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 저녁9시에 지낼 때 날짜 한 번 봐주세요.

제사 조회수 : 2,860
작성일 : 2018-03-10 22:12:00

음력으로 26일 돌아가셨다면(올해 양력 3/13)

제사를 지낼 때 밤 12시 지나 지낸다면 3/13 밤 12시 이후에 지내고

저녁 9시에 지낸다면 3/14 저녁9시에 지내는거 맞나요?

IP : 182.221.xxx.3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3.10 10:15 PM (221.157.xxx.127)

    아니요 돌아가신 전날저녁에지내거나 일찍 지낼경우 당일지냅니다 저희는 일찍지내도 전날지내고대신 제삿밥을 11시까지 그대로 놔두는식으로해요 시아버지가 그러면된다고

  • 2. 노...
    '18.3.10 10:17 PM (122.38.xxx.28)

    13일 돌아가셨으면 12일 준비해서 13일이 되는 자정 0시에 지내고...13일 준비해서 밤이 되는 저녁 7시..즉..19시부터 지내는거에요. 엄밀하게 말하면 한밤중이든 초저녁이든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거죠.

  • 3. ...
    '18.3.10 10:20 PM (122.38.xxx.28)

    전날 지낸다는거는 현대식 시간 계산이고 과거에는 자시가 하루가 시작하는 시간이니까..전날 밤 11시에 지내는거는 과거식으로는 그 시간이 돌아가신 날이 시간되는 시간이라 돌아가신 전날 한밤중에 지내는것처럼 보이는거죠.

  • 4. .....
    '18.3.10 10:20 PM (221.164.xxx.72)

    아니요..
    양력 기준으로 3월 13일날 돌아가셨다면
    13일 아무때나 지내면 됩니다.
    13일 저녁 9시에 지내세요.
    밤 12시를 넘긴다는 건 13일 즉, 돌아가신날 첫시간에 제사를 지낸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12일날 밤에 모여 있다가 밤 12시가 넘으면 돌아가신 날 13일 첫시간이잖아요.
    첫시간에 안지내고 밤 9시에 지낼려면 13일 밤 9 시에 지내야죠.
    밤9시도 13일이니깐요.

  • 5. ...
    '18.3.10 10:21 PM (14.32.xxx.70)

    보통 3월 12일 준비해서 3월 13일 밤 12시 넘어 지냈잖아요

    3월 13일 00시 부터 지내고 싶은 시간에 지내시면 ㅇㅇ됩니다.

  • 6. ......
    '18.3.10 10:22 PM (125.62.xxx.146) - 삭제된댓글

    13일이 시작되는 자정에 지내거나 13일 일몰 이후에 지내면 돼요.
    엄밀히 말하면 자시가 시작되는 3월 12일 23시 이후부터 지내시면 됩니다.

  • 7. 바람소리
    '18.3.10 10:30 PM (125.142.xxx.237)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전날 지내요
    12일 저녁에.지내면 됩니다

  • 8. ....
    '18.3.10 10:33 PM (221.164.xxx.72)

    윗님 돌아가신 전날은 살아 계실때 입니다.
    살아 계신 날에 제사를 지낸다고요?

  • 9. 바람소리
    '18.3.10 10:40 PM (125.142.xxx.237) - 삭제된댓글


    전날 지내는 셈이죠
    예전엔 자정에 지냈죠
    12일에서 13일 넘어가는.자정에
    요즘은 그렇게 늦게 지내기 어려우니 12일.저녁에 지냅니다.
    시댁은 그렇구요, 친정은 돌아가신 날이.기일이에요.
    이것만 봐도 제사는.진짜 다.제각각 다 달라요.
    자정에.지내기.어려우니.13일 저녁에.지내도 무방할 거 같아요. 아니.이게 더 맞을 수도 있겠네요

  • 10. .....
    '18.3.10 10:52 PM (221.164.xxx.72)

    윗님 집안에서 그렇게 정했으니 참견할 일은 아니지만,
    제사날은 돌아가신 날이니, 시간으로 봐서는
    12일 저녁이 아니라 13일 저녁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윗님 시댁도 예전에는 12일에서 13일 넘어가는 자정, 즉 13일에 지내신거구요.

  • 11. ..
    '18.3.10 11:14 PM (183.101.xxx.159)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따라서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자시 전까지(해시21:00-23:00) 지내면 맞습니다.

  • 12. ..
    '18.3.10 11:16 PM (183.101.xxx.159)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원글님 말씀처럼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자시 전까지(해시21:00-23:00) 지내면 맞습니다.

  • 13. ..
    '18.3.10 11:22 PM (183.101.xxx.159)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원글님 말씀처럼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해시(21:00-23:00)까지 지내면 맞습니다.

