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생부 조작으로 부정입학 속출

조작 조회수 : 2,395
작성일 : 2017-12-29 10:16:16
< < 학생부 조작으로 부정입학 속출> >

부정입학은 학생부 조작을 통해서도 이뤄지고 있다. 현재 대입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8학년도 수시모집의 경우 전체 수시모집인원(25만 8920명)의 86.4%(22만 3712명)가 학생부종합전형을 포함, 학생부위주전형으로 선발됐다. 

부정입학 사례를 살펴보면 지난 11월 수도권 소재 사립고교 A교사(여)는 공전자기록 위작과 업무방해 혐의로 불구속 입건, 검찰에 송치됐다. A교사의 아들 B군은 지난해 수시모집에서 서울 소재 C대학 보건계열에 합격했다.

경찰 수사 결과 A교사는 2014년 8월부터 2016년 2월까지 B군의 학생부 10개 영역에서 수천 자를 수정·추가 기재한 혐의가 드러났다. B군은 A교사의 학교에 다녔다. 이에 A교사는 나이스(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접근 권한을 가진 '마스터' 교사와 B군의 담임교사에게 부탁했다. C대학은 B군에게 합격 취소 처분을 통보했다.

성균관대 학생 D씨는 올해 입학이 취소됐다. D씨는 경기 E고교를 졸업한 뒤 지난해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성균관대 자연과학계열에 입학했다. 하지만 D씨의 어머니이자 E고교 전 교무부장 F교사가 D씨의 학생부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

문제는 학생부 조작은 물론 무단정정이 끊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제2, 제3의 부정입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은혜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교육청 감사를 통해 대구, 광주, 경기, 경남 지역에서만 학생부 조작과 무단정정이 308건 적발됐다.

광주 G고교에서는 교사가 수행평가와 지필평가 점수를 조작, 특정 학생의 석차 등급을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올렸다. 대구 H고교에서는 동아리 담당교사가 타인의 권한으로 접속, 소속 동아리 학생들의 학생부를 추가 기록했다.

  ▶출처: 유은혜 의원실

평가방식 한계, 검증 강화·시스템 개선 필요
장애인등록증 위조는 대학의 평가방식 한계가 드러난 대목이다. 대학들이 일일이 제출 서류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려대 관계자는 "현재 대학과 (장애인 등록증) 발급 기관이 원천적으로 (장애인 등록증 진위 여부를)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학생부 조작도 마찬가지다. 대학들은 수많은 학생들의 학생부가 사실인지, 거짓인지 하나하나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교사가 작성한 학생부를 신뢰한다. 이는 역으로 교사가 마음 먹고 학생부를 조작한다면, 대학 입장에서는 속수무책이다.

그렇다면 장애인등록증 위조와 학생부 조작을 방지할 대책이 무엇일까? 우선 장애인등록증 위조 방지를 위해 대학의 서류 검증 절차가 강화돼야 한다. 실제 일부 대학들은 장애인등록증 원본을 받은 뒤 원본의 진위 여부까지 확인하고 있다. 아주대 관계자는 "정부24(정부 서비스 통합 포털 사이트)에서 장애인등록증이 원본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애인등록증 위조 방지를 위해 서류 검증 절차가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사진은 중앙대가 2018학년도 수시모집 제출 서류를 접수하고 있는 모습(대학저널 자료 사진)

학생부 조작 방지를 위해서는 학생부 작성 시스템이 개선돼야 한다. 유은혜 의원은 "학생부 무단 정정이나 조작 사례가 적발되자 교육부는 학생부의 접근 권한, 수정 권한 및 횟수 등이 적절한지 확인할 수 있도록 나이스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학생부의 지나친 정정이나 조작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서 "교사의 평가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 항목에 객관적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도록 하거나, 교사 공동기록을 통해 학생부를 관리하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도 높은 처벌과 교사들의 노력도 요구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공교육과 입시 근간을 흔드는 조작 사건은 어떠한 이유든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해당 교원들에 대해 교단 퇴출을 포함한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할 "이라며 "제도 개선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학생을 학업성적에 따라 차별하지 않고, 성적평가를 투명하고 엄정하게 처리하며, 각종 기록물을 정확하게 작성·관리하겠다는 교육자적 양심과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수시모집 축소와 정시모집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 중심의 수시모집이 확대되면서, 이른바 현대판 음서제도가 등장했다는 지적이다. 이종배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대표는 "대입제도는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이 판을 치면서 음서제로 변질되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공정한 기회가 사라지고 있다"면서 "대입제도는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학생부종합전형이 판을 치고 있으며, 공정한 대입정시는 대폭 축소됐다"고 비판했다.


https://storyfunding.kakao.com/m/project/18613
https://storyfunding.kakao.com/episode/32841
IP : 221.150.xxx.17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퓨쳐
    '17.12.29 10:20 AM (114.207.xxx.67)

    이런 전형을 더더 확대하겠다 공언하는 물건의 정체는 뭘까?

