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 저녁9시에 지낼 때 날짜 한 번 봐주세요.

제사 조회수 : 2,860
작성일 : 2018-03-10 22:12:00

음력으로 26일 돌아가셨다면(올해 양력 3/13)

제사를 지낼 때 밤 12시 지나 지낸다면 3/13 밤 12시 이후에 지내고

저녁 9시에 지낸다면 3/14 저녁9시에 지내는거 맞나요?

IP : 182.221.xxx.3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3.10 10:15 PM (221.157.xxx.127)

    아니요 돌아가신 전날저녁에지내거나 일찍 지낼경우 당일지냅니다 저희는 일찍지내도 전날지내고대신 제삿밥을 11시까지 그대로 놔두는식으로해요 시아버지가 그러면된다고

  • 2. 노...
    '18.3.10 10:17 PM (122.38.xxx.28)

    13일 돌아가셨으면 12일 준비해서 13일이 되는 자정 0시에 지내고...13일 준비해서 밤이 되는 저녁 7시..즉..19시부터 지내는거에요. 엄밀하게 말하면 한밤중이든 초저녁이든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거죠.

  • 3. ...
    '18.3.10 10:20 PM (122.38.xxx.28)

    전날 지낸다는거는 현대식 시간 계산이고 과거에는 자시가 하루가 시작하는 시간이니까..전날 밤 11시에 지내는거는 과거식으로는 그 시간이 돌아가신 날이 시간되는 시간이라 돌아가신 전날 한밤중에 지내는것처럼 보이는거죠.

  • 4. .....
    '18.3.10 10:20 PM (221.164.xxx.72)

    아니요..
    양력 기준으로 3월 13일날 돌아가셨다면
    13일 아무때나 지내면 됩니다.
    13일 저녁 9시에 지내세요.
    밤 12시를 넘긴다는 건 13일 즉, 돌아가신날 첫시간에 제사를 지낸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12일날 밤에 모여 있다가 밤 12시가 넘으면 돌아가신 날 13일 첫시간이잖아요.
    첫시간에 안지내고 밤 9시에 지낼려면 13일 밤 9 시에 지내야죠.
    밤9시도 13일이니깐요.

  • 5. ...
    '18.3.10 10:21 PM (14.32.xxx.70)

    보통 3월 12일 준비해서 3월 13일 밤 12시 넘어 지냈잖아요

    3월 13일 00시 부터 지내고 싶은 시간에 지내시면 ㅇㅇ됩니다.

  • 6. ......
    '18.3.10 10:22 PM (125.62.xxx.146) - 삭제된댓글

    13일이 시작되는 자정에 지내거나 13일 일몰 이후에 지내면 돼요.
    엄밀히 말하면 자시가 시작되는 3월 12일 23시 이후부터 지내시면 됩니다.

  • 7. 바람소리
    '18.3.10 10:30 PM (125.142.xxx.237)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전날 지내요
    12일 저녁에.지내면 됩니다

  • 8. ....
    '18.3.10 10:33 PM (221.164.xxx.72)

    윗님 돌아가신 전날은 살아 계실때 입니다.
    살아 계신 날에 제사를 지낸다고요?

  • 9. 바람소리
    '18.3.10 10:40 PM (125.142.xxx.237) - 삭제된댓글


    전날 지내는 셈이죠
    예전엔 자정에 지냈죠
    12일에서 13일 넘어가는.자정에
    요즘은 그렇게 늦게 지내기 어려우니 12일.저녁에 지냅니다.
    시댁은 그렇구요, 친정은 돌아가신 날이.기일이에요.
    이것만 봐도 제사는.진짜 다.제각각 다 달라요.
    자정에.지내기.어려우니.13일 저녁에.지내도 무방할 거 같아요. 아니.이게 더 맞을 수도 있겠네요

  • 10. .....
    '18.3.10 10:52 PM (221.164.xxx.72)

    윗님 집안에서 그렇게 정했으니 참견할 일은 아니지만,
    제사날은 돌아가신 날이니, 시간으로 봐서는
    12일 저녁이 아니라 13일 저녁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윗님 시댁도 예전에는 12일에서 13일 넘어가는 자정, 즉 13일에 지내신거구요.

  • 11. ..
    '18.3.10 11:14 PM (183.101.xxx.159)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따라서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자시 전까지(해시21:00-23:00) 지내면 맞습니다.

  • 12. ..
    '18.3.10 11:16 PM (183.101.xxx.159)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원글님 말씀처럼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자시 전까지(해시21:00-23:00) 지내면 맞습니다.

  • 13. ..
    '18.3.10 11:22 PM (183.101.xxx.159)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원글님 말씀처럼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해시(21:00-23:00)까지 지내면 맞습니다.

