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밥 얼릴때 어떻게 하시나요?

.. 조회수 : 4,379
작성일 : 2018-02-08 13:07:18
밥을 얼릴 수 있다는 것도 얼마 전에 안 하수 주부입니다ㅠ
요즘 늘 얇은비닐봉지에 얼리는데 너무 좋긴 한데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 해서 찾아보니 밥팩이라는 게 있어요
그런 거 사서 얼리는 게 더 나을까요?
환경호르몬에 안전하다는데 진짜일까요
만일 산다면 동그란 거랑 네모납작한 게 있는데 네모가 더 끌려요 
뭐가 더 좋은지 잘 모르겠어요
또 쓸데없이 돈쓰는 거 아닌가 싶어 도움 요청해요 ㅠ
IP : 182.222.xxx.108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2.8 1:08 PM (175.115.xxx.188)

    아닐거같아 그냥 비닐봉지써요.

  • 2. 동글이
    '18.2.8 1:10 PM (117.111.xxx.95)

    네모난게 낫더라구요 비닐은 나중에 비닐에 밥풀이 달라붙어서 밥팩으로 얼려요

  • 3. 좋은하루
    '18.2.8 1:12 PM (49.165.xxx.113) - 삭제된댓글

    비닐에에 한공기씩 싸서
    패트병 윗부분 날리고 옆에 길게 칼집 넣고
    눌러 담으면 동그랗게 자리 잡고 꺼내먹기도 좋아요

  • 4. 밥팩
    '18.2.8 1:22 PM (210.94.xxx.89)

    환경 호르몬은 비닐이라고 다를...
    거기에 일회용품..;;

    찜찜하시면 유리나 트라이탄 소재 밥팩도 있어요

  • 5. ...
    '18.2.8 1:29 PM (125.128.xxx.118)

    뭘 더 사는건 반대요...집에 찾아보면 비슷한 크기의 밀폐용기 있을거예요..전 납작납작한 직사각형 유리통을 주로 쓰는데요, 비닐팩에 넣으면 차곡차곡 안 쌓아져서 밀폐용기 크기 맞춰 얼려요...납작해야 잘 해동되요...플라스틱보다는 유리 쓰세요...해동할때 실온에 어느 정도 내 놓았다가 나머지는 전자렌지에 살짝 돌려 해동하면 되요...더 맛있게 먹으려면 찜기에 살짝 찌면 금방 한 밥이랑 똑같아요

  • 6. ........
    '18.2.8 1:29 PM (211.108.xxx.115)

    그냥 집락 용기에 담아 얼려요.
    딱 밥 한 공기 들어가는 제일 작은 용기예요. 착착 쌓아두기 좋고 가벼워요.
    pp소재라 안전하다곤 하지만 혹시 몰라서 한 김 식힌 뒤 담아요.
    안 식히고 담아야 맛있다곤 하던데 식히고 담아도 맛 차이 크게는 모르겠어요.
    데울 때는 밥그릇에 옮겨서 데우고요. 생각보다 번거롭지 않아요.

  • 7. 유리
    '18.2.8 1:33 PM (221.149.xxx.183)

    유리 용기에 담아두고 냉동실. 전자렌지에 바로 해동해서 먹어요.

  • 8. 얼린거
    '18.2.8 1:37 PM (122.38.xxx.28)

    봉지든 통이든 그대로 뚜껑 닫은 그대로 잠시 두거나 찬물에 살짝 담그면 통에서 그대로 분리되어 나와요. 그걸 밥그릇에 담고 렌지에 돌리면 환경 호르몬 걱정안해도 돼요.

  • 9. 건강
    '18.2.8 2:05 PM (110.13.xxx.240)

    종이호일 있죠
    그걸로 밥 뜨거울때 포장해서
    지퍼백에 서너개씩 넣어서
    냉동하고 하나씩 꺼내서 렌지에2-3분
    돌려드세요

  • 10. 음.
    '18.2.8 2:06 PM (58.125.xxx.211)

    얼릴 때, 밥그릇이나 유리로 된 반찬통에 얼려요.
    저는 대부분 밥그릇에 그냥 얼리는데요. 밥 넣고, 랩으로 덮어서 얼려요.
    먹을 땐, 얼린 그대로 랩 제거하고 밥그릇 보다 큰 도자기 접시 같은 걸로 덮어서 전자렌지에 바로 돌려요.
    그러면 돌려지면서 수분 생기고..
    다 돌려 지면 꺼내서 밥그릇에 있는 밥을 아래 위를 바꿔 놓아요.
    그러면 전자렌지에서 돌려지면서 밥 아래쪽에 수분이 많은 밥은 위로 올라 오고, 돌려지면서 위쪽에 수분 별로 없던 밥은 아래로 내려 가면서 밥 먹으면서 수분 생기고..
    그렇게 해서 먹어요. ^^

  • 11. 감사합니다!!
    '18.2.8 2:24 PM (182.222.xxx.108)

    아 정말 많은 팁이 있네요
    밥그릇에 얼리는 것도 좋은 팁인데 사기가 깨지진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들어요
    유리 용기에 넣는 것도 좋은데 오븐에 넣는 두꺼운 유리는 냉동실에서 안 깨지나요?
    음 걱정되지만 한번 해봐야겠어요

  • 12. 47
    '18.2.8 2:27 PM (183.108.xxx.130)

    식당에서 나오는 뚜껑 달린 스텐 밥공기에 얼려요. 먹을 때는 꺼내서 뚜껑 덮인 채로 수돗물에 겉에 얇게 덮인 얼음 씻어내고 티스푼으로 밥 들어내어 접시에 담아 전자렌지에 2분 돌리면 되죠.

