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구줄면 수요도 줄어든다는 착각에 대하여
1. ..
'17.12.29 5:14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고급화되는 대신에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2. 그냥
'17.12.29 5:15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3. ..
'17.12.29 5:1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4. ..
'17.12.29 5:21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꿈과 같은 거죠. 일단 먼저 앞선 것이 매력이고요.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5. ..
'17.12.29 5:22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6. ..
'17.12.29 5:2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죠.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저런 진정한 선진국들 외에는 양 띠기 , 숫짜 띠기.. 머릿수 띠기..라 인구가 줄면 기업이 국가에 압박하겠죠.
세금 걷어서 인구 증가 계획에 돈을 붓는 것은 그런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인데,
국민의 입장에서는 그 돈을 이미 태어난 국민 한명한명의 교육의 질을 올려주면,
고급인력으로 성장해,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경쟁력이 올라 국가경제에 기여하겠죠.
인구증가 정책은 국민 개개인에게는 손해를 끼친다는 거.7. 당연한 거
'17.12.29 8:58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인구 줄면 소비 주는 거 당연해요.8. 당연한 거
'17.12.29 9:00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게임 못하고 전자제품 관심없어요.
인구 주는 게 아니라 젊은 층이 주는 게 문제에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763870 | 물고기가 뒤로 헤엄쳤어요. 13 | ??????.. | 2017/12/31 | 6,704 |
763869 | 2018년,3분 남았네요.82님들 소원성취하시길 6 | (^^)/ | 2017/12/31 | 593 |
763868 | 분짜는 어떤맛인가요? 18 | 000 | 2017/12/31 | 5,468 |
763867 | 비교 질투 별로 없는 사람은 결핍감이 적어서인가요 31 | ... | 2017/12/31 | 13,537 |
763866 | 팔찌를 주웠어요 17 | 지리산에서 | 2017/12/31 | 6,728 |
763865 | 82님들 새해 복 많이.. 4 | ^-^ | 2017/12/31 | 530 |
763864 | 가요대제전보는중 궁금한점 6 | 몇년만에가요.. | 2017/12/31 | 2,350 |
763863 | 보험사에서 고객의 보장을 다 알아서 챙겨 주지는 않는가봐요..... 1 | 나무 | 2017/12/31 | 891 |
763862 | 유성엽 페북 - 안철*의 사고구조는 뭘까? 4 | ㅇㅇ | 2017/12/31 | 1,552 |
763861 | 저의 경우 재테크 어떻게 해야할까요? | 2018년엔.. | 2017/12/31 | 984 |
763860 | 엄기준 | jaqjaq.. | 2017/12/31 | 1,788 |
763859 | 한여름의 추억 드라마 보니 예전 생각나네요. 1 | ㅠㅠ | 2017/12/31 | 1,607 |
763858 | 올 한해도 참 감사했습니다 (가족인사첨부) 34 | 유지니맘 | 2017/12/31 | 3,366 |
763857 | 한국일보)문지지율 서울75.6/경기78.8/부산71.1 15 | 금방나온기사.. | 2017/12/31 | 2,355 |
763856 | 일본에 엄청 많이 관광가는군요 30 | ... | 2017/12/31 | 7,833 |
763855 | 성인 피아노 독학.질문이요 11 | ㅇㅇ | 2017/12/31 | 2,737 |
763854 | 이시간 다들 뭐 하시나요?! 14 | .. | 2017/12/31 | 3,330 |
763853 | 시네마천국. 6 | ㆍ | 2017/12/31 | 1,271 |
763852 | 잠실갔다 외식하고 장보고 돈만 푸짐하게 쓰고 왔네요 3 | 돈쓰는게세상.. | 2017/12/31 | 3,698 |
763851 | 빨게진 두피에 샴푸추천 해 주세요 12 | Jj | 2017/12/31 | 2,566 |
763850 | 공부잘했던 자식 다들 효도하나요? 66 | SJ | 2017/12/31 | 21,027 |
763849 | 정신나간 사람들이 많네요 8 | 진짜 | 2017/12/31 | 4,561 |
763848 | 문파라서 행복한 이유.jpg 25 | 나는문파다 | 2017/12/31 | 2,653 |
763847 | 주말만 되면 배불러서 짜증.. 3 | . | 2017/12/31 | 1,521 |
763846 | 눈에 안보이지만 스틱에선 혈뇨가 나오는데 5 | 혈뇨 | 2017/12/31 | 1,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