  • 14. ..
    '18.3.10 11:22 PM (211.117.xxx.98) - 삭제된댓글

    저희는 시조부모님은 바닷가가 고향이시라 그 지역 분들은 일찍 제사나 차례 지내시고 새벽 일찍 배 타고 일나갔다고 해요. 그래서 돌아가신 전날 저녁 7시에 지내고, 상 치우고, 늦은 밥 먹고 설거지 하고 잡니다.

  • 15.
    '18.3.11 12:32 AM (175.192.xxx.216)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원글님 말씀처럼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해시(21:00-23:00)까지 지내면 맞습니다. 22222

  • 16. marco
    '18.3.11 12:37 AM (39.120.xxx.232)

    원래 제사는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것입니다.
    그런데 전날 준비를 해야 해서 그런 것이지요.
    그래서 다 준비하고 12시가 넘어가야 제사를 지냅니다.
    돌아가신날 첫새벽에 제물을 바치는 것이지요.
    따라서 시간을 땡겨서 지내려면
    돌아가신날 저녁에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통념상 시간을 앞당겨서
    돌아가신 전날 제사를 지내는 것이 통념처럼 굳어 진 것입니다.
    망자를 기억하고 형제간에 우애를 다지는 시간으로
    여긴다면 날짜가가 뭐 그리 중요하겠습니까?
    원칙을 따진다면 돌아가신날 저녁에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 17.
    '18.3.11 12:41 AM (175.192.xxx.216)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22222
    -------------------------------------------------------------
    음력으로 26일 돌아가셨다면 (올해 양력 3/13)
    3/12일 23시이후면 3/13일로 간주하니 예전에는 12일 24시에 지냈던것이고
    요즘은 13일 20시, 21시에 지내는거죠. 23:00시전까지 지내면 되는겁니다

  • 18. 종가
    '18.3.11 11:17 AM (59.22.xxx.6) - 삭제된댓글

    위에 흐님 말씀이 정답입니다.

  • 19. ...
    '18.3.11 1:11 PM (218.155.xxx.169)

    흐님 말씀이 맞아요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3147 아침에 다시보기로..잠수사.. 1 에휴 2018/04/24 390
803146 남자 도우미 있는 노래방도 있나요? 5 혹시 2018/04/24 4,735
803145 민주당 윤리위에 이재명 제소 - 대의원과 권리당원 756명 (펌.. 15 Pianis.. 2018/04/24 1,987
803144 살면서 잘 샀다고 생각하는것 145 ㅇㅇ 2018/04/24 41,940
803143 제휴카드 상담 업무라는 거 해 보신분 계시나요? 2 알바 2018/04/24 553
803142 이런 방수신발커버 등산때 위험할까요? 9 등산 2018/04/24 833
803141 건강검진에서 비장에 혹이 있다는데.. 1 2018/04/24 6,037
803140 82쿡은 선거철이면 객들이 넘치는.. 36 선거철 2018/04/24 815
803139 TV조선 도둑킹 사건의 비사와 커넥션 내막. 2 ㅇㅇㅇ 2018/04/24 834
803138 미국거주 경기도민 6월에 투표하러 한국 갈건데 23 권리당원 2018/04/24 835
803137 크록스 불량인 걸까요? 1 2018/04/24 1,288
803136 나에게주는선물.팔찌.14..18k차이 11 내생일 2018/04/24 3,430
803135 얼갈이 김치만들떄 꼭 밀가루풀? 찹쌀풀을 넣어야하나요? 4 ..... 2018/04/24 2,019
803134 책 소개해 주신 분들 감사드려요 10 흠흠흠 2018/04/24 1,383
803133 중학생 아이와 같이 가보면 좋은 해외여행지 3 용기 2018/04/24 3,634
803132 백종원은 먹는프로 또하나 시작하네요. 대단~~ 24 ㅎㅎ 2018/04/24 6,069
803131 이읍읍..또 경악할 파파괴 나왔다 24 Lucky .. 2018/04/24 4,320
803130 커피머신 처음 사용하는데요 궁금해요 4 // 2018/04/24 1,051
803129 공부안하는 애들을 보니 8 ㅇㅇ 2018/04/24 2,914
803128 조양호가 생각보다 돈이 없네요? 대한항공 지분도 진짜 쥐꼬리고 9 ㅇㅇ 2018/04/24 5,246
803127 이읍읍 sns 문프퇴출 커뮤니티에 가입했다 탈퇴 17 막땡이 2018/04/24 1,619
803126 백아저씨 새 프로 보니 청두 매력있네요. 6 지미. 2018/04/24 1,249
803125 화장하면 목이랑 차이 나도 그냥 하고 다니려구요. 5 say785.. 2018/04/24 1,960
803124 이재명이 뭘 그리 잘못했다고 그러세요. 27 ..... 2018/04/24 1,751
803123 스페인 여행 해보신분~~!! 조언좀 해주세용 15 맑음 2018/04/24 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