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처음에 보자마자 무슨일하냐고 묻는 사람들 어때요?

갸우뚱 조회수 : 7,642
작성일 : 2017-12-11 02:19:08

처음에 보자마자

무슨일하냐고 직업묻는 사람들 보면 어때요?



IP : 122.36.xxx.122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퓬수
    '17.12.11 2:24 AM (223.62.xxx.95)

    푼수같죠 뭐
    뭐가 그리 궁금한 지...
    제일 푼수는 남편은 뭐하냐고 묻는 거
    그리고 자가냐 전세냐 묻는 거

  • 2. 우리나라 사람들
    '17.12.11 2:25 AM (59.11.xxx.175)

    오지랖 쩔죠

  • 3. 근데
    '17.12.11 2:27 AM (108.161.xxx.121)

    저는 외국인데 의외로 여기선 그질문을 초면에 많이 하더라구요. 우리나란 나이는 물어도 그런건 실례라고 생각하는데 얘네는 나이는 안물어보는데 직업은 꼭 물어보더라는...문화차이인듯 해요. 어느걸 더 프라이빗하게 보느냐하는...

  • 4.
    '17.12.11 2:44 AM (122.34.xxx.30)

    서양 사회에서는 상대의 나이, 결혼 여부, 출신 학교 따위는 궁금해하지도 묻지도 않지만
    무슨 일을 하는가는 첫만남에서 대뜸 나오는 질문이에요.
    상대의 재능과 개성, 가치관, 자아실현 정도, 삶의 질을 알 수 있는 질문이잖아요.

  • 5.
    '17.12.11 2:47 AM (122.34.xxx.30)

    ㄴ 그 질문의 요지는 상대와 맺는 관계 설정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것.
    누구도 일회성으로 스쳐지나가는 존재의 직업을 궁금해하진 않죠.

  • 6. ㅇㅇ
    '17.12.11 3:41 AM (175.223.xxx.99)

    계속 만날거면 직업이 궁금하지않나요
    명함 나누면 직업 다 있고 아니면 물어보기라도 해야죠

    잎으로 다시 볼 사이 아니면 직업 물을 필요는 없죠

  • 7. 뭘 또 갸우뚱인가요?
    '17.12.11 3:49 AM (93.82.xxx.6)

    사회생활 안해보셨어요? 첫인사에 명함 돌리는게 기본인데.
    서양에서도 첫만남에 직업 당연히 물어보죠.

  • 8. ㅇㅇ
    '17.12.11 4:24 AM (121.168.xxx.41)

    나이는 부끄럽지 않지만 직업은 부끄러울 수 있지 않나요
    직업 들으면 이 사람의 경제적 수준, 지적 소양.. 이런 게 대충
    잡히잖아요.

    나이 물어보는 것보다 직업 물어보는 게
    더 프라이버시에 접근하는 거 같아요

  • 9. ...
    '17.12.11 4:27 AM (175.205.xxx.198) - 삭제된댓글

    그럼 공부를 열심히 하든지요...

  • 10. 싫어요
    '17.12.11 6:10 AM (223.62.xxx.206)

    예전에 병원에 입원했을 때
    옆환자 담당의사가 그랬어요.
    그녀를 보더니 초면에 대뜸(병증을 묻기도 전에)
    "하는 일이 뭐요?"
    "고등학교에서 영어가르쳐요."
    "어어~ 선새앵~"(얕잡아 보는 말투)

    의사가 환자 치료하는데 직업을 알아야 하나요?
    환자 증상보다는 직업,신분을 알아
    짓밟을지 굽신거릴지 정하는 게 훨씬 중요했던 거죠.

  • 11.
    '17.12.11 6:29 AM (220.90.xxx.232)

    선생 특히 여자선생이면 얕잡아볼 직업은 아닌데요? 의사가 하는일을 물어본건 그 병증이 특정 자세를 많이하는 직업군과 관련있어 그리 물어본것 아닐까요?

  • 12. ㅌㅌ
    '17.12.11 6:38 AM (42.82.xxx.4)

    의사말투가 문제네요

  • 13. 겪어보니
    '17.12.11 6:38 AM (211.224.xxx.63)

    그런 사람 대부분 배려심이 없고 공감능력이 부족해요
    힘들게 산 경험이 없고 자기 직업이 괜찮기때문에
    이런 질문하면 상대방이 난처해한다는 자체를 모르는거예요

    그것과 비슷한 질문
    어느대학 나왔어요?죠

  • 14. 저도
    '17.12.11 7:06 AM (211.201.xxx.168)

    예전엔 직업 묻는게 실례로만 알다가
    미국가서 살게되었을때 스스럼없이 첫만남에서 묻고 또 대답하는 환경에서 오래 살다보니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더라구요.

