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사람들이 진짜 많이 먹는거 맞나요?

식탐 조회수 : 7,633
작성일 : 2017-11-18 16:07:36
아시아쪽 나라들.. 대만 홍콩 싱가폴 일본 등등 가서 먹어보면 반찬같은 사이드 디쉬만 없지 탄수화물 비율이나 메인요리 양은 거의 비슷해 보였구요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같은덴 한끼먹는 밥이나 국수양은 적은데
자주 여러번, 생각 날때마다 먹더라구요

비만국가 미국은 제외하고

외국.. 특히 유럽애들은
아예 아침을 안먹는 사람도 많아 보이고
먹어도 사과 한알
아니면 씨리얼
빵한조각
뮤슬리 조금 먹고마는 사람들도 많은 반면

런던이건 파리건 아침조식 파는곳에 들어가보면
음료만 커피 우유 주스 요거트..등.. 셋트로 시키면 정말 푸짐하게 잘 나오던데
이걸 사람들이 다 먹을수 있으니까 이리 많이 주는건가 싶고
그것도 모자라 아예 팜스타일(농부)로 양이 두세배로 나오는 메뉴를 보고 이걸 진짜 다 먹는단 말야? 생각든 적도 있어요

호텔 조식 부페에서는 갸날프고 키 170쯤 되보이는 여자가
혼자서 식빵 대여섯개,크로아상,하드롤빵..합쳐서 한 8개 정도의 빵을 접시에 담아와서 먹는걸 보고 속으로 놀란적도있었어요

이태리 가도 로마 어느집 파스타를 시키면 그냥 딱 남기지 않을만큼 조금 나오는데
지방쪽으로 가면 거짓말 좀 보태 쟁반만한 접시에 스파게티를 잔뜩 담아줘서 기겁을 하며 먹기도 했구요(참 좋았던 기억입니다 ㅎㅡ.ㅡ;)

알뜰신잡 보니까 우리나라 공기밥 규격이야길 하던데
그전에 남아있는 고봉밥 사진도 그렇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딴나라들에 비해 많이 먹긴 하는건가 싶고 헷갈리네요

일본 사람들도 우리나라 사람들 많이 먹는다고 한다던데
얼마전 기사에서는 밥 한끼도 제대로 안챙겨먹는 일본젊은이들이 그렇게 많다더군요
특히 여름엔 귀찮고 더워서 음료수같은거 한병먹고 끝이라는 기사를 봤어요

대만은 어딜가서 뭐하날 시켜도 되게 푸짐하던데
밀크티 하나만 마셔도 배가 정말 부른데..사람들 대부분이 저렇게 기름진거먹고 살은 잘 안찌는게 대단하고 신기하다 싶었는데
알고보니 대만사람들은 밀크티 하나만으로 식사를 대신하는 사람도 많다고 하고
포장마차 같은데선 음식조리에 열량높은 땅콩기름을쓰다보니 살이찔 위험이 높아 싸고 저렴하다해서 함부로 사먹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고 하더라구요
차 많이 마시는건 말할것도 없구요

어서와 핀란드편 보니까 한국음식보고 되게 많이 나온다고 하던데
아니 저 큰 덩치들이 저정도 가지고 음식이 많다 그러면 대체 핀란드는 어느정도로 음식양이 작은건가 싶었네요
평소에 뭘 먹고 산거야 대체..그 큰 덩치는 단지 조상에게 물려 받은것 뿐인가..후천적인 노력(식사)은 안하고 사는것인가 싶었고

윤식당에서 윤사장님이 음식 내놓을때마다
무슨 손이 저렇게 작나 싶고 매번 속이 터졌었는데
좀 지나서 생각해보니
발리 현지인들이나 유럽쪽 사람들한텐 그리 적은게 아닌가 싶기도 했구요
나라별 적고 많고의 기준을 정말 모르겠어요

저 개인적으론 미국이나 대만처럼 푸짐하게 양많이 주는곳이 제일 좋긴 합니다만..



IP : 112.169.xxx.30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통
    '17.11.18 4:16 PM (14.32.xxx.70) - 삭제된댓글

    한끼 푸짐히 먹고요.
    두끼는 간단히...
    근데 우리나라는 아침부터 지지고 볶고
    세끼 밥을 제대로 다 먹네요.
    여자들이 스스로 밥지옥을 당연시하고
    자기 계발시간을 덜 갖는 것 같아요.