    단, 밥공기 살 때 위가 넒은 형태일수록 밥이 잘 빠져요.

  • 13. 47
    '18.2.8 2:29 PM (183.108.xxx.130)

    다이소에 플라스틱 뚜껑 달린 스텐 밥공기도 괜찮더하고요. 용량이 조금 커서 저는 볶음밥 얼릴 때 써요.

  • 14. 음.
    '18.2.8 2:41 PM (58.125.xxx.211)

    밥그릇.. 사기그릇? 도자기그릇에 그냥 얼려요. 안깨져요.
    얼린 거 꺼내서 바로 완전 뜨거운 물이나 떨어뜨리면 깨지려나요.. 전자렌지로 바로 돌려도 안깨지던데요. ^^
    몇년을 그렇게 먹고 있어요.

  • 15. 크롱
    '18.2.8 2:44 PM (125.177.xxx.200)

    글라스락 밥보관용기 유리로 된거 나와요.
    뚜껑은 실리콘이구요. 그거 안비싸고 튼튼해요.
    락앤락 유리밥보관도 사봤는데 그건 온도차이나면 잘 깨져요. 갑자기 쫙 갈라지더라구요.
    락앤락보다 글라스락 밥보관용기 좋아요.

  • 16.
    '18.2.8 3:52 PM (112.186.xxx.156)

    늘 락앤락 유리밥 보관으로 사용해요.
    한번도 깨진 적 없는데 어떻게 깨진다는건지 잘 이해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13075 구본무 회장이 노무현 대통령 서거 후 보낸 약밤나무(김경수 후보.. 30 감동 2018/05/22 6,489
813074 유니클로 브라 교환이 되더라고요. 4 유니클로 2018/05/22 6,351
813073 기레기 기사 꼬라지 보세요 '문프 방미에도 북미회담 무산 가능성.. 18 이라 2018/05/22 2,193
813072 학폭가해자 소년부송치 된다고.. 8 지나간다 2018/05/22 2,453
813071 전 생리의 괴로움이 생리통이 아니예요 15 ㅇㅇ 2018/05/22 6,265
813070 하이그로시 씽크대 찌든때는 어찌 닦나요? 10 씽크대 2018/05/22 4,468
813069 수국 화분 꽃이 어둡게 얼룩얼룩 해 졌어요. 4 수국 2018/05/22 1,181
813068 건강식을 배부르게 먹는것도 다이어트가 될까요? 2 ... 2018/05/22 1,170
813067 나 비서 욕설에 대해 반응 ㅇㅇㅇ 2018/05/22 697
813066 방탄한테 뒤늦게 덕통사고 당했는데 너무 쎄게 당했네요 44 크랩업 2018/05/22 4,646
813065 왜 우리나라 언론이 가야하죠? 19 .... 2018/05/22 2,161
813064 정말 많이 웃으면 인상이 변하나요? 8 2018/05/22 5,964
813063 오이 씻을 때 9 .. 2018/05/22 2,205
813062 족저근막염이 관절염인가요? 3 관절 2018/05/22 2,251
813061 부처님 오신날 절에가서 등달기 하셨나요? 7 82cook.. 2018/05/22 2,607
813060 가디건 입을만한게 왜 제눈엔 안보이는지요 12 .. 2018/05/22 3,872
813059 동대문 종합상가와 광장시장 5 오가닉 2018/05/22 2,171
813058 계란만으로도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충분하겠죠? 8 .. 2018/05/22 3,946
813057 아기 돌 기념으로 제주도 가요 5 늦둥이엄마 2018/05/22 1,254
813056 사구체신염은 난치병인가요? 4 .. 2018/05/22 2,738
813055 존댓말 쓰는 자녀들은 부모에게 안대들죠? 12 존대 2018/05/22 4,729
813054 매일 아줌마들 모임하는 사람들은 체력이 대단한거겠죠 20 ..... 2018/05/22 6,566
813053 40대 중반..자식이 잘 안되니 무엇보다 속상하네요 159 속상한 엄마.. 2018/05/22 32,255
813052 전라도광주에 돼지갈비 잘하는곳과 깨끗한 모텔 있을까요? 8 .. 2018/05/22 1,437
813051 아들 두신 어머니들 제아들 키와 운동 좀 봐주세요 9 아들의키 2018/05/22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