했다고 해서
그 뒤로 공부를 할 수 없거나 전문성이 없다는 뜻은 전혀 아닙니다.

하지만 특성화 고등학교를 나왔어도
공부와는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을 것 같아요.

세상이 너무나도 빠르게 바뀌고 변화의 폭이 커서

제 자식에게 고졸로 충분하다고 말하기엔 불안감이 있어요.
IP : 58.235.xxx.137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8.3.11 12:01 PM (49.142.xxx.181)

    지금 대학다니는 세대 애들이 대졸이 아마 한 80프로 될거에요.
    뭐 무슨 방통대며 대졸 자격인정하는 사이버대학 학점인정제 대졸자까지 합하면요.
    상위 10~20프로까지나 대졸자의 자격이 있는거지 고졸하고 비슷한 아니 그보다 못한? 대졸들도 많아요.
    대졸이 문제가 아니고 어느 대학 어느과를 어떤 학점으로 졸업했느냐가 문제..

  • 2. ㅇㅇ
    '18.3.11 12:04 PM (175.223.xxx.189)

    학교공부야 당연히 열심히 해야하고 우리나라 같은 사회에서는 대학을 나오는게 '보통'이 되니까 어떤집단이든지 들어가서 적응하거나 애초에 선택의 폭을 생각하거나 했을때 대학은 들어가는게 좋은거죠. 요즘 대학 별로 안중요하다 이 말은 대학 안들어가도 별거없다 라는 말이기 보다는 과거보다 대학간판이 주는 메리트가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소리라고 봅니다. 이런 시대상황을 봤을때 굳이 부모가 애들한테 고래고래 소리지르며 공부하라고 닥달할 필요가 없는데 참 공부로 애들 잡는거 보니 답답해서 다들 얘기하는거죠.

  • 3. 글쎄
    '18.3.11 12:05 PM (112.221.xxx.186)

    고졸이 문제가 아니예요 인공지능의 발달은 4년제 화이트칼라일을 뺐어서 인공지능이후 살아남는 학과는 많지않을거예요

  • 4. 선취업후진학
    '18.3.11 12:08 PM (118.32.xxx.208)

    울동네 24,25살 아이들 보면 특성화고 출신 아이들이 2,3년후 보면 더 좋은대학 다니고 있긴해요. 취업도 00증권등 좋은곳 취업해서 급여도 높고 물론 특성화고중 이름있는곳 중학교때 상위 10%이내였어요. 성적이..
    암튼 그런 아이들은 자신의 선택에 후회없더라구요.

  • 5. 47528
    '18.3.11 12:10 PM (114.201.xxx.36)

    그러게요..

    저 같아도 비슷한 고민을 할 것 같긴 합니다.

    고졸로 충분하다는 건 취업의 조건을 말하는거겠죠.

    그러나 일을 하다보면 분명히 일로써는 배울 수 없는

    지식의 목마름이 생깁니다.

    고등학교때 까지 배운걸로 은퇴할 때 까지 계속 써먹지는 못합니다.

    자기 발전 하려면 평생 공부해야 해요.

    그게 학위로 증명될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죠..

  • 6. 저희 애도
    '18.3.11 12:16 PM (49.1.xxx.57)

    고졸에 이번에 공기업 공채 들어갔습니다. 3년 뒤 대학진학 할거고요. 선배들도 다 그렇게해서 좋은 대학다녀요. 취업 상태에서 다녀서 힘든 것도 있지만 학비 지원도 되고 취직에대한 불안감이 없어서 더 맘 편하게 전공에 열중한다 하더군요.

  • 7. ..
    '18.3.11 12:48 PM (180.66.xxx.164)

    공기업다니는 친구말 들어보니 외국가서 석박사하고 들어온사람들 비정규직 계약직으로 들어온대요~~ 근데 고졸들이 공채로 들어온다네요 그런 티오가 있나봐요~ 그걸보더니 자식들 명문대안갈꺼면 특성화고보내서 이런 공채 보는게 나은거같대요~~ 그것도 준비할 시험이 있긴한대 대입시험보다는 쉽대요~~~

  • 8. 오늘
    '18.3.11 1:58 PM (218.237.xxx.85)

    이제는 고졸이나 대졸이나 별 상관 없는 세상인 것같아요. 대학졸업하고 책도 안 읽고 줄창 tv나 본 사람 명문대졸이여도 30년정도지나다보면 국졸이나 다 똑같이 소견 좁고 자부심만 있어서 더 무식해 보여요.

  • 9. 특성화고
    '18.3.11 2:14 PM (14.47.xxx.244)

    특성화고도 괜찮은 곳은 커트라인 높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2292 의지 약한 아이, 엄마가 어디까지 끌고 갈 수 있나요? 3 .. 2018/04/21 1,237
802291 봉천역에서 을지로입구 출근하기 어떤가요? 4 .... 2018/04/21 966
802290 단식유가족앞에서 피자치킨먹게만든게 삼성? 5 ㄱㄴ 2018/04/21 1,334
802289 행복하네요. 오랫만에 조용필님 웃는 모습을 뵈니 8 ... 2018/04/21 1,540
802288 백야행 보기 시작했어요 4 내일 2018/04/21 1,450
802287 변호사가 되어 누명을 푸는 영화제목 5 세상 2018/04/21 1,359
802286 더위먹은 걸까요? 000 2018/04/21 346
802285 공기청정기 꼭 있어야하나요? 6 미치겠네 2018/04/21 3,104
802284 포카리스웨트,오로나민C,토레타,조지아커피 다 일제네요 1 ㅇㅇ 2018/04/21 1,619
802283 두부에 방부제잇나요? 3 2018/04/21 936
802282 펌) "대통령님 당신 노벨상 받게 됩니까?" 7 트럼프 2018/04/21 1,894
802281 살지도 않는 경기도지사 걱정중이에요 7 경기도 2018/04/21 763
802280 barmy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1 정신나간당 2018/04/21 2,414
802279 부모님께 드루킹 뭔지 여쭤봤는데 9 ㅇㅇ 2018/04/21 2,856
802278 경주 황남빵 선물 어떠세요? 18 미소 2018/04/21 3,203
802277 Kpop에까지 우익을 얹는 CJ mnet 일본돈이라도 받았나 2 ㅇㅇ 2018/04/21 1,040
802276 절친이 제 결혼할 남자친구를 싫어하는것같아요 24 .. 2018/04/21 6,214
802275 테클 아니고 진짜 궁금해서요. 2 @@ 2018/04/21 721
802274 아기 큰일 날뻔 해서 시어머니한테 큰 소리냈는데 사과드려야겠죠?.. 32 나는 엄마 2018/04/21 11,972
802273 재봉틀10만원대도 쓸만할까요..??? 2 ... 2018/04/21 1,055
802272 안철수는 MB 아바타 7 철수야~~ 2018/04/21 895
802271 질리지 않는 다이어트 음식이나 레시피 추천해주세요~ 6 ... 2018/04/21 2,351
802270 (효자동사진관) 대통령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행복한 표정 17 ar 2018/04/21 2,877
802269 사악한 617이 나았을까요, 무능한 503이 나았을까요? 7 도찐개찐 2018/04/21 955
802268 남자 아이돌도 메이크업 전후 차이가 꽤 많이 나네요 (워너원) 4 ... 2018/04/21 4,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