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법정스님이 장준하 선생 1주기에 띄운 편지

작성일 : 2018-03-04 11:53:34
‘장준하 선생께 띄우는 편지’

법정

<씨알의 소리> 1976년 8월호

장준하 선생님!

선생님이 어처구니없이, 정말 어처구니없이 우리 곁을 떠난 지 한 돌이 가까워 오고 있습니다. 살고 죽는 것이 다 그런 것이긴 하지만, 장 선생님의 죽음처럼 그렇게 허망(虛妄)한 경우는 또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그 무렵 산거(山居)를 마련하느라고 산에 들어와 있었습니다. 볼 일이 있어 광주에 나갔다가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우연히 안병무 박사를 만났었지요. 안 박사는 대뜸, 장 선생님 소식을 들었느냐고 저에게 물었습니다. 왜요? 무슨 일이? 놀라는 내 표정에 신문을 건네주었습니다. 일면 머리기사! 그 비보(悲報)를 보는 순간 저는 가물가물 현기증을 느꼈습니다. 이럴 수가, 이럴 수가 있느냐고. 정말 꿈만 같았습니다.

그 길로 서울을 향했습니다. 면목동 집에 들러보고야 꿈이 아닌 현실임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장 선생님의 육신은 우리들 곁에서 사라진 것입니다. 누구나 한번은 가야 할 그 길을 먼저 떠나신 것입니다.

그토록 파란 많고 수난(受難)으로 점철된 일생. 50평생을 오로지 조국의 독립과 겨레의 자유를 위해 험난한 가시밭길을 헤쳐 가신 분. 서울 장안에 크고 작은 집들이 무수히 깔려 있는데도, 방 한 칸 없이 남의 셋집으로만 전전하다 가신 가난한 분. 커가는 자식들 교육을 남들처럼 제대로 시키지 못한 것을 가슴 아파하시던 아버지. 그러면서도 집안 사정은 전혀 입 밖에 내지 않았지요. 호권(장남)이 결혼한 사실도 저희는 모르고 있었으니까요. 뒤에 안 사실이지만 친지들에게 폐를 끼칠까봐 전혀 알리지 않으셨다더군요.

장 선생님을 처음 뵙기는 <사상계(思想界)> 시절입니다. 제가 해인사에 머물고 있을 때지요. 서울 올라간 김에 思想界社로 찾아갔더니 아주 반겨주셨습니다. 그 자리에는 마침 함석헌 선생님도 계셨지요. 함 선생님이 저를 소개해 주시더군요. 그 후 시절이 잘못되어 가면서 우리들은 만날 기회가 잦았습니다. 그때까지 산에만 묻혀 살던 저에게 종교의 사회적 책임을 눈뜨게 해 주셨습니다.

『씨알의 소리』 편집회의를 몇 차례 우리 다래헌(茶來軒)에서 열 때, 다른 분은 더러 빠지는 일이 있어도 함 선생님과 장 선생님만은 거르는 일이 한 번도 없었습니다. 외형적인 종파는 달라도 절간의 분위기를 선생님은 좋아하셨습니다. 그래서 오실 때마다 작설차(雀舌茶)를 끓여드리고 향을 살라드렸지요. 때로는 좋아하시는 향을 나누어 드리기도 했고요. 선생님 댁에서 모임이 있을 때면 저의 채식을 위해 자상하게 마음을 써주셨습니다.

선생님이 내게 준 인상은 결코 시정(市井)의 정치인이 아니었습니다. 누구보다도 이 나라를 아끼고 사랑하는 지성(知性)이었고 불의 앞에 용감히 도전하는 행동인(行動人)이었습니다. 이런 선생님을 가리켜 한 동료는 “그는 금지된 동작을 맨 먼저 시작한 혁명가” 라고 말합니다. 이 말은 바로 보고 한 말입니다.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신촌의 김 박사 댁에서 『씨알의 소리』 편집회의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 항상 그러했듯이 선생님의 차로 저를 바래다 주셨습니다. 원효로 함 선생님 집과 제가 거처하는 다래헌(茶來軒), 그리고 면목동 쪽은 도심을 벗어난 변두리로 거리가 먼 삼각 지점이었습니다. 그날 밤 선생님은 전에 없이 저의 방에 까지 들어오셔서 새로운 운동을 전개할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선뜻 발기인 명단에 서명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제가 세 번째였습니다.

