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탄고지를 준비하면서

저탄고지를 조회수 : 1,710
작성일 : 2017-12-22 15:52:19
저탄고지의 핵심을 보니까
적게 먹고 설탕을 없애고 탄수화물을 (점점) 줄여가는 식사를 평생해야하는다는건데..
그래도 평생하기에는 별 무리가 없는 방법인것 같네요

핵심은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지마라..이네요. 단백질과 지방은 혈당지수가 낮아서 환영..하지만
많이 먹지말것.. 나이에 따라 당지수도 달라지고.. 흰쌀밥과 찹쌀,가래떡, 백설기,설탕,보리,감 순서로 혈당지수가 가장 높네요.

논문중에 재미있는 논문이 있어 소개합니다. 시간있으신분..좀 더 보충해서 요약해주세요.

--탄수화물 섭취 수준이 대사성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밝혀지면서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통해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높은한국 성인에서 개인의 탄수화물 섭취를 질적, 양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DGI와 DGL을 산출하여, DGI, DGL과 당뇨, 심혈관질환, 비만 등과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또한 이를 활용한 적정한 탄수화물의 섭취 방안을 제시할 수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 상용 식품의 혈당지수 (Glycemic Index) 추정치를활용한 한국 성인의 식사혈당지수 산출
--https://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24KJN/kjn-45-80.pdf

--1) 본 연구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653개의한국인 상용 식품에 대해 GI 값을 설정하였다. Atkinson 등이2008년에 발표한 international table을 기본으로 하고, 그 외국내외 연구들에 발표된 GI 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총 653개 식품 중 국내외 자료와 일치한 식품은 149개 (22.8%), 유사한 식품의 GI 값으로 대체한 것은 60개 (9.2%), 0으로 판단된식품은 444개 (68.0%)였다.

 2) 본 연구에서 구축한 GI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DGI와 DGL을 계산한 결과, DGI와 DGL의 전체 평균은 60.0, 182.5였다. 남자의 DGI 평균은59.8, 여자는 60.2, 남자의 DGL 평균은 203.4, 여자는 169.2였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 다른 DGL 분포를 보이며, 여자의 DGL분포가 낮게 나타났다.

 3) 연령 그룹에 따른 평균 DGI의 경우, 20~29세는 57.8, 30~49세는 58.1, 50~64세는 60.6, 65세 이상은 63.7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DGL 역시 연령 그룹에 따라 166.1, 180.4, 193.0, 182.6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 

4) 각 식품군별 평균 GI 값을 살펴보면 곡류 및 그 제품은72.6, 감자 및 전분류는 67.7, 당류 및 그 제품은 65.7, 과실류는45.8로 이들은 평균 GI 값이 높은 식품군에 해당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은 곡류 및 그 제품에서 DGL의 85.3%를 얻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과실류에서 5.8%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5) DGI에 대한 기여 식품으로는 흰쌀이 66.7%로 가장 높은기여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찹쌀, 가래떡과 백설기, 설탕, 보리, 감 순이었다. 대부분 곡식류와 면류, 과일류가 DGI에 높은기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P : 121.131.xxx.12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1979 B형 간염 정보..'kb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서 하네요..... 3 ㄷㄷㄷ 2017/12/26 1,361
761978 면세점 할인도 크리스마스 때까지 인가봐요...ㅠㅠ 1 ... 2017/12/26 654
761977 작은 사람들이 장수하나요? 3 궁금 2017/12/26 1,403
761976 가슴답답! 중딩과 크리스마스어떻게 보내셨나요? 17 00 2017/12/26 2,046
761975 오늘부터 새로운 뉴스데스크 9 드디어 2017/12/26 1,208
761974 기숙사에 갖고 가면 좋은것들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특목고 2017/12/26 1,270
761973 피부과 간판달고하는 의원 ㅠㅠ 9 2017/12/26 2,084
761972 가구 추천 부탁드려요 2 동글밤 2017/12/26 790
761971 주병진 깐깐할거 같지 않나요? 8 .. 2017/12/26 2,530
761970 집값 떨어지나봐요. 5 .. 2017/12/26 5,090
761969 책보다 웹툰이 더 재밌나요? 2 ? 2017/12/26 592
761968 한국당 UAE 간다네요? 38 ** 2017/12/26 3,099
761967 배정된 고등이 멀어서 통학 시켰던 분~ 4 일반고 배정.. 2017/12/26 996
761966 변상욱대기자..삼성언론재단에 대해.. 5 삼성장학생 2017/12/26 965
761965 이대 합격할까봐 걱정인 분.. 8 ㅇㅇ 2017/12/26 5,338
761964 자녀 액취증 13 부모 2017/12/26 4,071
761963 요즘 남편과 볼 만한 전시, 공연 있나요? 2 .. 2017/12/26 547
761962 누군가에게 상처받은 말을 들으면 잊혀지시나요? 4 qqq 2017/12/26 1,310
761961 부산 해운대나 광안리에 전망 좋고 깨끗하고 비싸지 않은 숙박업소.. 10 궁금 2017/12/26 2,529
761960 양부모에 맞아 죽은 6명의 한인 입양아 2 샬랄라 2017/12/26 2,852
761959 저도 달순이 한동안 못봤는데 8 .. 2017/12/26 1,799
761958 이니 하고 싶은거 다해~ 12.25(월) 3 이니 2017/12/26 405
761957 집 계약서 말인데요 1 잘 몰라서요.. 2017/12/26 582
761956 밤조림 만들었는데 뭐 해 먹나요? 6 ... 2017/12/26 808
761955 목이부었는데 운동가도 될까요? 8 살빼자^^ 2017/12/26 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