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저시급에 대해서

...... 조회수 : 1,564
작성일 : 2018-01-08 13:13:08
최저시급으로 말이 많잖아요.. 
자영업자들은 인건비 올라서 단가를 올릴 수 밖에 없다고하는데 
저는 그것보다 문제는 외국기업에서 인건비 비용이 더 높아졌으니 국내사업체를 감소한다고나 할거 같고 
또 물가가 오르니 외국인 여행객도 감소할 수 있다 싶어 국내경기가 더 안좋아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이런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IP : 14.34.xxx.142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마지노선
    '18.1.8 1:15 PM (115.161.xxx.30)

    말 그대로 최저시급입니다.
    인간삶의 마지노선이라는 거죠.
    그것도 못 지키면 삶은 무너집니다.
    복지망이 촘촘하지도 못하고
    부의 재분배도 깨끗하지 못한
    우리나라에선
    꼭 지켜져야 할 마지노선입니다.

  • 2. 어쨌건
    '18.1.8 1:17 PM (183.98.xxx.142)

    영세업자인 저로서는
    알바 쓰는 시간을 줄일 수 밖에 없네요
    그만큼 내가 죽어나는거구요

  • 3. 외국기업?
    '18.1.8 1:18 PM (115.140.xxx.242)

    우리나라에 진출한 외국기업 어디가 최저시급 주면서 운영하나요?
    그런 나라들은 이미 예전에 베트남으로 다 옮겼죠.
    자영업자 인건비로 단가 올릴 수밖에 없다? 혹시 그건 아세요?
    올해부터 임대료 상한선이 9%에서 5%로 낮아졌어요.
    무슨 주5일제로 나라 망한다고 난리치던 때 생각나네요. 주5일제 할 때 난리난리 그런 난리가 없었는데
    지나고 나니 어떻나요?

  • 4. marco
    '18.1.8 1:19 PM (14.37.xxx.183)

    그럼 우리보다 임금이 훨씬 높은 나라는 어떻게 하나요?

  • 5. 도대체
    '18.1.8 1:44 PM (121.128.xxx.216)

    최저시급 오른게 난리날 일인가요?
    이또한 비상식의 상식화의 일환입니다.
    이명박그네가 친기업프랜들리 하며....

    도대체 언제까지 최저시급으로 영업이익이 나야 하는거죠? 위에 영세자영업자님도 댓글 달았잖아요.
    알바 시간 줄이고 주인이 더 죽어나는 거라고.
    하루 열몇시간 그것도 주말도 일해야 월 이백 버는데
    거기서 사대보험 제하면 얼마나 될까요?
    그동안 안 올려서 문제였던거죠.

  • 6. 그래봤자
    '18.1.8 1:56 PM (122.44.xxx.43)

    8만4천원인가 오르는데 체감ㅇㅈ울가는20만원 오른거같아요

  • 7.
    '18.1.8 2:00 PM (61.74.xxx.249) - 삭제된댓글

    저는 이글에 공감이 가던데요
    현정권 지지합니다만... 이견은 있을수있습니다.

    http://mlbpark.donga.com/mp/b.php?m=search&p=61&b=bullpen&id=2018010600125477...

  • 8.
    '18.1.8 2:05 PM (61.74.xxx.249) - 삭제된댓글

    저는 이글에 공감이 가던데요
    현정권 지지합니다만... 이견은 있을수있습니다.
    -----

    중략....

    최저 임금을 올려도 대기업중견기업 올리고 1~2년 후 중소 영세기업시행 처럼
    충격 최소화 방법이 있는데...
    그런 가장 단순한 시행 절차조차 고민이 없음
    그냥 정치 인기에만 관심있음.
    야당, 여당 그 누구도 최저임금 액수만 외치지, 시행방법에 대한 고민은 전무.

    ...중략

    http://mlbpark.donga.com/mp/b.php?m=search&p=61&b=bullpen&id=2018010600125477...

