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가 20대 이상인 경우

고민 조회수 : 3,505
작성일 : 2018-02-08 19:37:51

이젠 자녀가 원하지 않는 경우 일체 조언이나 잔소리 안하십니까?
속이 터질 때가 있지만 그냥 꾹 참습니다.
팔순 엄마는 부모는 그래도 가르쳐야 할 것은 가르치고 또 안되는 일은 안된다고 가르쳐야 한다고 합니다. 서로 안되는 일에 대한 범주가 다르니 어렵네요.
가르치거나 조언 하려고 대화 좀 하려다 결국 서로 맘이 상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제가 접습니다.


IP : 121.101.xxx.16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8.2.8 7:43 PM (218.238.xxx.107)

    저 이십대때 보면 돌이켜보면 어른들이 조언을 해줬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안듣는것 처럼 보여도 마음 한구석에선 자꾸 생각이 나거든요 그 조언이 도움이 될때가 있어요

  • 2. ...
    '18.2.8 7:43 PM (59.15.xxx.61)

    자녀가 이제 성인인데 잔소리 해서 뭐합니까?
    그런건 사춘기 이전에나 통하더라구요.
    저도 애들하고 갈등이 많았는데
    울 남편왈...애들에게 맞춰서 살랍니다.
    그래서 그냥 맘 접고 놔둡니다.
    얼마나 더 같이 살겠나 싶기도 하고~

  • 3. ...
    '18.2.8 7:43 PM (223.62.xxx.250)

    제 그늘아래 사는동안은
    제가 간섭할건 합니다~
    스스로 독립하면 그땐 그만해야죠.

  • 4.
    '18.2.8 7:46 PM (112.186.xxx.156)

    우리 애들 다 컷는데요,
    솔직히 사람은 어느 정도는 시행착오를 겪어야 한다고 봐요.
    물론 요즘 젊은 사람들은 아는 것도 많고 서로 친구들끼리 얘기해서 어느 정도는 해결해나가지만
    경험이 부족한 건 사실이니까요.

    일단 저는 애들의 생각을 듣습니다.
    자신들이 어떻게 하겠다는 이야기를 그냥 들어요.
    하고 싶은 말이 많아도 일단은 듣는 것을 유지해요.
    애가 제게도 의견을 물으면 그때 이런 면도 있다고 말을 합니다.
    애가 의견을 묻지 않으면 그냥 말 하지 말아야 하는 타임입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애에게 제 생각을 관철시킨다면
    애가 가장 잘 되었을 때 나 정도로 되는거죠.
    그러니까 나보다 더 잘되기 키우려면 내 방법으로 해서는 안됩니다.
    혹시 애가 지적 장애가 있다거나 할 경우는 당연히 예외입니다.
    이때는 부모가 하나하나 다 아르켜줘야 마땅하죠.

  • 5. 그게
    '18.2.8 7:47 PM (121.128.xxx.117)

    대화가 아니라 잔소리라고 생각들게 한다면 소통은 끝인거죠.

  • 6. 저님 말씀에 동감
    '18.2.8 7:52 PM (175.197.xxx.98)

    하고 싶은 말이 많아도 일단은 듣는 것을 유지해요.
    애가 제게도 의견을 물으면 그때 이런 면도 있다고 말을 합니다.
    애가 의견을 묻지 않으면 그냥 말 하지 말아야 하는 타임입니다. ------------- 22

    구구절절 동감합니다.

    애가 잘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미리 앞장서 조언?을 해주고 싶은 마음 굴뚝같아 했지만 결국
    아이가 원하지 않을때 얘기하는건 잔소리밖에 안되더라구요.

    아이가 원할때 부모로서 의견 제시해주고, 나머진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본인이 깨닫고 느껴야 결국
    성장하는것 같습니다.

  • 7. ddd
    '18.2.8 8:13 PM (121.130.xxx.134) - 삭제된댓글

    부모는 가르친다고 생각하지만 아이에겐 잔소리죠.
    정리정돈 같은 생활습관이라면 부모가 본보기가 되면 되는 거고.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킬 일이 아니라면 좀 내버려두는 게 낫지 않을까요?

    그래도 부모 마음에 아니다 싶은 게 있으면
    한마디만 하세요.
    애가 앞에선 못알아먹고 툴툴거려도 다 스며듭니다.
    부모는 훈계지만 잔소리라고 아이가 느끼게 한 말 또 하고 또하는 것보단
    심플하게 한다미만 하고 입닫는 게 좋다고 봅니다.
    너무 안달복달하지 말고 아이를 믿어주고 응원해주세요.
    저도 20대 아이가 있는데 복장 터질 일 많았고 현재도 뭐 많습니다.
    그렇지만 아이와의 관계를 최우선 순위로 둡니다.
    난 네 편이라는 믿음을 주는 거죠.

    애가 어디가서 남 해꼬지하고 다니는 거 아니면 부모가 나서서 훈계할 일이 뭐 그리 있나요.

  • 8. ddd
    '18.2.8 8:15 PM (121.130.xxx.134)

    부모는 가르친다고 생각하지만 아이에겐 잔소리죠.
    정리정돈 같은 생활습관이라면 부모가 본보기가 되면 되는 거고.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킬 일이 아니라면 좀 내버려두는 게 낫지 않을까요?

