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난방비 아끼는 법 알려주세요.

... 조회수 : 6,235
작성일 : 2017-11-20 18:54:35

지역난방(열병합)이고 개별난방이에요.

새아파트인데 관리비가 좀 비싸서 난방비라도  아끼고 싶어요.

현재 난방 안튼 방은 18도고요.발 시렵고..좀 춥긴한데

니트 조끼입고 뜨끈한 차 마시면 괜찮고요.

안방은 20도로 맞추니 18도 방이랑 비교할때 넘 훈훈하네요.

주방에서 열선이 깔리는지 주방부터 안방가는 길도 따뜻하고요.

주로 주방과 안방에서만 생활해서 안방만 20도로 맞추로 살까 싶은데

1) 틀었다 껐다 하는것보다 그냥 온도 고정시켜놓는게 더 싼거 맞나요?

2) 더 아끼는 법 있으면 알려주세요..

33평인데. 관리비 19만원나오네요. (두식구에 한명은 거의 밖에서 씻어요.운동하느라..)

보통인가요?

IP : 1.224.xxx.13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겨울인데
    '17.11.20 6:57 PM (223.62.xxx.132)

    난방비 포함 관리비 19만원이면 적게 나오는거 아닌가요?그리고 지역난방은 아주 약한온도로 늘 틀어 놓는게 더 적게 나올겁니다.

  • 2. 런투유
    '17.11.20 7:00 PM (218.232.xxx.65)

    다른 이야긴데요
    관리비는 대단지가 아주 싸요

  • 3. ...
    '17.11.20 7:04 PM (1.224.xxx.130)

    네..2000세대 같은 평수일때는 12~3만원 나왔었는데
    여기는 새아파트에 항목도 많고 세대수도 500여세대라 그런지..
    거의 기본이 20가까이네요.ㅜㅜ
    난방은 오늘 처음 튼거라 지난달까지는 급탕만 포함된 관리비로 봐야할거 같네요..

  • 4.
    '17.11.20 7:06 PM (49.167.xxx.131)

    세대수가 적음 더 나와요. 기본관리비가 비싸서 그래요.

  • 5. 절약
    '17.11.20 7:11 PM (175.208.xxx.26)

    켤 때 확 켜고 한 두시간 후에 꺼요

  • 6. 끄면
    '17.11.20 7:15 PM (118.36.xxx.241)

    다시 틀때 온도 올리기 위해 에너지소모가 많으니 켤때 확 켠 다음 어느정도 난방이 되면 은은한 온도로 유지하시면 됩니다.

  • 7. 실내온도 보다
    '17.11.20 7:17 PM (211.107.xxx.253)

    실내온도보다 1도 가량 높게 설정해두고 있음 불이 들어왔다 나갔다 해요 이렇게 했더니 난방비 별로 안나오더라구요

  • 8. 위에
    '17.11.20 7:22 PM (121.128.xxx.23)

    실내온도 보다 1도 가량 높게 설정해둔다면
    바깥날씨에 따라 실내 온도도 달리 해야하지 않을까요??
    저는 귀가 하면 실내 온도 보다 1도 높게 하기는 하는데
    아침에 외출할때는 전원 끄거든요.

  • 9. 지역난방만 17년
    '17.11.20 7:23 PM (14.39.xxx.205) - 삭제된댓글

    일단 관리실에 전화를 해서 유량식인지, 열량식인지 알아보세요.
    유량식이라면 한 방만 난방하는것과 모든 방을 난방하는것의 요금차이가 거의 없어요. 그러니 모든 방을 동시에 켜고 동시에 끕니다. 이경우 안쓰는방을 잠궈놓는 의미가 전혀 없거든요.
    열량식이라면 사용하시는 방만 난방하세요.
    온도조절은 요즘난방조절기는 다양한 기능이 있읍니다. 조절기의 기능을 적절히 이용하심 좋아요.

  • 10. 지역난방만 17년
    '17.11.20 7:29 PM (14.39.xxx.205) - 삭제된댓글

    일단 관리실에 전화를 해서 유량식인지, 열량식인지 알아보세요.
    유량식이라면 한 방만 난방하는것과 모든 방을 난방하는것의 요금차이가 거의 없어요. 그러니 모든 방을 동시에 켜고 동시에 끕니다. 이경우 안쓰는방을 잠궈놓는 의미가 전혀 없거든요.
    열량식이라면 사용하시는 방만 난방하세요. 
    온도는 처음에 난방 올리셔서 집이 따뜻해진 이후로는 잠깐 돌았다 꺼졌다 하는 식으로 해두시는게 좋아요. 계속 돌리면 뜨거운 난방수가 들어왔다 나가버리는 식이라서요.
    요즘 온도조절기는 다양한 기능이 있어요. 그러니 설명서 잘 읽어보시고 맞는 방법으로 쓰심 됩니다.

    관리비는 19만원이면 많이 나오는건 아닌것 같은데요.

  • 11.
    '17.11.20 7:32 PM (39.7.xxx.46)

    담번에 이사를 정남향집으로하세요
    저 남향집으로이사와서 난방을 한번도 안했네요
    작년 겨울 생으로 났어요
    어떤날씨에도 항상 최소 20도 이상이었고
    밤에 잘때는 전기매트나 온수매트켜고 자니까
    필요없더라고요

    여름에도 시원해서 에어컨 덜켜고요

    남향집 강춥니다

  • 12. happy
    '17.11.20 8:05 PM (122.45.xxx.28)

    창문,베란다쪽 뽁뽁이 붙이고
    잘 때 난방텐트 쓰고
    양말, 털슬리퍼 신고
    두루 챙겨보세요.

