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시 제도 진짜 문제 많네요..

…. 조회수 : 1,993
작성일 : 2017-11-21 17:07:32
전수 조사한다고 해도 저렇게 설대 교수처럼 교묘하게
전문가가 세밀히 조사하지 않으면 모를 정도로 관여하면
그걸 누가 밝혀내나요..

교수아들 교수되고
판검사 아들 판검사되고

진짜 21세기에 음서제라니

독재정권이라도 개천에 용나던 시절이 있어서 노무현 문재인 같은 대통령을 
가질 수 있었던 게  가능했던 걸 잊지 말아야 할텐데

이걸 잊는다면 앞으론 정유라 같은 애들이 대통령 되겠네요
IP : 90.217.xxx.8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7.11.21 5:25 PM (116.125.xxx.9)

    수시확대, 수능등급제 --- 노무현 작품이란것
    수시 첫 시행은 김대중인지 노무현지는 헷갈리구요
    아마 김대중일거예요

    노무현 대통령은 어릴땐 마냥 좋은 사람인데 마녀사냥당한다 생각했는데

    사법고시폐지, 대입수시, 수능등급제 이거만 봐도
    당시 3~40대들이 반대할만도 했겠다 싶어요
    제가 그 나이되어보니...

    저 어릴때 386 운동권세대란 분들이 현재 40후반50대됐을거고 교육부니 정치계니 쫙 깔려서 그들 주장대로 되어가는거같아요
    그들 세대땐 주입식 교육에 괜한 반발심이 있던거같아요

    서태지와 아이들의 교실이데아도 노래가사 자체가 괜한 반발심인데 당시엔 모두 수긍하는 분위기
    입시지옥이라면서...

    그 입시야 말로 공평한거고
    누구나 노력하면 출세할수 있던거였는데
    그걸 모르고...

    저는 어렸고 당시 어린 학생였지만
    1도 이해할수없는 노래였어요
    노력하는 자가 명문대가고 출세하는게 뭐가 잘못이야?
    우리쌤들이 공부하라고 다그치는게 우리 잘되라고 하는건데 뭐가 잘못? 이렇게 생각했어요

  • 2. 저는
    '17.11.21 5:29 PM (211.223.xxx.123) - 삭제된댓글

    수시 처음 도입할 때 어린 학생이었는데도
    어이 없던데요. 수행평가도 그렇고.
    이미 숙제 과제 나름대로 다 있는데 수행평가란 이름으로 어이없는 괴짜스런 창의력숙제라는 걸 해야하고.

    뭐 수능이 공부로 줄세우는 거니까 안되고
    다양한 어쩌고 창의력 미래가능성...
    그 다양한 능력과 미래 발전가능성을 보는 게 학과공부고 그 지표가 수능점수아닌가?
    다양한 재능 좋지만 다양한 재능은 다양한 분야로 가야지 왜 명문대학(공부하는곳)으로 가려고?

    공부로 뽑는곳을 공부아니고 인성 ㅋㅋ 창의력 면접 인터뷰로 뽑는다고 할때부터 어이가 없었음.

    결국 십수년후 이꼴이 났고.

    당시 어린 제 눈에도 불보듯보이던 폐해를 과연 당시 제도 도입자들이 몰랐을까?
    몰랐다고 해도 무능력의 극치고 알고도 국민들에게 사탕발림 했다면 뭐...할말이 없네요.

  • 3. 시크릿
    '17.11.21 5:36 PM (119.70.xxx.204)

    우리나란 수시안돼요
    공정성을 보장할수없는 그어떤입시제도
    다반대해요

  • 4. ....
    '17.11.21 5:45 PM (116.39.xxx.160) - 삭제된댓글

    울애는 고2라 앞으로 교육제도에 영향을 받을수 없지만 초중 보통어머니들 눈 크게 뜨고 반대해야해요

    아이가 뛰어난데 집안 배경으로 밀리면 눈 돌아가지요
    경제력 권력 가진 사람들 절대로 입시제도 수시 안바꿔요
    촛불을 들더라도 정시 지켜야해요

    아님 보통의 아이들이 사다리가 다 걷어차여서 세금이나 열심이 내는 노예로 전락해요

  • 5. 수시학종
    '17.11.21 6:55 PM (223.62.xxx.117) - 삭제된댓글

    노무현 정부가 입학 사정관제로 도입해서 이름만 바꾼거죠.우리 나라는 음서제가 판을 치는 나라여서 절대 공정 할수 없어요.진보정권이 다른건 다 좋은데 교육문제 만큼은 이해찬 부터 아이들을 실험용 쥐로 느끼게 해요.문통 주변에 제대로 된 교육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없어요.이상과 현실을 구분 못하는 사람들만 있는지...

