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인구줄면 수요도 줄어든다는 착각에 대하여

경제를알자 조회수 : 1,289
작성일 : 2017-12-29 16:56:53

http://v.media.daum.net/v/20171229153902031?f=m&rcmd=rn
IP : 175.198.xxx.19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2.29 5:14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고급화되는 대신에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2. 그냥
    '17.12.29 5:15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3. ..
    '17.12.29 5:1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 4. ..
    '17.12.29 5:21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꿈과 같은 거죠. 일단 먼저 앞선 것이 매력이고요.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5. ..
    '17.12.29 5:22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6. ..
    '17.12.29 5:2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죠.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저런 진정한 선진국들 외에는 양 띠기 , 숫짜 띠기.. 머릿수 띠기..라 인구가 줄면 기업이 국가에 압박하겠죠.
    세금 걷어서 인구 증가 계획에 돈을 붓는 것은 그런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인데,
    국민의 입장에서는 그 돈을 이미 태어난 국민 한명한명의 교육의 질을 올려주면,
    고급인력으로 성장해,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경쟁력이 올라 국가경제에 기여하겠죠.
    인구증가 정책은 국민 개개인에게는 손해를 끼친다는 거.

  • 7. 당연한 거
    '17.12.29 8:58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인구 줄면 소비 주는 거 당연해요.

  • 8. 당연한 거
    '17.12.29 9:00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게임 못하고 전자제품 관심없어요.
    인구 주는 게 아니라 젊은 층이 주는 게 문제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6520 요새 닭고기 먹어도 되나요?? 2 ㄴㄷ 2018/03/07 1,393
786519 4년 연임제가 좋으세요? 11 ... 2018/03/07 1,867
786518 신용카드 만들때 2 처음 2018/03/07 1,049
786517 2000만원 이면 주식 예금 어떻게 나누어 할까요?? 8 운용자산 2018/03/07 2,794
786516 컬링팀 엘쥐청소기 광고하나봐요~~~ 15 ㅅㄴ 2018/03/07 4,121
786515 돈쓰기 정말 쉽네요 순식간에... 6 돈쓰기 2018/03/07 5,916
786514 저는 지금 생리를 하는게 맞을까요? 미치겠네요 2 dma 2018/03/07 2,208
786513 김관진 3 구속영장이 2018/03/07 1,172
786512 화재보험회사에서 계약방문확인을 하러 보자는건 뭘까요? 2 .... 2018/03/07 1,251
786511 마른 오징어 맘껏 먹고 싶어요 7 ... 2018/03/07 3,233
786510 이번 서울 교육감은 7 잘뽑자 2018/03/07 1,606
786509 풀먹이기. 폴리에스테르나 pu .옷감에도 가능한가요? 4 ㅇㅇ 2018/03/07 1,258
786508 간호대 졸업하고 이번에 취업한 아는 아이에게 무슨선물이 좋을까요.. 18 ㅇㅇ 2018/03/07 4,273
786507 남자들 미투는 왜 안 올라 올까요? 10 궁금 2018/03/07 2,063
786506 mb 구속되면 가수 이승환님이 게릴라콘서트 하신대요 7 ... 2018/03/07 2,586
786505 남편한테 초강수뒀더니.. 20 .... 2018/03/07 9,361
786504 애기 몇살정도되면 두고 부부여행 갈 수 있나요? 8 궁금 2018/03/07 3,661
786503 직장상사의 치졸한 협박 5 asif 2018/03/07 2,664
786502 사회생활하면서도 전혀 사람 만나지 않고 지내는 분 계신가요? 3 2018/03/07 2,796
786501 동탄 2신도시 분양가 ”가구당 8천만원 부풀렸다” 4 2018/03/07 2,640
786500 김기덕 이런 댓글을 예전에... 21 tree1 2018/03/07 8,170
786499 (고민)주방 세제 좀 골라주세요..ㅠㅠ 6 순이 2018/03/07 1,917
786498 카카오머니로 돈을 이체 받았는데요 1 저한턱 2018/03/07 2,740
786497 임종석 "홍준표 대표님이 무사하신데 저야" 30 홍발정 2018/03/07 9,745
786496 갑자기 김학의사건 궁금해 검색해보다 깜놀.. 4 dd 2018/03/07 2,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