  • 13. ,,,
    '17.11.20 8:34 PM (121.167.xxx.212)

    만약 난방을 한다면
    1. 항상 외출로 해 놓는다
    2. 실내 온도 21도인데 아침엔 추워요.
    23도로 설정해 놓고 1시간에 5분 돌아가게 한다(하루 2시간 난방 하는 셈)
    3. 외출로 항상 해 놓고 아침 저녁으로 한시간만 난방 하고 끈다.

    어느 방법이 난방비가 적게 나올까요?

  • 14. 온도설정보다는
    '17.11.20 8:39 PM (211.244.xxx.154)

    타이머 방식이 더 낫더군요.

    온도는 온도센서 민감도에 따라 과하게 도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요.

    저는 365일 온수모드하다가
    안방 보일러 컨트롤러 온도가 21도 되면 밤에 잘때 3~4시간 간격으로 반복설정해놔요. 그러면 아침에 22~23도 강화마루는 찬기가 없는정도로 돼요.

  • 15. 근데
    '17.11.20 9:13 PM (125.187.xxx.37)

    새아파트가 실내온도가 너무 낮은거 아닌가요?
    저희는 23도예요 10년됐는데
    엊그제 추운날은 22.5도로 내려가구요

  • 16. ..
    '17.11.20 10:16 PM (211.36.xxx.78)

    여기 새아파트인데 베란다확장.
    글쓴분 아파트 온도 왜그리 낮아요?
    지금 거실온도 21.5도인데 겁나 춥거든요ㅋㅋ
    원글님 안추워요? 20도로 해놓고 어떻게 겨울난데요?
    보통 훈훈하다 정도 말고 안춥다 정도로 하려면 22.5도는 되야 그리느껴지던데..
    저희 33평이고 겨울엔 안방만 난방해요.
    거실엔 모노륨전기장판 틀고 담요덮고 생활하구요.
    너무 추우면 23도로 돌려요. 그래도 그렇게 안따뜻한데..
    안방은 공간이 작아서 23도로 해놔야 훈훈느낌..

  • 17. ㅇㅇ
    '17.11.21 1:07 AM (14.37.xxx.202)

    10년 넘은 아파트 난방 안해도 20도
    오년된 아파트로 이사오니 안해도 22도인데 .. 정남향 아니고요
    원글님은 왜케 낮을까요?
    시간 설정 해 놓는게 가장 절약 하는 방법이라고 들었어요 ~ 너무 추우면 몸 상하는거 같아 요즘은 그냥 틀어오 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3349 척추측만증이라는데.. 1 2017/11/29 751
753348 한샘은 성폭행사건 또 2 심해 2017/11/29 1,877
753347 중고생 기초학력 미달 증가? 15 ".. 2017/11/29 1,666
753346 문재인 정부, 외상센터 열악하다는 이국종 일침에 닥터헬기 5대 .. 5 고딩맘 2017/11/29 2,389
753345 얼굴살이 오른 대신 뱃살이 심각한 수준이네요 7 2017/11/29 2,475
753344 인천 부평동에 계시는 회원님들 고견 부탁드려요~ 2 우유만땅 2017/11/29 563
753343 도쿄여행 질문좀할께요 3 .. 2017/11/29 1,048
753342 대학병원교수님 5 마라 2017/11/29 1,538
753341 남편 용돈 얼마씩 쓰시나요? 24 용돈 2017/11/29 3,945
753340 선생님보다 나은 초등학생 2 MilkyB.. 2017/11/29 963
753339 요즘 쌀은 돌 안 나오지 않나요? 2 ㅡㅡ 2017/11/29 1,050
753338 책을 읽다가 좋은글 내지는 와닿는 부분 정리 방법 5 별걸다 묻는.. 2017/11/29 1,695
753337 친정엄마가 잠꼬대가 심하신데요 4 ㅇㅇㅇ 2017/11/29 1,828
753336 고등자녀두신 선배님들~고등수학문제집 어떤 순서로 풀어야하나요? 2 은지 2017/11/29 1,740
753335 웃겨요 1 아침부터 2017/11/29 435
753334 고등학교 선택 좀 도와주세요~ 10 고민맘 2017/11/29 817
753333 중딩 아들둘 저녁 겸 간식 메뉴 11 저녁 2017/11/29 3,360
753332 이과에서 정시 대박난 학생~~~ 4 있나요? 2017/11/29 4,805
753331 문통 만난 아이들..앜..귀여워요ㅋㅋㅋ 7 사람이먼저다.. 2017/11/29 2,526
753330 2018 수능 가채점 결과..전북서 만점 2명 3 지역감정 2017/11/29 2,152
753329 it's got his name on it 3 아후 헷갈려.. 2017/11/29 1,068
753328 어지간하면 연봉 1억에 대졸인 세상... 21 깍뚜기 2017/11/29 6,904
753327 초등여아 한쪽 가슴이 간지럽다고 해요.(몽우리 때문인듯요) 7 2017/11/29 3,213
753326 브라바 청소기 이거 꼼꼼히 제대로 닦이는 거 맞나요? 15 질문이요 2017/11/29 3,424
753325 시모를 볼때마다 울화가 치밀어 홧병날경우 3 그냥 2017/11/29 2,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