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 엥겔지수 17년만에 최고네요`

ㅗㅗ 조회수 : 4,293
작성일 : 2018-02-20 17:50:19

그 만큼 먹는 물가가 비싸다는 애기죠.

또, 소득이 늘지 않고, 소득 증가율보다  물가상승율이 훨 높다는 애기.

2017년 기준으로 13.8%로 14% 에 육박` 2000년 이후 최고 수준`

IP : 218.51.xxx.239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무성의
    '18.2.20 5:53 PM (223.62.xxx.140) - 삭제된댓글

    최소 근거 자료는 첨부해야..
    아 물론 엥겔지수 높은거 체감은 합니다.

  • 2. 기사 봤는데
    '18.2.20 5:55 PM (115.140.xxx.215) - 삭제된댓글

    작년 1,2,3분기 결과이고
    그리고 재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0.3% 올랐던데 최고라는 수식어는 좀 자극적인거 같아요.
    2011년에 13% 찍은 후에 계속 상승세이긴 하죠.

  • 3. 원글
    '18.2.20 5:56 PM (218.51.xxx.239)

    http://www.ytn.co.kr/_ln/0102_201802201634291541
    첨부합니다. 여러 뉴스에 나왔기에`

  • 4. ㅇㅇㅇ
    '18.2.20 6:00 PM (203.251.xxx.119)

    그런데도 해외여행은 역대 사상최다

  • 5. 원글
    '18.2.20 6:00 PM (218.51.xxx.239)

    0.3% 면 엄청난 겁니다. 국내 소비지출이 조사 중인 기간중에 573 조이고 이중 먹거리 지출이
    약 79 조니까요.

  • 6. .....
    '18.2.20 6:00 PM (211.49.xxx.157) - 삭제된댓글

    우린 25%는 되는 것 같아요.
    예전엔 고물가 중에도 저렴한 식료품도 있다 싶었는데
    요즘은 저렴한 것이 없잖아요.

  • 7. ....
    '18.2.20 6:01 PM (211.49.xxx.157) - 삭제된댓글

    우린 20~25%는 되는 것 같아요.
    예전엔 고물가 중에도 저렴한 식료품도 있다 싶었는데
    요즘은 저렴한 것이 없잖아요.

  • 8. 원글
    '18.2.20 6:03 PM (218.51.xxx.239)

    먹거리 지출이 통계대로 14% 선인 집은 굉장히 적을겁니다.
    통계는 통계일 뿐이고 실상은 훨 높죠.
    엥겔지수가 낮을수록 더 나은 사회환경이 될 텐데요. 아쉽죠.
    안 먹고 , 최소한으로 먹고 살 수도 없는지라`

  • 9. 엥겔이 어느시대사람인가요
    '18.2.20 6:03 PM (211.177.xxx.4)

    맹모삼천이 요즘교육에 해당없듯 엥겔처럼 빵만 먹고 살던 시절 아니고 브런치 한번이면 쌀 한가마값 훅 나가는 요즘세상에 적용하는 건 무리죠.

  • 10. 샬랄라
    '18.2.20 6:06 PM (211.36.xxx.50)

    몇 달만에 많이 바뀌는 숫자가 아닙니다

  • 11. 원글
    '18.2.20 6:07 PM (218.51.xxx.239)

    윗 님 엥겔지수는 한국은행에서 꾸준히 내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통계 중 하나 입니다.

  • 12. 샬랄라
    '18.2.20 6:16 PM (211.36.xxx.50)

    "민간인 댓글 팀장, 실적따라 월 1200만원 정도 받았다" 법정 증언
    http://v.media.daum.net/v/20180130115701018?f=m?rcmd=rn

  • 13. 정말 너무 비싸요
    '18.2.20 6:17 PM (175.116.xxx.169)

    급여는 쥐꼬리 오르고
    장보기 물가는 체감상 서너배는 올랐어요
    식비가 4인 기준 백만원인 집은 보통...

  • 14. 샬랄라
    '18.2.20 6:19 PM (211.36.xxx.50)

    실제로 엥겔계수는 2000년 이후 꾸준히 낮아져 2007년에는 11.8%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2008년 12.0%로 오르면서 상승세로 전환, 2011년 13.0%를 찍고 꼬박꼬박 상승세를 지속하며 14%대 문턱까지 올랐습니다.

    이제 내려가겠네요

    http://v.media.daum.net/v/20180220094133570

  • 15. ...
    '18.2.20 6:21 PM (58.236.xxx.49)

    기레기가 던지면 물어다 여기저기 옮겨놓고..
    국민들 어리석지 않아요.

  • 16. 근데 이게
    '18.2.20 6:24 PM (115.140.xxx.215) - 삭제된댓글

    이미 2011년에 13% 였는데요뭐.
    궁금해서 찾아보니 일본은 25가 넘는다고 하는데,

  • 17. 근데 이게
    '18.2.20 6:32 PM (115.140.xxx.215)

    이미 2011년에 13% 였는데요뭐.
    궁금해서 찾아보니 일본은 25가 넘는다고 하는데

    근데 그러고보니 저도 먹는데는 너무 아낌 없이 쓰긴 하네요. 비싼건 둘째치고
    먹는데는 돈을 아끼지 않는 경향이;;;

  • 18. 그게
    '18.2.20 6:33 PM (119.70.xxx.204)

    장한번보면 10만원기본이긴하죠

  • 19. ㅁㄴㅇ
    '18.2.20 6:40 PM (84.191.xxx.92)

    2000년에는 지금만큼 식재료 가격이 비싸지 않았어요.

