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인구줄면 수요도 줄어든다는 착각에 대하여

경제를알자 조회수 : 1,289
작성일 : 2017-12-29 16:56:53

http://v.media.daum.net/v/20171229153902031?f=m&rcmd=rn
IP : 175.198.xxx.19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2.29 5:14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고급화되는 대신에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2. 그냥
    '17.12.29 5:15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3. ..
    '17.12.29 5:1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 4. ..
    '17.12.29 5:21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꿈과 같은 거죠. 일단 먼저 앞선 것이 매력이고요.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5. ..
    '17.12.29 5:22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6. ..
    '17.12.29 5:2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죠.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저런 진정한 선진국들 외에는 양 띠기 , 숫짜 띠기.. 머릿수 띠기..라 인구가 줄면 기업이 국가에 압박하겠죠.
    세금 걷어서 인구 증가 계획에 돈을 붓는 것은 그런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인데,
    국민의 입장에서는 그 돈을 이미 태어난 국민 한명한명의 교육의 질을 올려주면,
    고급인력으로 성장해,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경쟁력이 올라 국가경제에 기여하겠죠.
    인구증가 정책은 국민 개개인에게는 손해를 끼친다는 거.

  • 7. 당연한 거
    '17.12.29 8:58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인구 줄면 소비 주는 거 당연해요.

  • 8. 당연한 거
    '17.12.29 9:00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게임 못하고 전자제품 관심없어요.
    인구 주는 게 아니라 젊은 층이 주는 게 문제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6714 차한성 전 대법관, 전관예우 논란에 이재용 변호인 사퇴 8 기레기아웃 2018/03/08 1,055
786713 내부자 명대사 중... 8 개돼지 2018/03/08 2,219
786712 새벽에 ㅎㄴ은행 적금 글 쓰셨던 분 찾습니다.^^;; ㅎㄴ 2018/03/08 1,645
786711 비핵화가 해결, 북미수교 이뤄지면 금강산 2 ㅇㅇㅇ 2018/03/08 515
786710 고3) 과외샘은 어떻게 구하나요? (과탐) 3 과외 2018/03/08 1,429
786709 여자들에게 인기많은 남자와 결혼하신 분들은 불안하시겠어요 2 ㅡㅡ 2018/03/08 3,142
786708 서울대병원 정신과 폐쇄병동에서 일어난 잔혹사와 H교수 10 H 교수 2018/03/08 6,716
786707 김냉 처음(김치톡*) 사서 처음 홈쇼핑 김치.. 설정 어떻게 할.. anne 2018/03/08 666
786706 집 주인이 마당 가꾸러 가끔씩 오겠대요 35 ... 2018/03/08 16,811
786705 검찰총장 삼성에 사위, 딸 인사청탁 문자!!! 17 ㅇㅇ 2018/03/08 2,465
786704 새내기 대학생아들이 어제 5 찾을수 있을.. 2018/03/08 2,721
786703 미더덕찜을 해야하는데요 2 문문 2018/03/08 795
786702 사과와 함께 갈아마시면 맛있는 것들 뭐가 있나요? 13 사과 2018/03/08 3,177
786701 남북평화모드..최소5프로는 올라야하는데ㅜㅜ 5 안희정쓰레기.. 2018/03/08 1,006
786700 갑상선 기능저하증 증상 중에 어지럼증도 있나요? 4 .... 2018/03/08 5,700
786699 (법무사분들)5억원 상당 아파트 친정 명의로 이전할려는데...... 16 라이프 2018/03/08 3,641
786698 전기 기계관련 일하시는 분이나 통번역 하시는분 계실까요? 3 ..... 2018/03/08 658
786697 [부산] 남북정상회담 합의, 두 팔 벌려 환영 한목소리 1 기레기아웃 2018/03/08 731
786696 직장에서 월급계산이 틀리게 나왓는데 4 82cook.. 2018/03/08 1,173
786695 47살에 임신이 가능한가요? 33 ... 2018/03/08 21,864
786694 수영 한달이면 물에 뜨나요? 15 흐음 2018/03/08 4,481
786693 애가 며칠째 새벽에 일어나서 소리를 질러요 21 미쳐 2018/03/08 6,796
786692 지금 대구지역에는 눈이 무서운 기세로 내리고 있네요. 30 ㅇㅁ 2018/03/08 5,728
786691 아베 우째.. 엎친데 덮치네 17 기레기아웃 2018/03/08 6,768
786690 [삼성불매] 전국 90개의 소녀상, 어디에 있나 -사진으로 보기.. 3 사진 2018/03/08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