  • 14. ..
    '18.3.10 11:22 PM (211.117.xxx.98) - 삭제된댓글

    저희는 시조부모님은 바닷가가 고향이시라 그 지역 분들은 일찍 제사나 차례 지내시고 새벽 일찍 배 타고 일나갔다고 해요. 그래서 돌아가신 전날 저녁 7시에 지내고, 상 치우고, 늦은 밥 먹고 설거지 하고 잡니다.

  • 15.
    '18.3.11 12:32 AM (175.192.xxx.216) - 삭제된댓글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원글님 말씀처럼 양력 3/13일 자시부터 3/14일 해시(21:00-23:00)까지 지내면 맞습니다. 22222

  • 16. marco
    '18.3.11 12:37 AM (39.120.xxx.232)

    원래 제사는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것입니다.
    그런데 전날 준비를 해야 해서 그런 것이지요.
    그래서 다 준비하고 12시가 넘어가야 제사를 지냅니다.
    돌아가신날 첫새벽에 제물을 바치는 것이지요.
    따라서 시간을 땡겨서 지내려면
    돌아가신날 저녁에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통념상 시간을 앞당겨서
    돌아가신 전날 제사를 지내는 것이 통념처럼 굳어 진 것입니다.
    망자를 기억하고 형제간에 우애를 다지는 시간으로
    여긴다면 날짜가가 뭐 그리 중요하겠습니까?
    원칙을 따진다면 돌아가신날 저녁에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 17.
    '18.3.11 12:41 AM (175.192.xxx.216)

    자시(23:00-24:00)부터 다음 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자시 이후에 제사를 지냈고요.. 22222
    -------------------------------------------------------------
    음력으로 26일 돌아가셨다면 (올해 양력 3/13)
    3/12일 23시이후면 3/13일로 간주하니 예전에는 12일 24시에 지냈던것이고
    요즘은 13일 20시, 21시에 지내는거죠. 23:00시전까지 지내면 되는겁니다

  • 18. 종가
    '18.3.11 11:17 AM (59.22.xxx.6) - 삭제된댓글

    위에 흐님 말씀이 정답입니다.

  • 19. ...
    '18.3.11 1:11 PM (218.155.xxx.169)

    흐님 말씀이 맞아요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6163 영어로 된 지하철등 교통앱 추천해주세요. 2 외국인 2018/05/02 694
806162 어제 미세먼지 심했었나요? 네이버 뭐죠??? 16 .... 2018/05/02 2,346
806161 집에 공기청정기 없으신분 별로 없죠? 25 ㅡㅡ 2018/05/02 4,993
806160 통일비용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그거 자유일본당의 프레임일 .. 7 소유10 2018/05/02 1,581
806159 대북단체 ˝전단 살포 계속˝...정부, 대책 고심 外 6 세우실 2018/05/02 1,246
806158 칠년전 축의금을 돌려받고 싶어요 17 op 2018/05/02 6,507
806157 편두통 이틀째 방법없나요 49 힘드러 2018/05/02 2,072
806156 靑 '평화협정 체결 이후에도 주한미군 주둔 필요' 15 2018/05/02 1,867
806155 내가 하고싶은일, 내가 잘할수있는일을찾는것.. 징징 2018/05/02 1,315
806154 청멜빵 치마 이거 샀어요.(촌스러움 주의) 22 2018/05/02 4,267
806153 내일 시간되면 같이 점심하자는 말이 실례인가요? 44 인드라망 2018/05/02 7,959
806152 페루산 애플망고 맛이 어떤가요? 7 호롤롤로 2018/05/02 1,922
806151 문재인 대통령 정말 능력남이죠 23 허허 2018/05/02 3,093
806150 아이 기침 감기에 양파 추천해주신분 23 감사 2018/05/02 6,476
806149 노트북에 카톡 까는법 아시는분 4 ㅇㅇ 2018/05/02 8,645
806148 [ 혜경궁 집회 매주 토요일 6시 광화문 ] 3 오렌지민주당.. 2018/05/02 1,089
806147 [단독] 안철수 부인 김미경, 공천논란 김근식 예비후보 '물밑 .. 9 세우실 2018/05/02 2,883
806146 부추김치 마늘 풀 넣으시나요? 5 맛나게먹자 2018/05/02 1,940
806145 사퇴가 아니라 사과라니 3 황전원 2018/05/02 1,807
806144 이지연 CNN에서 평양냉면 소개 3 예쁘네 2018/05/02 1,671
806143 TV조선, '드루킹 사건' 열흘간 97건 '융단폭격' 4 ㅇㅇ 2018/05/02 1,271
806142 부엌에 창이 없는 아파트, 많이 불편할까요? 28 고민중 2018/05/02 9,348
806141 인천초등생 주범이 13년형에 불복해 상고장 제출했대요 8 ㅡㅡ 2018/05/02 2,160
806140 가장빠른 우편 (당일특급 안되는지역) 뭘까요? - 4 ........ 2018/05/02 988
806139 카톡 채팅방 알림끄기를 해도 왜 알림이 올까요?ㅠㅠ 5 흠흠 2018/05/02 3,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