  • 9.
    '18.1.8 2:10 PM (61.74.xxx.249) - 삭제된댓글

    그리고 ..저는
    노동강도에 따른 임금격차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쉬운 알바도 있고...택배 상하차일도 있고..
    노인층이 할수있는 알바도 있어야 합니다..각각 일강도에 따른 임금조정이 있어야지요.
    너무 유연성 없는 정책이니..
    가장 보호받아야할 취약계층부터 잘려나가고
    결국 물가는 최저임금보다 더 오르게 생겼으니...
    임금이 오른들 무슨 효과가 있나요?
    당장 우리 아파트부터 무인시스템으로 바꾸자는 의견이 나왔는데
    경비아저씨 다 잘리게 생겼습니다.
    그동안도 사실 오래된 분들이라 인정상 두고 계시던 분들이라..

  • 10. 노동강도에
    '18.1.8 2:15 PM (121.128.xxx.216)

    따라 더 줘야죠.
    지들은 최저시급으로 한 달도 못살거면서...ㅉㅉㅉ
    그동안 인건비로 더 수익냈다는 말 밖에 더 되나요?
    안찰스 공약 최시저시급 1만원이었으면 나라가 뒤집어 졌겠네요.
    최저시급 노동자가 주머니만 가난한게 아니라 시간 또한 가난한 것도 조명되어야 합니다.

  • 11. .....
    '18.1.8 2:21 PM (14.34.xxx.142)

    아파트의 무인화는 결국 경비일을 하시는 노인계층의 경제활동 감소로 이어지고..
    저는 솔직히 무섭거든요
    얼마나 물가가 오를지 .. 그리고 경기가 나빠질지..
    나에게도 영향이 오겠구나..,
    차라리 종부세 이런거 상위층에 세금을 걷어 하위계층 복지에 힘써주면 물가 오르는 문제는 없을거 같은데..
    물가 올라 저는 결국 부동산도 폭등하고 빈부격차 심해질거 같다라는 생각이 막연하게 들어요

  • 12. 최저시급에
    '18.1.8 2:41 PM (175.198.xxx.197)

    찬성합니다.미국, 일본, 프랑스 모두 최저시급이
    10,000원 언저리에 있고
    월급으로 환산하면 157만3770원 밖에 안됩니다.

  • 13.
    '18.1.8 2:46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2017년 최저임금 6470. 한달월급 135만원
    2018년 최저임금 7530. 한달월급 157만원

    1달 만근에, 주휴수당까지 챙겨준다고 했을 때, 한달에 22만원 인상된 겁니다.

    중소기업이든, 외국계 회사든, 솔직히 월급 157만원 미만이 없습니다. 지금도 이미 최저임금 이상 줍니다.
    그러니까 이번에 최저임금 올랐다고 가격인상 얘기하는거 헛소리죠.

    그리고, 최저임금은 박근혜 정부 때조차도 매년 8% 전후로 올랐구요. 작년 대선 공약에서도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모두 최저임금 1만원 공약 걸었습니다.

    자영업자요? 솔직히 임대료 인상 때문에 허덕이는거지, 종업원 월급 때문에 허덕이나요?

    그리고 말씀하신 무인화 및 AI 발전은 아파트 경비직 뿐만 아니라 은행원 자리조차 위협합니다.
    그건 시대적 변화라 어쩔 수 없어요. 최저임금하고 상관이 없죠.

  • 14.
    '18.1.8 2:55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그래서,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 전에 임대료 상한선을 법으로 정했구요.
    지금 저환율 유지하고 있어서 수입물가 안정적일 거구요.
    (MB는 대기업만을 위해 고의로 고환율정책 펼쳐서 물가폭등을 만들었죠. 5천원 밥값이 7천원 된 것도 이때임.

    안 하셔도 될 걱정 미리 하지 마세요.

  • 15. ...
    '18.1.8 3:30 PM (115.140.xxx.242)

    원글님 댓글 보니 웃음이 나오네요.
    물가는 윗님처럼 환율 문제가 커요.
    그리고 상위 계층의 종부세요?
    님 표현 그대로 -차라리 종부세 이런거 상위층에 세금을 걷어 -
    그 상황 오면 또 언론에서 과장해서 난리치면 님은 과장된 논리 그대로 또 이렇게 말씀하실걸요.
    그거 올리면 전세월세로 이동하니까 올리지 말라고, 나한테 영향 미칠까봐 겁난다고.

