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수요/공급 중심 공부 동영상 (부동산 공부 15편)

쩜두개 조회수 : 1,500
작성일 : 2018-03-05 21:13:08
작년 10월말 첫 글을 쓰면서
내집마련을 하시려는 실수요자시면 서울에 역세권으로 3월 이전에 사시는게 좋을것 같다고 글을 적었었습니다.

사실 인터넷에서 제 글하나 읽고 부동산 관심없던 분이 공부를 할 확률도 별로 없고
아귀가 잘 맞아서 각성하시고 공부했어도, 얼마나 절박하게 했겠습니까.

작년, 올해초 겪으시면서 아이고 집값 올라가는게 장난아니구나, 이러다 내가 모으는돈보다 오르는게 더 빨라서
내집마련 못하는게 아닌가 걱정되시면서 부동산에 좀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시작한분이 훨씬 많을것 입니다.

원래 그렇습니다.
집 사면 돈버는 시기엔 집값이 떨어지니까 더 떨어질까봐 못사고
집값이 오를때는 지금 아니면 더 비싸질까봐 삽니다.
그래서 대중(개돼지)인겁니다.
주식에서는 개미라고 부르는것과 동의어구요.

---------------------------------------------------------------

각설하고
제글을 보고 공부를 시작하셨던 원래 공부를 하셨던

부동산 전문가들의 관점을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자칭, 타칭 부동산 전문가 리스크를 적절히 감수하면서 투자를 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은
(선대x같은 폭락론자들은 전문가로 전 치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다루지 않습니다.)


1. 세계/국내 경제, 유동성, 금리 등 금융 중시파
이분들에게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건

주: 세계/국내에 풀리는 돈의 양
부: 주택 공급/수요, 정부 정책, 심리 등

입니다.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건 집값은 큰손이 움직인다 입니다.
국제 투자자본, 국내 큰손들, 국내 기업이 수출로 벌어들이며 풀리는 돈, 정부에서 적자재정으로 푸는 돈 등등
제일 중요한건 돈입니다.

돈이 몰리면 오르고, 돈이 빠져나가면 내린다.

하지만 주택 공급/수요, 정부정책, 심리도 부수적으로 영향을 준다라고 보는 분들입니다.

시중의 돈이 중요하기에 국내보다는 세계 경제 사이클 관점으로 보는 경향이 강합니다

2. 주택 공급/수요, 정부정책 등 국내 수급과 정책 중시파
이분들에게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건

주: 주택 공급/수요, 정부 정책
부: 금리나, 유동성(풀리는돈) 등
입니다.

이분들에게 제일 중요한건 경제학의 가장 기본원리
수요/ 공급입니다.

많이 지으면 떨어지고, 적게 지으면 오른다.
정부 정책도 중요하다.

금융관련해서는 부수적이다 라고 보는겁니다.

이분들은 세계 경제 사이클이나, 세계 경기 호황보다는 국내 수요공급/정책을 더 크게 봅니다.

3. 복합형
1 2 를 적절히 섞어서 보는경우도 있겠죠.

---------------------------------------------------------------------------
여러분도 공부하시면서 본인만의 관점을 가지실텐데

오늘은 2번 관점에서 공부하기 상당히 좋은 동영상을 링크 드리려고 합니다.
꾸준히 공부하시면서 1번, 2번 관점에서 쓴 책들, 각기 다른 관점의 부동산, 경제 서적들을 읽으시며
지식을 쌓으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총 2시간 정도 걸릴건데
한번에 끝까지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2번 관점의 전문가 이시기 때문에,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이 1번 관점 전문가 보다 당연히 많습니다.

1번 관점은 정부 정책은 대세에 큰 영향을 못준다인반면에
2번 관점은 정부 정책이 직접적 영향을 준다이기 때문입니다.

