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탄고지를 준비하면서

저탄고지를 조회수 : 1,710
작성일 : 2017-12-22 15:52:19
저탄고지의 핵심을 보니까
적게 먹고 설탕을 없애고 탄수화물을 (점점) 줄여가는 식사를 평생해야하는다는건데..
그래도 평생하기에는 별 무리가 없는 방법인것 같네요

핵심은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지마라..이네요. 단백질과 지방은 혈당지수가 낮아서 환영..하지만
많이 먹지말것.. 나이에 따라 당지수도 달라지고.. 흰쌀밥과 찹쌀,가래떡, 백설기,설탕,보리,감 순서로 혈당지수가 가장 높네요.

논문중에 재미있는 논문이 있어 소개합니다. 시간있으신분..좀 더 보충해서 요약해주세요.

--탄수화물 섭취 수준이 대사성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밝혀지면서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통해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높은한국 성인에서 개인의 탄수화물 섭취를 질적, 양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DGI와 DGL을 산출하여, DGI, DGL과 당뇨, 심혈관질환, 비만 등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또한 이를 활용한 적정한 탄수화물의 섭취 방안을 제시할 수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 상용 식품의 혈당지수 (Glycemic Index) 추정치를활용한 한국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산출
--https://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24KJN/kjn-45-80.pdf

--1) 본 연구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653개의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해 GI 값을 설정하였다. Atkinson 등이2008년에 발표한 international table을 기본으로 하고, 그 외국내외 연구들에 발표된 GI 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총 653개 식품 중 국내외 자료와 일치한 식품은 149개 (22.8%), 유사한 식품의 GI 값으로 대체한 것은 60개 (9.2%), 0으로 판단된식품은 444개 (68.0%)였다.

 2) 본 연구에서 구축한 GI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DGI와 DGL을 계산한 결과, DGI와 DGL의 전체 평균은 60.0, 182.5였다. 남자의 DGI 평균은59.8, 여자는 60.2, 남자의 DGL 평균은 203.4, 여자는 169.2였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 다른 DGL 분포를 보이며, 여자의 DGL분포가 낮게 나타났다.

 3) 연령 그룹에 따른 평균 DGI의 경우, 20~29세는 57.8, 30~49세는 58.1, 50~64세는 60.6, 65세 이상은 63.7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DGL 역시 연령 그룹에 따라 166.1, 180.4, 193.0, 182.6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 

4) 각 식품군별 평균 GI 값을 살펴보면 곡류 및 그 제품은72.6, 감자 및 전분류는 67.7, 당류 및 그 제품은 65.7, 과실류는45.8로 이들은 평균 GI 값이 높은 식품군에 해당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은 곡류 및 그 제품에서 DGL의 85.3%를 얻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과실류에서 5.8%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5) DGI에 대한 기여 식품으로는 흰쌀이 66.7%로 가장 높은기여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찹쌀, 가래떡과 백설기, 설탕, 보리, 감 순이었다. 대부분 곡식류와 면류, 과일류가 DGI에 높은기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P : 121.131.xxx.12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0637 경인교대와 지방교대 질문요 17 고3맘 2017/12/23 4,095
760636 공업사에서 동의없이 차를 먼저 수리해버렸어요 4 사고났는데 2017/12/23 1,550
760635 전세 계약서 2 부동산 2017/12/23 543
760634 점보는 곳과 타로, 사주보는 곳 중 어디가 더 맞나요? 1 ..... 2017/12/23 1,712
760633 여선웅 구의원 트윗/노통에 대한 사자명예훼손 6 미친경향새끼.. 2017/12/23 841
760632 지금 EBS에서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해요~ 1 좋은 영화 2017/12/23 1,041
760631 일하기가 너무 힘들고 지칩니다. 13 제... 2017/12/23 5,798
760630 크리스마스연휴 계획이 어떠신지요? 9 2017/12/23 2,630
760629 건강검진 위내시경후 속쓰림 증세에 대하여 10 건강검진 2017/12/23 9,233
760628 몸에 자신도 모르게 난 점.있으세요? 6 ll 2017/12/23 2,565
760627 기레기가 503에겐 헤드라인 어찌할지도 여쭙네요 2 기레기박멸 2017/12/23 1,046
760626 이 수능점수표가 정시얘기하는건가요 1 ㅇㅇ 2017/12/22 1,680
760625 호르몬약의 신비 3 여성호르몬 2017/12/22 3,595
760624 좋았고 인상적인 국내호텔 있으세요? 27 ... 2017/12/22 5,152
760623 서민의 문빠 논쟁을 올바로 이해하기 27 ㅇㅇ 2017/12/22 1,812
760622 다스뵈이다 5회 올라왔어요 15 불금 2017/12/22 1,637
760621 배에서 맥박이 느껴져요 ㅠㅠ 복부대동맥류 아시는분 10 걱정 2017/12/22 11,461
760620 교원평가 끝난후 담임교사에 대한 건의, 또는 불리함을 줄 수 있.. 1 ..... 2017/12/22 1,385
760619 최승호..mbc좀 잠깐 다녀올께 4 뉴스타파 2017/12/22 2,215
760618 호칭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9 ..... 2017/12/22 1,054
760617 나혼자 산다 합니다. 우울하신분 tv앞으로~~~ 14 햇살 2017/12/22 6,503
760616 알쓸신잡 유희열이 보는 강남스타일의 성공요인 1 맞네맞어 2017/12/22 3,501
760615 새벽4시반에 택시타야 하는데, 카카오택시 호출하면 보통 얼마만에.. 1 ㅇㅇ 2017/12/22 6,267
760614 (딸 외모 꾸며주는 거) 딸 엄마들 대부분 이런가요? 11 .... 2017/12/22 6,890
760613 수시광탈후 애 아빠의 반응 44 좌절 고3엄.. 2017/12/22 19,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