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생부 조작으로 부정입학 속출

조작 조회수 : 2,395
작성일 : 2017-12-29 10:16:16
< < 학생부 조작으로 부정입학 속출> >

부정입학은 학생부 조작을 통해서도 이뤄지고 있다. 현재 대입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8학년도 수시모집의 경우 전체 수시모집인원(25만 8920명)의 86.4%(22만 3712명)가 학생부종합전형을 포함, 학생부위주전형으로 선발됐다. 

부정입학 사례를 살펴보면 지난 11월 수도권 소재 사립고교 A교사(여)는 공전자기록 위작과 업무방해 혐의로 불구속 입건, 검찰에 송치됐다. A교사의 아들 B군은 지난해 수시모집에서 서울 소재 C대학 보건계열에 합격했다.

경찰 수사 결과 A교사는 2014년 8월부터 2016년 2월까지 B군의 학생부 10개 영역에서 수천 자를 수정·추가 기재한 혐의가 드러났다. B군은 A교사의 학교에 다녔다. 이에 A교사는 나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접근 권한을 가진 '마스터' 교사와 B군의 담임교사에게 부탁했다. C대학은 B군에게 합격 취소 처분을 통보했다.

성균관대 학생 D씨는 올해 입학이 취소됐다. D씨는 경기 E고교를 졸업한 뒤 지난해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성균관대 자연과학계열에 입학했다. 하지만 D씨의 어머니이자 E고교 전 교무부장 F교사가 D씨의 학생부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

문제는 학생부 조작은 물론 무단정정이 끊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제2, 제3의 부정입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은혜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교육청 감사를 통해 대구, 광주, 경기, 경남 지역에서만 학생부 조작과 무단정정이 308건 적발됐다.

광주 G고교에서는 교사가 수행평가와 지필평가 점수를 조작, 특정 학생의 석차 등급을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올렸다. 대구 H고교에서는 동아리 담당교사가 타인의 권한으로 접속, 소속 동아리 학생들의 학생부를 추가 기록했다.

  ▶출처: 유은혜 의원실

평가방식 한계, 검증 강화·시스템 개선 필요
장애인등록증 위조는 대학의 평가방식 한계가 드러난 대목이다. 대학들이 일일이 제출 서류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려대 관계자는 "현재 대학과 (장애인 등록증) 발급 기관이 원천적으로 (장애인 등록증 진위 여부를)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학생부 조작도 마찬가지다. 대학들은 수많은 학생들의 학생부가 사실인지, 거짓인지 하나하나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교사가 작성한 학생부를 신뢰한다. 이는 역으로 교사가 마음 먹고 학생부를 조작한다면, 대학 입장에서는 속수무책이다.

그렇다면 장애인등록증 위조와 학생부 조작을 방지할 대책이 무엇일까? 우선 장애인등록증 위조 방지를 위해 대학의 서류 검증 절차가 강화돼야 한다. 실제 일부 대학들은 장애인등록증 원본을 받은 뒤 원본의 진위 여부까지 확인하고 있다. 아주대 관계자는 "정부24(정부 서비스 통합 포털 사이트)에서 장애인등록증이 원본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애인등록증 위조 방지를 위해 서류 검증 절차가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사진은 중앙대가 2018학년도 수시모집 제출 서류를 접수하고 있는 모습(대학저널 자료 사진)

학생부 조작 방지를 위해서는 학생부 작성 시스템이 개선돼야 한다. 유은혜 의원은 "학생부 무단 정정이나 조작 사례가 적발되자 교육부는 학생부의 접근 권한, 수정 권한 및 횟수 등이 적절한지 확인할 수 있도록 나이스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학생부의 지나친 정정이나 조작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서 "교사의 평가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 항목에 객관적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도록 하거나, 교사 공동기록을 통해 학생부를 관리하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도 높은 처벌과 교사들의 노력도 요구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공교육과 입시 근간을 흔드는 조작 사건은 어떠한 이유든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해당 교원들에 대해 교단 퇴출을 포함한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할 "이라며 "제도 개선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학생을 학업성적에 따라 차별하지 않고, 성적평가를 투명하고 엄정하게 처리하며, 각종 기록물을 정확하게 작성·관리하겠다는 교육자적 양심과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수시모집 축소와 정시모집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 중심의 수시모집이 확대되면서, 이른바 현대판 음서제도가 등장했다는 지적이다. 이종배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대표는 "대입제도는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이 판을 치면서 음서제로 변질되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공정한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면서 "대입제도는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학생부종합전형이 판을 치고 있으며, 공정한 대입정시는 대폭 축소됐다"고 비판했다.


https://storyfunding.kakao.com/m/project/18613
https://storyfunding.kakao.com/episode/32841
IP : 221.150.xxx.17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퓨쳐
    '17.12.29 10:20 AM (114.207.xxx.67)

    이런 전형을 더더 확대하겠다 공언하는 물건의 정체는 뭘까?