책으로만 공부하시면 지겨우니까 이런 동영상도 함께 활용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1. 금리,정책,물량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1
https://youtu.be/8_3H2WpmxVE

2. 금리, 정책, 물량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2)
https://youtu.be/t9SFvsfQEuo

3. 금리, 정책, 물량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3
https://youtu.be/mBac9KOEnV8

4. 문재인정부 부동산정책 약발이 끝날 시점은?
https://youtu.be/wxe6pYZhYhc

5. 2020년까지 서울 및 경기 아파트 입주물량 & 대응전략 (금리, 정책, 물량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5)
https://youtu.be/Fj4ME90FYlo

---------------------------------------------------------------------------------

P.S: 내집마련 하시려는분들은 열심히 공부하시면 아직도 좋은 기회가 또 있을겁니다.
집값 너무 올랐다고 허탈해있지만 마시고, 부지런히 공부해서 위기를 기회로 잘 바꿔보시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P.S2: 뉴스보는데 유력 대선주자분까지 성폭행 혐의 뉴스가 뜨네요.
       뿐만아니라 연예인, 문학계, 예술계, 학계 각계의 이시대의 멘토를 자처하며, 청년들에게
       각종 도덕과 훈계질하던 위선자들이 미투운동으로 작살나고 있는데

       모든글에서 항상 말해왔듯이, 위선자 정치인들이 여러분 삶을 바꿔줄거라 기대하지 마시고, 스스로 공부해서
       스스로 일어나시길 바랍니다. 누구도 여러분의 삶을 바꿔주지 않습니다. 내가 움직여야 합니다.

IP : 175.198.xxx.2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쩜두개
    '18.3.5 9:14 PM (175.198.xxx.25)

    1. 금리,정책,물량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1
    https://youtu.be/8_3H2WpmxVE

    2. 금리, 정책, 물량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2)
    https://youtu.be/t9SFvsfQEuo

    3. 금리, 정책, 물량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3
    https://youtu.be/mBac9KOEnV8

    4. 문재인정부 부동산정책 약발이 끝날 시점은?
    https://youtu.be/wxe6pYZhYhc

    5. 2020년까지 서울 및 경기 아파트 입주물량 & 대응전략 (금리, 정책, 물량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5)
    https://youtu.be/Fj4ME90FYlo

    -----------------------------------------------------------------

    내용참 좋으니까요, 전문가분 말투가 좀 심심하고 재미없을지 몰라도, 끝까지 다 들어보세요.
    한번 들어두시고, 나중에 부동산 경제 더 공부한다음에 또 들으면 더 많은게 보이실겁니다.

    내집마련
    화이팅입니다.

  • 2. 고견
    '18.3.5 10:17 PM (182.221.xxx.216)

    마포 재건축에 살고 있음
    안전진단강화로...
    목동 등 재건축이 어려움이 있는데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문의합니다.어찌 생각하시나요?

  • 3.
    '18.3.5 11:06 PM (116.41.xxx.162)

    덕분에 올려주신. 정보들 잘 보고 있습니다.

    이런 질문 드려도 되는지 모르겠어요.

    광역시에 살고 있는데 지금 이라도. 사야할까요.^^;;;;

  • 4. 쩜두개
    '18.3.5 11:19 PM (223.33.xxx.1)

    고견/ 죄송하지만 제 지식이 그리많지 않아 잘모르겠습니다.

    다만 투자가 아닌 실거주자이시라면 저라면 단기적 정책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장기보유하며 살것입니다. 언젠가 재건축될것이며 의외로 2~3년내로 정부가 집값상승에따른 레임덕으로 굴복할가능성도 적지않다고 봅니다. 제지식은 많지않으니 참고만하세요

  • 5. 쩜두개
    '18.3.5 11:22 PM (223.33.xxx.1)

    ㅇ/ 실거주라면 여전히 지금이라도 내집마련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시는 광역시를 철저하게 분석하셔서 우리가족이 살기좋은곳을 사세요. 좀 덜오른 투자가치 높다는곳말고, 이미 많이 올랐어도. 교통, 학군, 환경, 세대수 따져서 여유자금가능한 범위에서 좋은곳으로 사세요, 투자라면 여유자금 충분히 확보하시고 보수적으로 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 6. 훈이엄마
    '18.3.6 7:47 AM (125.143.xxx.206)

    올려 주신 글과 동영상들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 점점
    '18.3.6 6:16 PM (1.224.xxx.86)

    올려 주신 글 모두 읽어 보았어요
    무주택자라 참고하여 공부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알람기능이 없어 아쉽네요 ㅎ

  • 8. 쩜두개
    '18.3.7 10:16 AM (124.49.xxx.157)

    점점 / 모든글을 읽어보셨다니 열심히 공부하시네요 ^^
    지금은 무주택이시겠지만, 제가 장담하건데 지금처럼 계속 공부하시고, 스스로 예측도 해보시고
    종자돈 모아서 작지만 내집 마련하시면서 움직이시면

    10년뒤, 15년 뒤에는 지금 주변에 같은 선상에 있던 친구들, 주변분들과는 비교도 되지않는
    여유로운 미래를 얻게 되실겁니다.

