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식하기

소식하기 조회수 : 1,824
작성일 : 2017-12-15 16:59:06

회사다니면서 점심 먹을때

다이어트 중에 도시락을 싸갖고 다니면서 먹었는데
위가 줄어들었는지 많이 못먹겠어요

그런데 이제는

날이 추워서 뜨끈한 국물이나 따뜻한 음식을 먹어야 할거 같아서

예를 들어 포장해와서 먹으면

둘이 쌀국수하나 시키고, 볶음밥 하나 시키고 월남쌈 1개 포장해와서 먹는데요

쌀국수도 양이 많고 볶음밥도 그렇고, 월남쌈도 반자른거 3개씩은 먹어야 해서

양이 많다고 생각이 되요

살쪗을떄는 몰랐는데, 다이어트 하면서 음식을 조금씩 먹다보니

밖에서 먹는 음식 1인분이 양이 많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양 적으신 분들은 나온 음식의 반정도씩 남기시나요?

하지 말아야 할 죄책감이 들어 다 먹게 되니 배불러서 괴롭기도 하고..

아직 빼야 할 살도 많은데...

적게 먹어야 하는데 아깝다고 남은거 다 먹게 되는 저.

그래서 저녁은 소화도 시킬겸.. 안먹고 있긴해요

점심을 어떻게 먹는게 좋을까요?

IP : 121.160.xxx.14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2.15 5:13 PM (121.136.xxx.215)

    다시 도시락을 싸갖고 다니며 드시던지, 외식하실거면 다음 중에서 택1 하시면 되요. 죄책감을 더는 대신 배불러서 괴로우시던지, 반만 먹어서 속이 편한 대신 죄책감 또는 아깝다는 마음을 가득 안고 계시던지. 양손에 원하는 떡을 모두 쥐고 있을 수는 없어요. 선택은 님의 몫.

  • 2.
    '17.12.15 5:17 PM (211.114.xxx.77)

    아무래도 밖에서 먹는 음식은. 밥.국물.그리고 반찬. 기본으로 내놔야 하니까.
    보통은 그걸 다 먹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나온거는 먹게 되잖아요.
    그래서 저는. 일단 밥을 절반을 덜어요. 그리고 국물류도 국물은 말고 건더기만 적당히 덜어서 먹고.
    근데. 문제는 반찬. 맛있으면 이것 저것 집어먹게 되서...
    신경쓰면 그래도 양 조절을 하기는 하는데. 한순간 정신줄 놓으면 막 먹게되서.
    점심을 먹되. 덜어먹고. 양을 생각해가면서. 적당양을 덜어서 내 양만큼만 먹는게 젤로 좋은 방법인듯요.

  • 3. ..
    '17.12.15 5:34 PM (121.160.xxx.148)

    여직원이랑 저 둘이 식사를 하는데
    그동안 제가 다이어트 한다고,, 여직원도 나가서 맛있는것도 못먹고,,ㅜㅜ
    점심에 사무실이 춥기도 하고 그래서 나가서 먹었던건데...
    음님 방법대로 해봐야겠어요
    댓글 감사드려요~

  • 4. 근데
    '17.12.15 6:24 PM (211.48.xxx.170)

    양도 적은데 일인당 메뉴 하나씩만 시키시지 그러셨어요.
    저희 식구들 요즘 체중이 자꾸 늘어서 왜 그런가 생각해 보니
    예전엔 라면 먹으면 딱 라면만 먹고 말았는데
    요즘은 라면이면 김밥 한 줄, 비빔국수면 만두 한 접시, 피자시키면 스파게티 등등 식당 가서도 일인 일메뉴에 파전 하나라도 더 시켜서 먹고 있더라구요
    양도 적으신데 두 분이서 메뉴 세 개 시키는 거 보고 걱정되어 주제랑은 상관 없지만 오지랖 떨고 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1733 토지공개념으로 가이드 내려온 듯 38 옵션충들총집.. 2018/03/22 2,280
791732 인터넷으로 옷 사면 안좋은 점 7 안좋다 2018/03/22 3,873
791731 구속 되기 딱! 좋은 날씨다.. 날씨도쾌청이.. 2018/03/22 327
791730 후진국 주재원 가정입니다. (영어외에 중국어/프랑스어 과외를 받.. 11 ㅇㅇㅇ 2018/03/22 4,739
791729 정치적 선택의 바로미터 2 2018/03/22 401
791728 부동산카페며 기타 카페들 가보니 대단합니다. 20 .... 2018/03/22 5,401
791727 코스트코 스트링치즈 2 치즈 2018/03/22 1,681
791726 6살 2살 아들들 번갈아 아프지만 아들말에 또 힘냅니다 1 사랑둥이들 2018/03/22 702
791725 요리할때 깨소금이 정확히 뭐예요? 15 .. 2018/03/22 3,075
791724 나이가 들어감을 TV를 보면서 느끼네요 3 깨고싶다 2018/03/22 2,309
791723 외국살며 보게되는 한국사람들의 모습 70 원글 2018/03/22 23,443
791722 김원장 기자의 토지 공개념 설명 4 명쾌 2018/03/22 1,097
791721 융통성없고 눈치없는 아이..조언부탁 드려요.. 14 자식교육어렵.. 2018/03/22 4,793
791720 오래된 매트리스...토퍼깔까요, 바꿔야 할까요 7 궁금이 2018/03/22 4,312
791719 인테리어 공사 중 간편 간식으로 넣을만 한 거? 5 공사 간식 2018/03/22 7,015
791718 아이 횡단보도교통사고합의금 적당한지 조언부탁드려요 5 미니 2018/03/22 4,102
791717 개헌안에 국회가 동의하는 절차가 필요한거죠? 2 ? 2018/03/22 470
791716 주꾸미 알도 드시나요? 5 2018/03/22 1,454
791715 애아픈데 남자는 정말 도움안되네요 7 ... 2018/03/22 1,266
791714 고2 딸이 82년생 김지영 책 사달라는데... 37 2018/03/22 6,377
791713 페트라고 표시된 용기는 페트병이랑 같이 버려야 할까요? 2 재활용어렵네.. 2018/03/22 543
791712 핸드폰케이스 이름 좀 찾아주세요!! 2 핸드폰 케이.. 2018/03/22 546
791711 미국대학 어플라이 하신분 6 2018/03/22 1,292
791710 친구 뒤만 졸졸 따라다니는 초등 1학년 남아. 괜찮을까요? 4 해피베로니카.. 2018/03/22 1,905
791709 자잘한거 시키는 남편 3 ㅁㅁㅁㅁ 2018/03/22 1,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