  • 2. ㅇㅇㅇ
    '17.12.29 10:21 AM (114.200.xxx.61)

    갑자기 나경원 딸 생각나네

  • 3. 우리들의 자화상
    '17.12.29 10:22 AM (182.216.xxx.37) - 삭제된댓글

    저렇게 시작부터 부정입학한 애들이 사회에 나오면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또 다시 부정한 짓을 저지릅니다. 사회 곳곳이 안 썩은곳이 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입니다.

  • 4. ...
    '17.12.29 10:35 AM (182.209.xxx.45)

    수시 학생부전형 찬성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여기도 찬성하시는 분들 꽤 많던데....

  • 5. 퓨쳐
    '17.12.29 10:42 AM (114.207.xxx.67)

    문재인과 이해찬이 하는 거니 무조건 물개박수.

    매국이 멀리 있는 게 절대 아니라니까.

  • 6. 학종이 문제가 아니라
    '17.12.29 10:48 AM (14.39.xxx.191)

    부모가 교사로 있는 학교에 자식이 입학 못한다고 들었는데
    2건 다 그런 경우네요.
    이것부터 엄금해야겠어요.

  • 7. 교육부 장관 좀 잘라라
    '17.12.29 11:17 AM (124.199.xxx.14)

    개인의 생각으로 수많은 젊은이들 인생을 망치지말고

  • 8. ...
    '17.12.29 11:41 AM (218.147.xxx.79)

    부모가 교사로 있어도 아이가 입학하던데요.
    저희애 고등학생인데 엄마는 교사, 아이는 학생이에요.
    단 아이 학년 수업은 못맡는다고 하더군요.
    그 애가 중학교때 폭력으로 유명했던 애라 이 동네에선 나름 유명(?)한데 그래서 애 관리하려고 엄마 학교로 넣은거냐 그런 말도 돌앗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3195 이 여배우 누구일까요? 8 ㅜㅜ 2017/12/30 4,556
763194 얼굴이 이상해요 큰일일까요 3 ㅠㅠ 2017/12/30 2,869
763193 올리브영에서 엄청 좋은 핸드크림 득템했네요 10 .... 2017/12/30 8,929
763192 형편이 어려우니 사람도리하기도 힘들어요.. 10 ... 2017/12/30 4,348
763191 술담배 전혀안해도 간이 나빠질수있나요? 9 눈 충혈 2017/12/30 2,433
763190 님들 혹시 예전 만화 중에 항상 Love's ...뭐 이런 만화.. 2 2017/12/30 708
763189 고준희양 내연녀가 죽인거 맞는거 같은데 18 …. 2017/12/30 8,852
763188 여자보다 더 여자같은 트렌스젠더네요 1 어머나 2017/12/30 2,247
763187 결혼 10년차인데 그릇 이빨이 하나둘 나가네요 2 111 2017/12/30 1,907
763186 1987보신분만_영화 다 끝나고 어떠셨나요. 15 1987 2017/12/30 3,704
763185 냉장고 잦은 고장나니 삶의 질이 떨어졌었어요. 2 .. 2017/12/30 1,591
763184 배추가 언제까지 맛있을까요? 4 비옴집중 2017/12/30 1,810
763183 청원) 청와대 기자단, 해외 수행 기자단 제도의 폐지 청원입니다.. 3 거의10만 2017/12/30 896
763182 이석증..급히 좀 도와주세요 13 도움요청 2017/12/30 4,026
763181 중 1아이 수학학원 비용 40만원 vs 28만원 10 2017/12/30 3,305
763180 영화 1987어떤가요? 30 궁금 2017/12/30 4,041
763179 눈이 양파썰때처럼 계속 시큼거리는거 5 ㅇㅇ 2017/12/30 904
763178 펑해요 27 뭐냐 2017/12/30 8,392
763177 닭갈비용 닭 어디서 사나요? 4 .. 2017/12/30 1,294
763176 초등생이 고도근시면....청소년 때는 얼마나 더 나빠질까요? 11 mb구속 2017/12/30 3,570
763175 다스뵈이다6회는 언제??? 7 다스 2017/12/30 2,378
763174 낸시랭 보면 너무 외로우면 12 ㅁㅁㅁ 2017/12/30 8,968
763173 밥상물가 7년만에 최고오름세 18 난선민 2017/12/30 2,831
763172 도대체 12월 31일에 결혼식하는 사람은 무슨생각일까요? 39 어떨까 2017/12/30 26,303
763171 독감약을 연달아 먹어버렸는데 어쩌죠? 3 Dd 2017/12/30 1,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