  • 2. 날팔이
    '17.11.18 4:16 PM (125.131.xxx.125)

    요즘은 모르는데 과거엔 엄청 많이 먹었나봐요
    다른나라 일년치를 한달만에 먹는다던가
    아시아권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체격이 그래도 큰편인 이유가 이것 때문일지도

  • 3. 신노스케
    '17.11.18 4:17 PM (182.161.xxx.184)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우리가 많이 먹었다기 보다는 일본이 워낙 안 먹은 것이라 보면 됩니다
    전근대 시기
    특히 조선과 관련되는 시기는 일본은 세율이 어마무시해서....
    일본인들 키가 작다는 묘사는 꽤 나오는데
    그게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워낙 못 먹다 보니 안 큰 것도 있습니다
    일본과 비교되다보니 그런 기록들이 나온 것이지요

  • 4. ..
    '17.11.18 4:17 PM (125.178.xxx.106)

    그냥 사람나름 아닐까요?
    근데 영화 같은거 보면 외국은 그냥 한그릇에 담아서 먹더라고요.다른 뭐 없이요.양도 많지 않고.
    근데 우리나라 밥상씬은 정말 빈부의 관계없이 정말 상다리게 휘어지게..뭔 반찬들도 그렇게 그득그득..
    밥상이 맨날 생일상이더라고요.

  • 5. ~~
    '17.11.18 4:22 PM (119.66.xxx.76) - 삭제된댓글

    반찬까지 해서 일단 가짓수가 많고
    그게 한눈에 다 보이는 것도
    양이 엄청나다고 느끼는 데
    한몫하겠죠.

  • 6. ㅐㅐㅐㅐ
    '17.11.18 4:22 PM (110.70.xxx.233) - 삭제된댓글

    글쎄요 반찬같은게 너무 쓸데없이 낭비스럽게 먹은다는거 아닐까요. 외국은 아침은 요리도 안하고 진짜 시리얼에 우유 배이글 그런정도 런치도 샌드위치 샐러드 저녁은 파스타 정도로만 먹는 경우 많은데 한국은 음식에 과하게 집착한달까. 네덜란드같은곳도 그냥 고기에 감자 정도로 조리나 음식 자체가 간단하고 큰 노동을 들이지 않도라구요 조리과정이. 대신 쓸모맀는 활동에 힘을 쏟고. 밖에서 먹을땐 정말 정장입고 맛있는거 먹고. 한국은 노동력 싸고 사람들이 낙이 없는지 진짜 먹을거 넘 집착해요 복잡하게먹고.

  • 7. ㅐㅐㅐㅐ
    '17.11.18 4:23 PM (110.70.xxx.233) - 삭제된댓글

    그리고 양식같은 경우 지방 단백질이
    많아서 음식 양을 먹 늘릴필요가 없는데 한국은 예전에 가난해서 이것저것 반찬 늘리고 양념많이하고 저장식품 많이먹고 하다보니 반찬이 너무 많은...

  • 8. ~~
    '17.11.18 4:24 PM (119.66.xxx.76)

    반찬까지 해서 일단 가짓수가 많고
    그게 한눈에 다 보이는 것도
    양이 엄청나다고 느끼는 데
    한몫하겠죠.
    우리 밥상에 올라오는 거 다 먹지 않고
    상당량이 남게되는데
    양식으로 먹게되면
    남아서 다시 냉장고로 들어가는 일이
    별로 없잖아요.

  • 9.
    '17.11.18 4:27 PM (116.125.xxx.9)

    우리나라 많이 먹어요
    네이버 블로그에 유명 블로거도 아니고
    그냥 평민 블로거들도 밥상 차려 사진 찍은거보면
    진수성찬
    뭔 반찬이 저리 많나...
    82 키톡도 한식밥상차린거보면 반찬 많잖아요

  • 10. 서양은 양질의 단백질을
    '17.11.18 4:31 PM (211.243.xxx.4) - 삭제된댓글

    섭취한 반면 한국은 밥 위주의 탄수화물을 양만 많이 먹었잖아요. 그래서 이걸 소화시키기 위해 대장의 길이가 다른 나라 사람들의 평균보다 더 길어질 정도로...그 식 습관이 많이 없어지긴 했어도 군데군데 여전히 남아 있죠.

  • 11. 근데
    '17.11.18 4:33 PM (112.169.xxx.30)

    반찬 가짓수만 많아보이지 밥같은 탄수화물이나 메인 요리가 그렇게 많은느낌은 아니었어요
    외국은 딱 주요리나 사이드디쉬 한두개라서 탄수화물도 단백질도 듬뿍듬뿍 느낌이고요
    대부분 접시 딱두개정돈데 메인 사이드로보면 상대적으로 양은 더 많아보였어요

  • 12. ㅁㄴㅇ
    '17.11.18 4:36 PM (84.191.xxx.157)

    쌀이랑 야채를 주로 먹으면 먹는 양이 늘어나긴 해요.