    대포항에 가서 광어 3만원 어치 샀더니 해삼, 멍게, 오징어회, 작은 생선 세꼬시회까지 공짜로 주던 시절...
    엘지 초봉이 3200만원 정도 했는데 돈까스가 4000원, 닭한마리칼국수가 1만원 좀 넘었고,
    종로깁밥이라는 체인의 참치김밥, 라볶이 이런 건 2500원이었죠.

    (당시 일본에 갔었는데 일본 식료품비, 외식비가 한국보다 비싸서 아끼면서 살았죠. 돈까스돈부리 500엔이 좀 비싸게 느껴졌던 기억이 나네요)

    그 상태로 2006년까지 급여는 오르고 식료품 물가는 거의 똑같았는데
    이명박근혜 시대가 시작한 2008년에 갑자기 돈까스 하나에 7000원으로 두 배 가까이 비싸졌던 게 기억납니다.
    같은 해에 금융권, 공기업의 초봉이 마구 삭감되더니
    대기업 연봉도 동결된 채 10년이 지나갔네요.

    통계가 어떻게 됐건 한국의 식료품 물가는 지금이 사상최고인 듯.

  • 20. 그러니까요
    '18.2.20 6:43 PM (220.85.xxx.206)

    서민은 살기 힘든나라
    쥐꼬리월급 높은 물가 창렬먹거리

    삼성만 살기 좋은...

  • 21. ㅇㅇ
    '18.2.20 7:30 PM (60.50.xxx.183)

    서민은살기 힘든나라
    삼성만 살기 좋은

  • 22. ㅠㅠ
    '18.2.20 8:18 PM (121.128.xxx.117)

    서민은 살기 힘든 나라
    삼성만 살기 좋은3333333333333

  • 23. 다비싸요.
    '18.2.20 8:56 PM (211.238.xxx.9)

    먹거리 돈 젤많이들어감

  • 24. ....
    '18.2.20 9:39 PM (180.69.xxx.199)

    여기저기서 살아봤는데 우리나라 식료품비용이 제일 많이 들어요. 훨씬 많이요. 기가 막힐 정도에요.
    공산품은 싼 편이네요.

  • 25. 저번달보다
    '18.2.20 10:16 PM (14.75.xxx.29) - 삭제된댓글

    더올랐어요
    파도 사과도 매주사는 품목을 비교해보니
    전달보다 더올랐고요
    공산품도 곧오른다고 소문들리던데
    제발헛소문이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2357 크린베리 쥬스도 방광염에 효과있을까요? 3 모모 2018/02/22 2,656
782356 주택담보대출 관련 질문 1 ... 2018/02/22 755
782355 장담글 때 메주 안떠오르게 하려면 5 2018/02/22 1,300
782354 부산날씨 4 .. 2018/02/22 1,090
782353 베란다 꾸미고 싶어요 2 ... 2018/02/22 1,327
782352 나이들면 다 귀찮아지는지.. 8 .. 2018/02/22 3,961
782351 우리선수들 견제가 심하네요 8 기레기아웃 2018/02/22 3,125
782350 나이키 신발 인터넷에서 파는 것 정품 맞을까요? 3 ... 2018/02/22 2,522
782349 민유라 갬린 펀드 혹시 아시는 분? 6 펀드 2018/02/22 1,616
782348 머랭쿠키 반죽이 왜 거품끼가 많죠? 3 핼프미 2018/02/22 835
782347 혹시 여자쪽에서 적극적으로 결혼하신 분 계세요? 3 .. 2018/02/22 2,050
782346 또 AD카드 논란 4 ㅇㅇㅇ 2018/02/22 3,060
782345 한살림 생협 화장품은 어때요? 5 ㄴㄴ 2018/02/22 2,438
782344 원형탈모 도와주세요ㅠ 18 ... 2018/02/22 3,035
782343 해외 여행 경험 많으신분께 10 2018/02/22 3,069
782342 (질문)어린아이(6세)에게 적절한 사교육은 어느정도 인가요? 3 2018/02/22 1,224
782341 동전500원 나 주고 간 아저씨 12 나 아줌마 2018/02/22 4,810
782340 조민기 "샤워할 때 등 좀 밀어줘라&qu.. 39 OMG 2018/02/22 26,684
782339 박서준과 음악취향 비슷해서 기쁨 1 hhh 2018/02/22 1,626
782338 금요일 저녁 결혼식 어떠세요? 26 2018/02/22 15,271
782337 블로그 판매 5 뤼d 2018/02/22 2,229
782336 민중은 개, 돼지....나향욱 2심 승소 2 시르다 2018/02/22 914
782335 하와이 마우이 숙고 추천 4 눈나나 2018/02/22 1,142
782334 유리로 된 둥근 광파오븐 질문해요 4 로긴 2018/02/22 2,319
782333 바람 피우는거 가족들은 그렇게 파악이 안되나요..??? 18 ... 2018/02/22 7,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