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버지가 부산모 대학병원에서 한달동안 네차례 개복수술을 하였습니다..

... 조회수 : 2,805
작성일 : 2018-02-26 09:03:34
꼭 이 글을 읽어보시고 저희 가족이 힘을 내어 싸울 수 있게 여러 곳에 공유 부탁드립니다.

고혈압 말고는 특별한 지병이 없던 아버지가,
아침에 일어나 평소처럼 등산하고 본인이 직접 운전해서 병원에 입원했던 아버지가,
약 한달 동안 같은 부위를 4차례나 수술을 하고 췌장뿐만 아니라 건강하던 십이지장, 비장까지 다 들어내고 중증환자가 되었습니다.

소화기내과에서 위를 검사하는 도중 췌장 머리 부분에 혹이 하나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조직검사 결과 신경세포종 이었습니다.
의사는 췌장관 하고만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매일 아침에 하는 약 3시간만 하면 되는 수술이라고 하면서 수술하자고 했습니다.

2016년 12월 29일 수술을 했습니다. 당초 3시간 걸린다던 수술이 6시간이나 결렸고, 보호자 호출이 있어 수술실에 들어갔더니 하얀 덩어리 하나를 보여주면서 생각보다 혹 크기도 작고 다른 장기들이 다 양호하다고 했습니다. 이후에 시간이 왜 그렇게 길어졌냐고 물어보니 자세히 본다고 길어졌다고 했습니다.

열흘이면 스스로 걸어서 퇴원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첫수술 이틀 뒤부터 배액관 하나가 새기 시작했습니다. 새는 배액관은 빼버리더군요. 구토와 설사, 고열, 심한 배액악취, 탁한 배액 등의 현상이 이어졌습니다. 증상이 심상치 않게 느껴져 호소를 했지만 사진 상으로 이상이 없고, 더러 그런 경우도 있다며 계속 관찰만 했습니다.

일주일 뒤인 2017년 1월 5일, 하나 남은 배액관에서 갑자기 선홍색 피가 터져 나오고 호흡이 급해졌습니다. 혈압도 잡히지 않아 결국 중환자실로 들어갔습니다.

의사는 필요한 조치들을 하고 나면 괜찮을 거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다음날 새벽 심폐소생술까지 하며 다시 수술에 들어갔습니다.
전화 녹취로 동의를 해야 할 만큼 상황이 급박 했습니다.

그 뒤로 2차례 더 같은 부위를 수술했습니다.
몸은 회복능력을 잃었고 아버지는 사경을 헤매게 되었습니다. 온갖 합병증을 다 겪고 1년이 다 된 얼마 전까지 수술부위 배 상처로 장액이 새어나왔습니다.

의사는 집에 가면 다 낫는답니다.
환자는 중심정맥관을 꽂았던 오른팔이 엄청나게 부어있습니다. 혈전이 생기고 혈관이 좁아졌답니다. 혼자서는 일어나지도 못합니다. 오랫동안 먹지 못해 심각한 영양실조에 우울증까지 앓고 있습니다. 밥 한 숟가락 겨우 드시는데 그마져도 자주 토해버리십니다. 현재 몸무게는 38kg입니다. 췌장이 없어 당뇨환자가 되었습니다. 절실하게 재활도 필요합니다.

멀쩡하던 사람이 한달만에 같은 부위를 4차례나 수술하고, 건강하던 여러 장기들을 떼어내고, 수술부위 배 상처로 장액이 멈추지 않고 새어나와 거의 1년을 먹지도 못하고 주사약에 의존해 겨우 살아있는데 아직도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데 집에만 가면 정말 다 낫습니까?

옆에서 갖은 고통을 참아가며 노숙도 불사 않고 자리 한번 뜨지 못하고 간병한 어머니는 아버지는 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니라고 힘없이 넋두리 하십니다.

퇴원을 하면요? 그럼 거기서 끝입니까? 아니지요. 또 다른 시작입니다.
살아있는 환자의 후유증을 관리하고 어떻게든 재활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들을 해야 할지...
막막함이 앞을 가리지만 그래도 해야지요.

일을 겪고 보니 우리사회는 아직도 가진 자의 편이더군요.
의료사고가 발생 했을 때 절대적으로 의료지식이 전무한 피해자가 어떻게 인과관계 등을 소명합니까?
온갖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대형병원을 상대로 한 개인이 어떻게 동등한 입장에서 싸울 수 있습니까?

사고를 당한 것만으로도 피눈물이 나는 고통을 겪고 있는데,
이제는 힘없는 피해자로 대형병원과 싸워야 하는 또 다른 고통을 겪게 되었습니다.
그에 따른 만만치 않은 비용은 또 어떻게 감당해내야 할까요?

청와대에 국민청원이라도 내어 볼까요?
둘러보니 의료사고로 고통 받는 분들이 적지 않은 것 같은데, 극심한 고통 속에 있어 힘이 빠져버린 걸까요? 너무 아픈 상처로 가슴속 깊이 못이 박혀 힘을 내지 못하는 걸까요?

고혈압 외에 별다른 지병이 없던 아버지가 갑자기 췌장, 십이지장, 비장까지 다 들어내고 중증환자가 되어버린 이 상황에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것 같아 절망스럽습니다.
IP : 223.39.xxx.198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버지가
    '18.2.26 9:06 AM (114.203.xxx.105) - 삭제된댓글

    몇세이신대요.

  • 2. ...
    '18.2.26 9:12 AM (223.39.xxx.198)

    69세에 수술받으셨습니다.

  • 3. 병원
    '18.2.26 9:14 AM (114.203.xxx.105) - 삭제된댓글

    상대로 데모 좀 하셔야겠는데요.
    현행법상 판결로 받아 내긴 힘들겠고
    합의금을 최대치로 받아 내는 방법으로요.