    이미 정부에서 올해부터 상가임대료 상한선 9%에서 5%로 낮췄고요,
    프랜차이즈 등 가맹점이 가맹본부에게 가맹금 조정 요청할 수 있도록 표준가맹계약서도 도입했고요
    신용카드 수수료도 인하했고
    30인 미만 사업장은 1인당 최대 13만원 정부에서 지원도 해줍니다.
    공동주택 청소,경비 등은 30인 이상도 지원 받을 수 있고요.
    아, 진짜 주5일 될 때 나라 망할 것처럼 난리치던 일부 언론과 그 언론에 휩쓸리던 사람들 생각이 나요.

  • 16. ..
    '18.1.8 7:09 PM (14.36.xxx.10) - 삭제된댓글

    자영업합니다.
    최근 몇년간 최저임금기준은 물가상승률을 훨씬 상회하였습니다. 2018년의 문제가 아닙니다.
    몇년사이 점주가 있는 편의점이 이미 많아졌고, 백화점이나 프랜차이즈 업종에서도 접객 직원이 줄었으며 1인 또는 가족이 운영하는 형태의 자영업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몇년간 감원으로 버텼고 이제는 영업시간 단축으로 접근한답니다
    자영업자 한계 상황이예요.

  • 17. 아니요
    '18.1.8 8:55 PM (222.116.xxx.88) - 삭제된댓글

    임대료보다 무서운게 인건비 입니다,
    임대료는 말그대로 기본비예요
    한달 백만원이 나간다고 하면 그냥 백만원입니다
    내 아는 이도 얼마전에 왔더라구요
    왜??? 했더니 짤렸어요 하며 놀러왔다고
    점점 많아 질겁니다,

  • 18. 글쎄
    '18.1.10 1:42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임대료 백만원 내는 매장에서 알바를 2~3씩 쓸까요?
    그리고, 임대료는 매년 안 올라요? 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6131 1999년 드라마 '초대'보다가 이영애.... 20 catbir.. 2018/01/09 7,223
766130 살림고수님들 냉장고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냉장고 2018/01/09 1,804
766129 시누이 아들이 저희 남편닮앗다고; 21 oo 2018/01/09 7,550
766128 개인이 할 수 있는 환경운동이 뭐가 있을까요? 19 47528 2018/01/09 1,378
766127 사람들의 부탁이 미치도록 싫어요 21 ... 2018/01/09 6,943
766126 나는 자연인이다 8 ㅡ부자 2018/01/09 2,687
766125 한밭대하구 건양대중에 24 정시 2018/01/09 3,205
766124 careless whisper 를 능가하는 끈적끈적한 음악 46 ..... 2018/01/09 3,995
766123 폼룰러 사용해보니 몸이 유연해지네요. 4 대박 2018/01/09 5,197
766122 여드름 착색 치료 불가능한가요? 4 ... 2018/01/09 3,397
766121 집밥할 때 사용하는 건강식 팁 나눠봐요 51 궁금 2018/01/09 13,720
766120 동상이몽영상)추자현커플, 문재인대통령을 만나다 5 3분영상이네.. 2018/01/09 2,807
766119 BBC 여성 편집장, 남녀 급여 불평등 이유 편집장직 사퇴 1 refere.. 2018/01/09 821
766118 수족냉증 한약드셔본분~ 4 혹시 2018/01/09 1,573
766117 상대에게 바라는 심리.? 뭔가요?? 3 .. 2018/01/09 1,227
766116 방탄 진짜 뭐예요... ㅋㅋㅋ 39 마키에 2018/01/09 7,737
766115 겨울 싫으신분 안계세요? 33 미치도록 2018/01/09 3,853
766114 유희왕카드 카드 2018/01/09 386
766113 지인들 모이면 대화속에.. 2 2018/01/09 2,062
766112 그냥 사랑하는 사이 14 고냥맘마 2018/01/09 4,914
766111 친정엄마가 딸 호칭 부를때 7 이상 2018/01/09 2,909
766110 중학교2학년 영어단어와 문법 7 ,,, 2018/01/09 2,582
766109 미성년자일때 부모님이 가입한 보험이요 3 dd 2018/01/09 1,305
766108 진학사 556이면 어떨까요? 6 루이 2018/01/08 2,070
766107 과메기 라는거 맛있나요??? 25 수산물 2018/01/08 6,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