    일안하고 놀고먹겠어 이런 경제적 자유 같은 욕심만 버리시면
    서울이나, 사는 지역에 우리 가족 넉넉히 살 내집하나 있고, 돈때문에 비굴하게 일하는게 아니라
    맘에 안들면 그만둘수도 있고, 이직할수도 있고, 불합리한 요구 거절하면서 직장생활하면서

    남는 돈으로 이런저런 투자도 좀 해볼만한 그런 상황말입니다.

    초심을 잃지마시고, 욕심을 너무 내지도 마시고 꾸준히 지금처럼 공부하시고, 실행해보세요.
    분명 댓글님 가족의 삶이 달라질겁니다.

  • 9. 은호맘
    '18.5.17 7:38 PM (180.66.xxx.2)

    부동산공부15

  • 10. ..........
    '21.9.7 5:56 PM (112.221.xxx.67)

    감사합니다. 동영상 다 하나하나봐볼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7486 초등. 공식적인 반모임 행사가 따로 있나요? 5 ㅡㅡ 2018/03/08 1,627
787485 세상에 정말 믿을만한 남자 없나요? 32 .. 2018/03/08 7,242
787484 북한을 대일 외교부 대변인으로 11 북한을 2018/03/08 1,559
787483 신문 어떤걸 구독하는게 좋을까요? 2 신문 2018/03/08 756
787482 ytn파업이 이렇게 길어지는 이유는 뭘까요 4 ㅇㅇㅇ 2018/03/08 710
787481 급성심근경색, 허혈성심장병 다른가요? 1 어렵다 2018/03/08 1,256
787480 PD수첩 다시보기했는데 정말 너무하네요 6 .. 2018/03/08 2,336
787479 고3 국어 미치게 어렵네요 27 심각 2018/03/08 5,965
787478 저는 뇌병변 장애가 있는 두아이의 엄마입니다. 78 ... 2018/03/08 21,611
787477 매운 떡볶이의 매운맛은 뭘로 내나요? 6 ... 2018/03/08 2,391
787476 패럴 올림픽 남북 공동 입장 무산 이유................ 27 ㄷㄷㄷ 2018/03/08 3,441
787475 전수조사해서 성문란한 놈들 출당시켜야합니다 3 민주당은 2018/03/08 504
787474 부르콜리로 하는 반찬좀 알려주세요 18 ㅇㅇ 2018/03/08 3,553
787473 한채아 결혼에 왜 난리? 4 oo 2018/03/08 4,392
787472 미니멀리즘 하려는데 1 어려운 2018/03/08 1,200
787471 군투입문제 엄청 짤막하게 뉴스 ㅠㅠ 5 흠흠 2018/03/08 1,094
787470 오른편 어깨가 뭉쳐서 혹같이 튀어나왔어요 8 클릭질이 심.. 2018/03/08 6,335
787469 오전 시간 잘 활용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11 강사 2018/03/08 3,186
787468 '적폐의 아이콘, 적폐의 본진으로' 정의당 논평 4 ㅇㅇ 2018/03/08 739
787467 돼지발정제 홍뭐시기한테는 입도 벙긋 못하면서 탁현민이 쓴 소설갖.. 12 ... 2018/03/08 1,672
787466 배우자가 BMW운전 하시는 분들 ? 19 차 선택 2018/03/08 4,932
787465 박수현..아내와 11년 전 별거 후 이혼…김영미와 곧 재혼 20 ........ 2018/03/08 9,861
787464 고1 모의고사 경기도는 안봤나요? 9 .. 2018/03/08 1,581
787463 40대 건물주 보기드문가요? 12 ㅇㅇ 2018/03/08 4,765
787462 지금 82에 득시글 대는 알바들은 돈줄이 어디일까요? 13 대체 2018/03/08 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