물론 그 성격은 다르지만, 편집회의 석상에서는 전혀 내비치지 않던 일을 은밀히 따로 말씀하신 것을 보고, 일을 위해서는 이렇게 신중해야 하는구나 하고 저는 그때 배웠습니다. 그날 밤 선생님께 죄송한 일을 저는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주문(一柱門)에서 우리 방까지는 밋밋하게 오르는 길인데 걸음이 빠른 저를 따라오시느라고 숨차게 해드린 일입니다. 선생님이 떠나신 후 그 길을 걸을 때마다 문득문득 그 날 밤일이 생각나곤 했습니다.

그 무렵 건강도 안 좋았는데 ‘큰 일’을 시작했던 것입니다. 일을 위해 몸을 돌보지 않는 것은 그 후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긴급조치 제1호에 걸려 15년 형(刑)을 받고 복역 중 고질인 심장병의 악화로 형 집행이 정지되어 병원으로 옮겨오신 후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달려갔었습니다. 우리가 보기에도 건강이 몹시 안 좋더군요. 그런데도 선생님은 베개 밑에서 서류를 한 뭉치 꺼내시면서 초지(初志)를 관철해야 할 길을 모색하였습니다.

선생님을 생각할 때 우리는 또 대성빌딩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우리들의 모임이 거기서 있을 때마다 청중들의 불타는 그 눈들을, 그 중에서도 선생님이 주관하시던 민족학교 주최로 열린 ‘항일문학의 밤’을! 젊음의 그 열기, 그것은 곧 어떠한 불의 앞에서도 꺾이지 않을 이 겨레의 강인한 생명력입니다. 흩어져 있던 그 열기를 선생님이 하나로 뭉치게 해 주었던 것입니다.

선생님이 가신 후로도 세월은 그대로입니다. 지난 가을 산으로 들어온 이래 누구를 해치기 위해서가 아니라,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저 반야검(般若劍)을 갈고 있는 것입니다. 다른 표현을 빌린다면 소모되어버린 ‘밧데리’를 충전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러느라 글도 쓰지 않고 말도 하지 않은 채 산의 나무들처럼 덤덤히 지내고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들의 『씨알의 소리』에도 전혀 글을 쓰지 않았습니다. 장 선생님 1주기를 추모하는 특집이라고 해서 이렇게 사연을 띄우고 있습니다.

지난 봄 서울에 올라가 면목동 집에 들렀더니 감회가 무량했습니다. 선생님이 계시지 않은 그 집은 텅 비어 있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예나 이제나 사모님은 꿋꿋하셨습니다. 호권 군이 얼마 전에 딸을 보았다는 소식과 취직이 됐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선생님이 계시지 않은 집에는 찾아오는 친지들의 발길도 드문 것 같았습니다. 입이 무거우신 사모님은 별 말씀이 없었지만 집안 살림이 더욱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희들의 무성의와 무력을 부끄러워 할 뿐입니다.

1주기에 참례 못하여 대단히 죄송합니다. 안거중(安居中)이라 불전에 향다(香茶)의 공양이나 올리겠습니다. 안거 후에 찾아볼까 합니다. 옛날 그 집에 사시는지 또 다른 전셋집으로 옮기셨는지 산에서는 소식을 모르고 있습니다.


장 선생님!

8月의 태양 아래 선생님의 육신이 대지에 묻히던 날, 저는 관 위에 흙을 끼얹으면서 속으로 빌었습니다. 건강한 몸 받아 어서 오시라고요. 고이 잠드시라고 명복을 빌지는 않았습니다. 금생(今生)에 못 다한 한 많은 일들을 두고 어찌 고이 잠들 수 있겠습니까. 가신 선생님이나 남은 우리들이 고이 잠들기에는, 우리 곁에 잠 못 이루는 이웃이 너무도 많기 때문입니다. 이웃이 고이 잠들 수 있을 때 비로소 우리도 잠들 수 있을 것입니다.

“…… 50대 초반을 보내며 잠자리가 편치 않음을 괴로워한다.” 고 『돌베개』에 붙이는 글을 선생님은 쓰셨습니다. 그렇습니다. 오늘도 우리는 잠자리가 편치 않음을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이 괴로움이 덜릴 때까지 우리는 잠들 수도 쉴 수도 없습니다. 지하에서나 지상에서나 우리들의 염원(念願)은 결코 다를 수 없습니다.