  • 4. 부산
    '18.2.26 9:17 AM (1.237.xxx.175) - 삭제된댓글

    어느 병원인가요. 경험상 백병원 외에는 그닥이던데

  • 5. ...
    '18.2.26 9:29 AM (223.62.xxx.46)

    잘 해결되시길 기도드립니다.

  • 6. ...
    '18.2.26 9:31 AM (223.39.xxx.198)

    저는 가까운 지인이고 82쿡을 안하셔서 작성하신 글을
    제가 올려드렸습니다.
    가족모두가 병간호로 일년넘게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하세요. 병원비는 현재까지 6천만원이 넘었다고 들었는데 앞으로도 치료비가 만만치 않게 들것 같더라구요.

    병원에서 자기들 잘못은 없다고 하는 상황인데 합의가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 7. ...
    '18.2.26 9:33 AM (223.39.xxx.198)

    감사합니다. 병원명은 법적인 문제때문에 인터넷에 공개 못한다고 하네요.

  • 8. 백병원도 그닥...
    '18.2.26 10:17 AM (61.105.xxx.62)

    제아이 수술땜에 있어봤는데 병고치러 갔다가 병얻어오는 느낌...
    9년지났지만 아직도 그때 생각하면 ㅜㅡ...

  • 9. ㅇㅇ
    '18.2.26 10:41 AM (175.115.xxx.92)

    같은 부위를 4번이나 개복수술 했다는거부터 이상한 일이네요.
    깔끔하게 끝났다면 한번이면 그만인 수술인데요.
    멀쩡하던 배액관이 샜다는게 이상하네요.
    수술과정의 잘못인지 알아봐야 되는거 아닌지요(절대 인정 안할거같음)
    췌장액이 새면 다른장기가 위험하다 들었는데..

  • 10. 너무 걱정됩니다.
    '18.2.26 10:53 AM (121.175.xxx.200) - 삭제된댓글

    지금이라도 서울 병원 알아보셔서(큰 대학병원) 가보세요.

    간단한 내시경도 부산 모 병원에서 다시는 안해야 되겠다고 생각한 계기가 있어서 서울에서 했어요.
    내시경도 수면이 들어가니까 가끔 사고가 많잖아요. 복용하는 약도, 의사가 직접 해주는것도, 간호사들도
    다 달라요. 병원에서 영 미심쩍다 싶으면 증거 최대한 모으시고 우선 환자의 상태가 급하니 병원을 옮기는게 낫지않나 싶습니다.

  • 11. ///
    '18.2.26 4:00 PM (223.62.xxx.237) - 삭제된댓글

    분명 수술시 문제가 발생한 것 같네요.
    이 글만으로 무엇을 특별하게 해드릴 건 없고,
    언제던 하나의 힘이라도 필요하면 모으도록 기억하고 있을께요.
    힘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3926 건성두피용 샴푸? 2 냥냥 2018/02/26 1,200
783925 자한당이 김영철 반대하는 결정적 이유 4 Wanndw.. 2018/02/26 1,339
783924 연방제 개헌? 문서 형태 '가짜뉴스' 확산 포착..작성자는 3 샬랄라 2018/02/26 777
783923 WP, 대북공격 어리석어..미국은 한국의 외교적 노력 따라야 1 기레기아웃 2018/02/26 753
783922 [단독] KT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 의원, 여·야 55명.. 2 두 둥! 2018/02/26 1,184
783921 공기관 직원이면 일단 무조건 연봉 높고 복지 좋고...그런거 아.. 7 소개 2018/02/26 2,144
783920 오달수측이 사실무근이라고 입장정리 했는데.. 21 ㅇㅇ 2018/02/26 4,908
783919 오뚜기라면 봉지에'평창올림픽 공식 라면 서포터'라고... 2 라면. 2018/02/26 2,251
783918 계약 끝난 전세 보증금과 관리비문제 ㅠ 1 미소 2018/02/26 1,238
783917 혹시 사회복지사 월급이 얼마정도 인가요? 24 ㅁㅁㅁ 2018/02/26 8,203
783916 "펑리수"라는거 첨먹어 봤는데... 14 대만도못가본.. 2018/02/26 7,251
783915 김어준.. 특히 지난주 블랙하우스 파장이.. 24 한여름밤의꿈.. 2018/02/26 3,996
783914 시사 만화가 박재동, 예비신부 성추행 논란 24 ,,,,,,.. 2018/02/26 8,013
783913 저 나쁜 사람인거죠.. 2 ... 2018/02/26 1,236
783912 뉴스룸 임인자 감독 무슨 소리 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5 푸른하늘 2018/02/26 1,661
783911 효리 민박 시즌2 보고 있는데.. 14 항상봄 2018/02/26 7,322
783910 지멘스 식기세척기 사고싶은데 질문 있어요 8 식기세척기 2018/02/26 2,101
783909 대단 하네요 이 분.. 노력하면 불가능은 없다를 3 대단 2018/02/26 2,849
783908 친구로서 좋은 남자,,, 남자와 우정 있으신분 계신가요? 4 00 2018/02/26 2,118
783907 동화스터디 텐스토리라고 아세요? 2 혹시 2018/02/26 875
783906 하이브리드 자전거 추천해주세요~ 4 ... 2018/02/26 861
783905 강릉 사시는 분들... 강릉올림픽파크 하키경기장이랑 강릉역 거리.. 10 귤비타민 2018/02/26 1,624
783904 필리핀 투자 6 .. 2018/02/26 1,536
783903 이경영이나 박시후도 활발히 활동하는데 조씨들도 6 잊지말자 2018/02/26 2,951
783902 윤호진..박근혜취임 추진위원장, 총감독. 4 2018/02/26 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