    그래도 부모 마음에 아니다 싶은 게 있으면
    한마디만 하세요.
    애가 앞에선 못알아먹고 툴툴거려도 다 스며듭니다.
    부모는 훈계지만 잔소리라고 아이가 느끼게 한 말 또 하고 또하는 것보단
    심플하게 한마디만 하고 입닫는 게 좋다고 봅니다.
    (저도 그러고 보니 잔소리 한다고 애들한테 한소리 듣네요 ㅋㅋ
    그럼 그러냐? 하고 웃어 넘기고 잔소리 자제하려고 합니다)

    너무 안달복달하지 말고 아이를 믿어주고 응원해주세요.
    저도 20대 아이가 있는데 복장 터질 일 많았고 현재도 뭐 많습니다.
    그렇지만 아이와의 관계를 최우선 순위로 둡니다.
    난 네 편이라는 믿음을 주는 거죠.

    애가 어디가서 남 해꼬지하고 다니는 거 아니면 부모가 나서서 훈계할 일이 뭐 그리 있나요.

  • 9. ddd
    '18.2.8 8:18 PM (121.130.xxx.134)

    아! 그리고 제 경우엔요.
    제가 애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 안 해요.
    제가 젊은 애들한테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대 대학생 딸, 고등학생 아들한테 많이 배웁니다.
    그 아이들의 생각과 문화요.
    20대 딸이 있어서 페미니즘? 그런 것도 많이 전해 듣고 있어요.
    시대가 바뀌는데 공자왈 맹자왈의 잔소리는 그만!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을 가치는 인간 존중 같은 거 아닌가요?

  • 10. 저도
    '18.2.8 8:40 PM (125.177.xxx.106)

    어릴 적에 좋은 습관을 들였어야한다는 생각을 늘 해요.
    클수록 아이들이 더 안들으니까요.
    그래도 중요한 이야기는 1절은 해줘야해요.
    자기도 모르게 스며드니까...다만 2절, 3절하면 싸우게 되죠.

  • 11. ,,,
    '18.2.8 9:19 PM (121.167.xxx.212)

    중학교만 들어 가도 잔소리 안 통해요.
    아이가 엄마의 잔소리가 필요할때 요청할때만 내 의견 말해줘요.
    엄마 말대로 따르라고 엄마가 옳다고 하지 않고
    이런 해결 방법도 있다고 넌지시 알려 줘요.
    그것도 두세번 이상은 절대 안해요.
    아이가 엄마 말대로 안해도 결과가 나빠도 아이에게도 실패나 실수의
    경험을 주는것도 필요해서 놔둬요.
    조언 해 줄때 여러가지의 경우의 수를 얘기 해줘요.
    아이가 비교해서 선택할수 있는 기회를 줘요.
    물론 속으로는 부모가 마음이 평온 하지 않지만 참고 기다려줘요.
    예전에 책 중에 내가 배워야 할것은 유치원에 배웠다는
    서양인이 쓴 책이 있었어요.
    10살 이전에 아이 인성이나 예절 교육의 기초는 끝나야 해야
    부모도 편해요. 그 다음 부터는 아이에게 일임하고 도를 넘는 경우에만
    잔소리 하지요.

  • 12.
    '18.2.8 10:29 PM (223.38.xxx.240)

    댓글 좋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0052 튀김 좋아하는 남편이 결국 일저질렀네요 ㅎ 33 2018/02/15 23,978
780051 부모가 되고 보니.. 어떤 게 가장 큰 효도라고 생각 하시나요?.. 18 효도 2018/02/15 6,641
780050 소개팅남...조언좀 주세요 13 ㅜㅜ 2018/02/15 4,518
780049 커클랜드 비타민b 컴플렉스 어떤가요? 1 ..... 2018/02/15 2,433
780048 어머님의 변덕스러움.. 8 아..정말... 2018/02/15 2,708
780047 우편분국 사무직으로 일하기 어떤가요? 5 ㅇㅇㅇ 2018/02/15 2,206
780046 코스트코 아비규환 26 놀자 2018/02/15 23,603
780045 결혼이 먼저일까요 사람이 먼저일까요 10 .... 2018/02/15 2,417
780044 2g폰(유심 안들어가는거)은 요새 개통 안되나요? 6 ㅇㅇ 2018/02/15 1,989
780043 나의 일을 함부로 물어 보는 사람은 나를 무시하는 건가요? 4 ... 2018/02/15 2,644
780042 SBS 아나운서 배성재, 배성우 형제 다 미혼인가봐요 14 깜놀 2018/02/15 7,091
780041 오늘 같은 날엔 강남역,대치동,논현동,반포 요런데 차 안 막히나.. 2 교통 2018/02/15 1,673
780040 자동차보험기간내 운전자 나이 구간이 바뀌면 환급되나요? 자동적용.. 1 2018/02/15 1,435
780039 아이 입시치루고 나니~ 11 배려 2018/02/15 4,378
780038 미국 이라는 말만 보면 6 아줌마 2018/02/15 1,154
780037 82자유게시판에 댓글 닉네임이 없는 경우는 왜 그런거에요? 9 궁금 2018/02/15 1,098
780036 세월이 약 1 편안한..... 2018/02/15 564
780035 디파티드를 보고 일부 답을 얻었어요.. 1 tree1 2018/02/15 837
780034 심영순 삼색전보니 전부치고 싶어져요. 9 ... 2018/02/15 3,377
780033 삼지연관현악단의 비정상적인 공연 내용 1 다음은 모란.. 2018/02/15 1,179
780032 네이버 수사청원 ㅡ 링크 들어가서 동의 좀 부탁드립니다 1 마법이필요해.. 2018/02/15 408
780031 차례상. 다른 댁도 소,돼지,닭. 올릴 때 계란지단 까세요? 4 .. 2018/02/15 1,103
780030 잡채할때요 당면 4 조언좀 2018/02/15 2,533
780029 이제 혼자의 시간 5 이혼녀 2018/02/15 2,067
780028 은행이 하는일 7 2018/02/15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