할 말을 줄입니다. 우리들의 시대가 보다 밝고 건강해질 때까지 우리들의 걸음은 멈출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늘 함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밤이 지나면 새벽이 올 것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더위에 안녕히 계십시오.

분향(焚香) 합장(合掌)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7650.html#csidx13319ec2e... ..
IP : 72.80.xxx.15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3.4 11:55 AM (72.80.xxx.152)

    우리 다 누가 죽였는지 알고 있지만 국정원이 자료 제출을 거부해서 아직도 방점을 찍을 수 없는, 광복군 출신 지식인이며 민주화 운동가인 75년 장준하 선생의 죽음이 있습니다. 국회에서 발의된 것이 2013년 입니다만 아직도 잠자고 있습니다. 장준하특별법제정 백만인서명운동에 동참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who-how.or.kr/page_exam.php

  • 2. 진실규명
    '18.3.4 12:54 PM (222.119.xxx.145)

    서명했습니다. 김준엽총장과 함께 광복군1.2 호였나요??
    꼭 밝혀야 할 억울하고 억울한 죽음입니다.
    많이들 동참하셔서 박정희정권이 무슨 짓을 했는지
    또 밝혀내야하지않겠습니까 ㅠㅠ

  • 3. ...
    '18.3.4 12:55 PM (221.144.xxx.25)

    서명에 동참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법정스님도 그립습니다.

  • 4. ..
    '18.3.4 1:46 PM (121.128.xxx.117)

    서명했습니다.
    많이 동참해주세요.

  • 5. 감사
    '18.3.4 4:14 PM (221.149.xxx.252)

    서명했습니다.

  • 6. ...
    '18.3.4 4:18 PM (124.254.xxx.100)

    서명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6066 남편 너무 하는거 맞죠? 49 진짜 2018/05/02 13,286
806065 사각턱보톡스 맞는분들은 늙어서도 계속 맞을 생각이신가요? 6 오케이강 2018/05/02 3,269
806064 출산보다 더 고통스러웠던 건 뭐였나요? 31 ㄴㄴ 2018/05/02 7,269
806063 장담그기 하시는분들 장독이나 된장통 어디에 두셨어요? 2 독특 2018/05/02 1,548
806062 아이 씩씩하게 키우고 싶은데요. 3 ㅇㅇ 2018/05/02 1,426
806061 포츠담이랑 드레스덴, 어디를 더 추천하세요? 5 ... 2018/05/02 1,152
806060 댓글 자동 줄맞춤인가요? ㅇㅇ 2018/05/02 501
806059 복숭아가 먹고 싶어서 캔을 샀는데 2 ... 2018/05/02 2,118
806058 소녀시대 수영이 해외에서 인기가 많나요? 2 .... 2018/05/01 2,354
806057 공부안하면 어떻게 되냐고 묻는데.. 11 초등딸 2018/05/01 4,173
806056 피부과에서 추천하는 기초 화장품 써보신 분 계신가요? 기초 2018/05/01 1,233
806055 삼성동 센트럴 아이파크 전세 12억에서 9억으로 내렸네요 놀랍.. 2018/05/01 3,037
806054 남비꼬고 깎아내리는 3 사람 2018/05/01 1,605
806053 거액 투자해놓고 불안장애가 생긴듯 하네요. 26 적폐청산 2018/05/01 6,929
806052 남편이 딱지끊고 저기압이네요 ㅠ 12 참.... 2018/05/01 4,083
806051 (펌) 지금이 통일에 적기인 이유 13 말랑 2018/05/01 3,742
806050 공주처럼 사는 분 8 ... 2018/05/01 4,889
806049 설정스님의 3대 의혹 13 pd수첩 2018/05/01 4,466
806048 길고양이가 아픈 거 같아요 11 winter.. 2018/05/01 1,712
806047 마음 가는 대로 선곡 20 4 snowme.. 2018/05/01 1,172
806046 세면대가 자꾸 막혀요 8 꿈겨링 2018/05/01 3,028
806045 먼저 답답해서요.. 입금이 안될수도 있나요??? 8 입금 출금 2018/05/01 2,802
806044 자녀 명의로 자동차 구입해도 증여세 내는건가요? 3 자녀 차 2018/05/01 4,789
806043 남산제이그랜하우스 어떤가요? 2 마잉 2018/05/01 2,069
806042 전해철 의원님의 심복 김태희 상록갑 나선거구 예비후보 좀.. 3 ........ 2018/05/01 1,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