  • 2. ㅇㅇㅇ
    '17.12.29 10:21 AM (114.200.xxx.61)

    갑자기 나경원 딸 생각나네

  • 3. 우리들의 자화상
    '17.12.29 10:22 AM (182.216.xxx.37) - 삭제된댓글

    저렇게 시작부터 부정입학한 애들이 사회에 나오면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또 다시 부정한 짓을 저지릅니다. 사회 곳곳이 안 썩은곳이 없는 우리들의 자화상입니다.

  • 4. ...
    '17.12.29 10:35 AM (182.209.xxx.45)

    수시 학생부전형 찬성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여기도 찬성하시는 분들 꽤 많던데....

  • 5. 퓨쳐
    '17.12.29 10:42 AM (114.207.xxx.67)

    문재인과 이해찬이 하는 거니 무조건 물개박수.

    매국이 멀리 있는 게 절대 아니라니까.

  • 6. 학종이 문제가 아니라
    '17.12.29 10:48 AM (14.39.xxx.191)

    부모가 교사로 있는 학교에 자식이 입학 못한다고 들었는데
    2건 다 그런 경우네요.
    이것부터 엄금해야겠어요.

  • 7. 교육부 장관 좀 잘라라
    '17.12.29 11:17 AM (124.199.xxx.14)

    개인의 생각으로 수많은 젊은이들 인생을 망치지말고

  • 8. ...
    '17.12.29 11:41 AM (218.147.xxx.79)

    부모가 교사로 있어도 아이가 입학하던데요.
    저희애 고등학생인데 엄마는 교사, 아이는 학생이에요.
    단 아이 학년 수업은 못맡는다고 하더군요.
    그 애가 중학교때 폭력으로 유명했던 애라 이 동네에선 나름 유명(?)한데 그래서 애 관리하려고 엄마 학교로 넣은거냐 그런 말도 돌앗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3238 SBS 보는데 김국진 - 강수지 사이가 무척 어색해보이죠? 27 d 2017/12/30 22,564
763237 고등학교 전학 해보신분 어떻게 할까요? 4 저기 2017/12/30 1,369
763236 등기부상 건물 소유자랑 채무자가 다른건 왜 그런가요? 4 건물 2017/12/30 1,460
763235 고1딸이 강아지 키우게 해달라고 난리난리를 쳐요 34 ㅇㅇㅇ 2017/12/30 4,425
763234 요즘 미용실 파마 20만원씩 하나요? 5 비싸다 비싸.. 2017/12/30 4,423
763233 이런말 하는건 왜일까요 3 ........ 2017/12/30 1,157
763232 요샌 인강과 책이 참 좋네요. 5 .... 2017/12/30 2,423
763231 연근조림에 육수넣으면 안되나요!???? 6 요리큰일 2017/12/30 747
763230 해독쥬스는 간에 해로울까요? 8 모모 2017/12/30 3,391
763229 여성계가 홍준표를 건드리지 않는 이유! 6 쥐구속 2017/12/30 2,448
763228 중앙대와 성균관대 16 고민 2017/12/30 5,348
763227 영화 1987 보고 왔어요.(노스포) 12 .... 2017/12/30 2,670
763226 국가검진이요 4 ㅇㅇ 2017/12/30 1,636
763225 육아하면 확실히 늙는듯요... 6 ... 2017/12/30 3,237
763224 12시 이후 서울역에서 인천 가는 버스 있을까요? 3 으앙 2017/12/30 843
763223 특정 직장 동료들 돌아가며 욕하는 동료들 3 이타 2017/12/30 1,575
763222 기운 차리는데 홍삼? 전복 10 기운없다 2017/12/30 1,960
763221 통일부 TF 개성공단 중단, 박근혜 독단 결정"이라더니.. 6 ........ 2017/12/30 1,376
763220 피부화장하지 않고 외출할 때 3 pkyung.. 2017/12/30 3,280
763219 유승민 제대로 다시보기 4 고딩맘 2017/12/30 1,399
763218 사람들은 왜 방송국시상식에 관심이많나요? 14 ... 2017/12/30 2,527
763217 중국에 태양광 진짜 실생활에 이용되나요? 5 중굳 2017/12/30 1,023
763216 스브스 연예대상 추자현 사회 잘 보네요 7 ... 2017/12/30 4,770
763215 중국 성씨와 한국 성씨 순위에 대한 질문 7 왕서방 2017/12/30 1,770
763214 베스트에 그 언니요...깨진모임 20 tree1 2017/12/30 20,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