  • 6. 학종 이건 정말 문제ㅠㅠ
    '17.11.21 7:53 PM (1.241.xxx.198)

    수시 교과만 있었슴 좋겠어요. 입시결과 다 공개되니 등급 낮은 아이가 더높은 등급 제치고 붙는 경우는 없을 테구요. 그면 고교등급이나 학군 문제도 자동으로 해결 될거 같구요. 정시 확대는 반대예요. 사교육 열심히 받을수 있는 돈 있는 아이들이 유리하고, 학군과 경제력에서 쳐지는 일반고 학생들은 대학가기 너무 힘들거예요.

  • 7. ^^
    '17.11.21 8:59 PM (112.153.xxx.67)

    자녀있는 부모들이 좀 힘을모아야 할텐데요
    넘 조용해요
    청원이라도 올려야 될텐데
    이거 무슨방법없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2458 집수리 하는데 한샘인테리어 어떤가요? 10 이사 2017/11/23 3,854
752457 1월에 하노이가려고 하는데 비엣젯이요 1 10 2017/11/23 753
752456 40대. 커스텀 귀걸이 주책인가요? 7 ㅇㅇ 2017/11/23 2,589
752455 무와 콩나물 같이하는 나물 가르쳐주세요 11 모모 2017/11/23 1,437
752454 방콕.다낭 둘다가보신 분들 어디가 좋았나요? 10 여행 2017/11/23 3,721
752453 김장 양념 하루 전날 해도 되나요? 8 김장 2017/11/23 2,572
752452 아동학대는 어디서부터가 시작인가요? 8 엄마는 다같.. 2017/11/23 1,626
752451 처음으로 저녁을 라면 3 2017/11/23 1,188
752450 국비지원으로 가능한 자격증(바리스타) 4 춥다 2017/11/23 2,311
752449 KBS 아나운서들 "중립은 없다…마이크 내려놓고 돌아오.. .. 2017/11/23 1,531
752448 아주대병원 외상센터에서의 6개월 15 사연 2017/11/23 6,553
752447 오늘 시험 끝난아이들 저녁으로 뭘 먹을까요? 15 시험끝난 아.. 2017/11/23 4,471
752446 50대초 주븹니다 6 82cook.. 2017/11/23 3,268
752445 지금 수험장인데 외국어 안봐도 다섯시 반까지인가요 6 외국어 2017/11/23 1,971
752444 요즘 부산날씨 어떤가요 5 바람바람 2017/11/23 725
752443 요즘 패션용으로 모자를 많이 쓰고 다니는것 같아요 3 ㅇㅇ 2017/11/23 1,682
752442 현재.34481명..안 하신 분들.얼른 합시다~^^~ 6 청기자단해체.. 2017/11/23 909
752441 KBS 기자협회, '부당 취재지시' 홍기섭 본부장 영구제명 샬랄라 2017/11/23 518
752440 양재동 하나로마트 물건이 가장 좋은가요? 2 하나로중에 .. 2017/11/23 1,034
752439 샤오미 전기주전자 쓰시는 분 역시중국인건.. 2017/11/23 908
752438 어제 앵커브리핑 그리고 2 뉴스 2017/11/23 1,030
752437 개룡의사남과 결혼시 여자가 돈으로 빠지지않는다하려면 24 ㅎㅎ 2017/11/23 7,939
752436 유방초음파 비용 원래 이렇게 비싼가요? 17 강쥐 2017/11/23 8,048
752435 호주산 차돌박이 너무 질겨요. 1 oo 2017/11/23 1,074
752434 검찰, 국정원 댓글증거은폐 당시 경찰수사팀장 압수수색 고딩맘 2017/11/23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