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구줄면 수요도 줄어든다는 착각에 대하여

경제를알자 조회수 : 1,204
작성일 : 2017-12-29 16:56:53

http://v.media.daum.net/v/20171229153902031?f=m&rcmd=rn
IP : 175.198.xxx.19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2.29 5:14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고급화되는 대신에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2. 그냥
    '17.12.29 5:15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3. ..
    '17.12.29 5:1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 4. ..
    '17.12.29 5:21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꿈과 같은 거죠. 일단 먼저 앞선 것이 매력이고요.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5. ..
    '17.12.29 5:22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6. ..
    '17.12.29 5:2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죠.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저런 진정한 선진국들 외에는 양 띠기 , 숫짜 띠기.. 머릿수 띠기..라 인구가 줄면 기업이 국가에 압박하겠죠.
    세금 걷어서 인구 증가 계획에 돈을 붓는 것은 그런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인데,
    국민의 입장에서는 그 돈을 이미 태어난 국민 한명한명의 교육의 질을 올려주면,
    고급인력으로 성장해,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경쟁력이 올라 국가경제에 기여하겠죠.
    인구증가 정책은 국민 개개인에게는 손해를 끼친다는 거.

  • 7. 당연한 거
    '17.12.29 8:58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인구 줄면 소비 주는 거 당연해요.

  • 8. 당연한 거
    '17.12.29 9:00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게임 못하고 전자제품 관심없어요.
    인구 주는 게 아니라 젊은 층이 주는 게 문제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3261 여러 사람 앞에 설 때 안떠는 방법 일러주세요 14 이불킥 2017/12/29 6,017
763260 박나래 대상 밀어봅니다 4 ... 2017/12/29 2,328
763259 UAE 원전 22조중 10조는 한국이 빌려주기로 계약 6 ... 2017/12/29 2,193
763258 1987 고문관같은 인간들이 자한당 지지할듯. 3 1987 2017/12/29 806
763257 아래 맞벌이 넋두리 글을 보면서.. 15 맞벌이 2017/12/29 4,601
763256 대만여행질문-티엔라이 온천 예약 6 .. 2017/12/29 1,487
763255 컨테이너 해외이사요 1 마미 2017/12/29 757
763254 태양광 발전 사업은 중국이 한국 보다 한발 앞서나가는듯.. 8 ... 2017/12/29 1,269
763253 생활비 올려봅니다 6 아몰랑 2017/12/29 3,877
763252 노희경작가 바보같은 사랑 보는데요 5 2017/12/29 1,903
763251 [펌] 제천 어느 교회 목사님 왈.. 5 zzz 2017/12/29 3,428
763250 직장에서 지적질 어디까지 당했나요? 4 아고 2017/12/29 2,144
763249 조세호 무도석에 앉았네요 3 ... 2017/12/29 2,355
763248 애매한 문빠이신 분들 맘마이스 한번 보세요 5 ^^ 2017/12/29 1,188
763247 의류학과 대 실내건축학과 13 정시 2017/12/29 2,519
763246 송년 모임 있는 분들이 부러워요 5 ㅇㅇ 2017/12/29 3,598
763245 호텔방이 지금 너무 더운데ㅠㅠ 7 .. 2017/12/29 2,798
763244 남동생이 제 차를 빌려달라는데... 15 . 2017/12/29 5,324
763243 한국어가 싫은 이유라기 보다....음....가장 아쉬운 이유라고.. 28 ㅇㅇㅇㅇㅇㅇ.. 2017/12/29 4,522
763242 백종원 푸드트럭 플랜F의 사람 열받게하는 대화법 12 대화가필요해.. 2017/12/29 5,653
763241 질문)ibk기업은행 광고음악 제목좀 알려주세요 1 *^^* 2017/12/29 927
763240 9만6천 돌파 1 ㄹㅎ 2017/12/29 1,266
763239 오늘 궁금한이야기 Y에 나온 경찰폭력아저씨 4 억울한사람 2017/12/29 2,873
763238 靑 임종석 특사, 기업 피해 해소 위해 UAE 파견 5 ........ 2017/12/29 2,558
763237 남편과 같이 강철비 볼 수 있을까요? 8 영화 2017/12/29 1,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