    위에서 말씀하셨듯이 명함돌리는게 자연스럽듯이요.

    문화에 따라 차이도있고
    또 너무 터부시할 필요는 없는것 같기도 해요.

    병원에서도 종종 특정직업군이 걸리기쉬운 병들이 있으니 물어볼수 있을것같아요.
    의사쌤 말투로인해 불쾌하실수도 있겠지만요.

  • 15. jaylu
    '17.12.11 7:23 AM (187.192.xxx.223)

    저 외국사는데 여기는 초면에 부모님 직업도 잘 물어봐요 ㅎ
    처음에는 이걸 왜 물어보지? 하고 좀 놀랐는데 이제는 적응됐어요.

  • 16. 근데
    '17.12.11 7:25 AM (115.136.xxx.173) - 삭제된댓글

    나이가 더 싫죠.
    늙어가는 거 확인 사살도 아니고...
    연예인도 40만 넘으면 인터넷 프로필에 생년 잘 안나와요.

  • 17. 근데
    '17.12.11 7:34 AM (175.209.xxx.57)

    초면에 물어볼 수 있는 건 그럼 뭐예요?
    커피 좋아하세요? 무슨 색깔 좋아해요? 티비 프로 뭐 보세요?
    이런 질문도 싫으시죠?
    뭔들 좋을까요.
    사람을 만나지 마세요 아얘.

  • 18. ...
    '17.12.11 7:36 AM (116.127.xxx.225) - 삭제된댓글

    나이나 학벌이나 종교나 결혼 여부나 이런 건 묻지도 않고 궁금하지도 않지만 일회성 만남이 아니라면 직업은 잘 물어봐요. 그걸 물어봐야 할 얘기가 생기지 않나요? 그럼 무슨 얘기를 하나요? 날씨 얘기를 하나요, 정치 얘기를 하나요.

  • 19. ㅇㅇ
    '17.12.11 7:41 AM (121.168.xxx.41)

    직업이 없는 사람은 나가 죽어야겠네요

  • 20. Gg
    '17.12.11 7:47 AM (175.212.xxx.204) - 삭제된댓글

    외국에선 다 초면에 물으면 그건 외국에서나 그런거고, 명함두는 건 돌리고 싶어 먼저 주는거고, 상대방이 기분 날 수도 있는 걸 굳이 묻는 건 실례죠.
    첨부터 뭘 물어봐야 하나요. 친해지고 싶으면 대화하면 되고 그러다보면 말하고 싶으면 다 나와잖아요.

  • 21. Gg
    '17.12.11 7:49 AM (175.212.xxx.204)

    외국에서 초면에 물으면 그건 외국에서나 그런거고, 명함주는 건 돌리고 싶어 먼저 주는거고, 상대방이 기분 나쁠 수도 있는 걸 굳이 묻는 건 실례죠.
    첨부터 뭘 물어봐야 하나요. 친해지고 싶으면 대화하면 되고 그러다보면 말하고 싶으면 다 나오잖아요.

  • 22. ㅈㅅㄷ
    '17.12.11 8:25 AM (223.62.xxx.189)

    물꼬를 뭘로 트냐고요.
    무슨 대화여야 안 프라이빗한데?
    열등감 덩어리들

  • 23. 그게요
    '17.12.11 9:01 AM (61.84.xxx.134)

    외국에선 초면에 나누는 얘기예요. 인사처럼~
    맨처음 이름 묻고 하는 일을 묻는거죠.
    그게 인간관계의 정상적인 소통같아요.

    울나라는 이름도 안묻고 너 몇살이야?이거 좋아하죠?
    넘 웃기는 행태죠.

  • 24. ...
    '17.12.11 9:17 AM (223.38.xxx.250) - 삭제된댓글

    직업 없으면 없다 하면 되지 뭘 나가 죽어요
    사람이 뭘하고 사는지 그거야 말로 자기 정체성인데
    만나서 뭐하면서 사는지 묻는 건 지극히 자연스럽다 생각해요

  • 25. ..
    '17.12.11 10:26 AM (210.178.xxx.203) - 삭제된댓글

    외국이 초면에 직업은 더 자주 쉽게 물어봐요.

    나이나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질문은 정말 나중에 물어보거나
    아예 안 물어보기도 하는데..
    이상하게 직업은 초면에 진짜 빨리 물어봐요 ㅋㅋ

  • 26. 우리나라에서
    '17.12.11 11:24 AM (183.96.xxx.122)

    이름보다 나이를 먼저 묻는 건 그 사람을 부르는 데 이름이 꼭 필요하지 않아서예요. 나이 따지고 형님, 동생 하면 됨.

  • 27. 원글녀 ㅎㅎㅎㅎ
    '17.12.11 11:29 AM (122.36.xxx.122)

    봉사활동 갔을때 만난 나이든 남자분이

    밥먹는데 대뜸 저보고 무슨일 하냐고 묻더라구요

    사회생활에선 당연히 명함 나누는게 기본 에티켓이고 제가 말한곳은 사적인 봉사활동이고

    일회성 봉사인데 그러니 하는 말이죠

  • 28. 원글녀 ㅎㅎㅎㅎ
    '17.12.11 11:29 AM (122.36.xxx.122)

    명함을 돌릴만한 분위기나 상황이 아니었어요

    그러니 엉 하는거죠 ㅎ

  • 29. 전..
    '17.12.11 12:32 PM (220.123.xxx.111)

    나이 학력, 가족. 뭐 이런거보다

    직업이 훨씬 더 궁금해요.
    일하는 거 같은데 무슨 일하나..

  • 30. 그려려니
    '17.12.11 6:52 PM (182.239.xxx.197)

    하죠 직업 묻는게 잘못된건가요???

  • 31. 열등감도
    '17.12.11 10:30 PM (178.191.xxx.74)

    별게 다 갸우뚱이네 참 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79673 SBS 스켈레톤 윤성빈 3차 시작했어용 3 기레기아웃 2018/02/16 1,594
779672 이명박 재산관리인 구속이ㅎㅎㅎ 11 ㄱㄴㄷ 2018/02/16 2,914
779671 文대통령, 中국민에 설날 인사…"양국 함께할 일.. 9 ........ 2018/02/16 1,234
779670 르몽드, 북한이 순진한 한국 이용? 틀린 생각 1 기레기아웃 2018/02/16 1,592
779669 수호랑 마스코트 3 민낯 2018/02/16 1,720
779668 명절마다 아프다고 누워있는 남편 꼴보기싫어요 11 ... 2018/02/16 4,207
779667 남편/아들이 처가와(가)서 일만 실컷 했다더라.. 하는 건? 9 ㅂㅈㄷㄱ 2018/02/16 3,235
779666 부모님께 세배는 큰절 드리면 되죠? 6 갑자기 헷갈.. 2018/02/16 1,455
779665 마크제이콥스나 마크 바이 신발 사이즈 잘 아시는 분 2 김ㄹ 2018/02/16 1,045
779664 강릉 올림픽파크(평창경기장) 다녀왔어요. 6 지기 2018/02/16 2,612
779663 남친의 선물 때문에 싸웠어요 조언 부탁드려요 93 .. 2018/02/16 24,123
779662 " '장모님'대신 '어머님'으로 부르세요" 4 내말이 2018/02/16 3,051
779661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지만 도전해볼 기회가 주어졌다면 2 선택 2018/02/16 1,220
779660 한겨레 만평 뒤늦게 보고 눈물이 펑펑 - 김대중 노무현.. 8 눈팅코팅 2018/02/16 3,370
779659 음력설의 수난사 1 세상에 2018/02/16 1,162
779658 해외에서 1 질문 2018/02/16 675
779657 프랑스 국민 여배우 이자벨 아자니 최근,, 19 ㅇㅇ 2018/02/16 24,291
779656 영어권 국가 자격증 취득 2018/02/16 709
779655 부부중 한명이 미국 영주권있는경우 가족이민이 되나요? 8 ... 2018/02/16 3,874
779654 긴머리해본지가... 1 달팽이호텔 2018/02/16 1,197
779653 살려달라외치면서 깼어요. 댓글 좀 부탁드려요 12 혼비백산 2018/02/16 3,742
779652 시댁인데 추워서 한숨도 못자고 있어요. ㅜㅜ 8 우풍 2018/02/16 5,794
779651 피곤한디 시집이라 잠이 안와요 3 ㅠㅠ 2018/02/16 2,259
779650 미혼인데 엄마가 창피하다고 오지 말라고 해서 굶고 있어요 62 2018/02/16 19,418
779649 명절은 누군가의 희생으로 치루는데 4 잠이 안와서.. 2018/02/16 2,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