    주식을 삶은 브로콜리 구운고기/생선, 식으로 바꾸니까 저는 먹는 양이 줄어들었어요

    그 외에는 검은곡물빵 위에 치즈, 햄, 간페이스트 정도...

    북유럽으로 갈수록 식사를 적게하는 듯.

  • 13. ㅎㅎㅎㅎㅎ
    '17.11.18 4:37 PM (122.36.xxx.122)

    백인 사람들

    크로와상 한개 아메리카노 한잔으로 아침떼우더군요 ㅎ

  • 14. ..
    '17.11.18 4:46 PM (223.62.xxx.5)

    많이 먹진 않는다 생각해요. 식당에서 1인분 시키면 나오는 양이 외국이 결코 적지 않아요. 근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적게 움직인다 생각해요. 운동 잘하고 많이 움직이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런 사람들 포함 일상 움직임이 적어요.

  • 15. 누나
    '17.11.18 4:55 PM (115.136.xxx.173) - 삭제된댓글

    누가 식당을 매끼가요?
    점심 피넛버터 하고 딸기잼넣우
    식빵에 음료수 한잔 먹어요.

  • 16.
    '17.11.18 5:00 PM (58.142.xxx.194)

    주식 부식 탓 아닐까요?
    짠 반찬에 싱거운 밥을 먹는 격이니...
    예전에 단백질은 부족하고 염장한 야채 위주로 먹었으니 그럴수 밖에요... 요즘 세대들은 달라졌는데 어르신들은 아직도 밥밥밥 하시긴 하죠.
    저희도 시댁가면 세끼 똑같은 양 다 챙겨 먹으니 힘들어요.ㅡㅡ

  • 17. aㅣ
    '17.11.18 5:04 PM (58.120.xxx.76)

    구한말 서양선교사들이 묘사한걸 보면
    조선인들은 많이 먹고 급하게 먹는다.
    라고 했어요.
    동남아여행갔을때 가이드가하는말이 한국사람들
    조식부페에서 많이 먹는다고 현지인들이 놀란다네요

  • 18. ㅇㅊ
    '17.11.18 5:06 PM (222.238.xxx.192)

    근데 다 날씬하네요
    평균적으로 보면

  • 19. 솔직히
    '17.11.18 5:10 PM (110.70.xxx.59) - 삭제된댓글

    노인 2명살면서 대형냉장고에 김치냉장고에
    장독 5개...이 정도면 호더죠.
    음식 호더...

  • 20. aㅣ
    '17.11.18 5:15 PM (58.120.xxx.76)

    중국에서 로컬음식점에서 봌음밥시켰는데
    양이 어마어마
    그래도 비만은 없는것같은데
    차를 마시고
    자전거로 이동해서 그런가봐요

  • 21. ㅇㅇ
    '17.11.18 5:56 PM (222.106.xxx.134)

    글쎄여 일본이나 서양도 메인디쉬에 곁다리 몇개하면 우리나라 못지않게 양 많던데요. 우리나라는 돈에 비해서 양이 많구요. 메인요리시키면 사이드는 공짜로 따라오잖아요

  • 22. 싸만코
    '17.11.18 5:57 PM (113.103.xxx.211)

    그렇게 보면 중국사람들 식사량 보면 기절하시겠네요.

  • 23. 중국은
    '17.11.18 6:09 PM (39.7.xxx.113) - 삭제된댓글

    음식을 푸짐히 하고 남기는 게 미덕입니다.
    남기지 않는 건 빈티...

  • 24. 옛날부터
    '17.11.18 7:33 PM (180.70.xxx.130)

    조선 이전부터 대식국이라 하던데요. 박물관 가보면 조선시대 밥그릇 숟가락 사이즈가 어마어마해요.

  • 25. ㅡㅡ
    '17.11.18 7:36 PM (119.70.xxx.204)

    우리나라사람들이 적게먹는거같진않네요
    여자들은 다이어트한다고 잘안먹지만
    저희남편만해도
    라면기본두개 세끼 탄수화물다먹어야되고
    피자나 샌드위치는 밥으로안쳐요
    절대

  • 26. &&&&
    '17.11.18 11:25 PM (1.238.xxx.181)

    요새 하루 세끼먹는사람 많지않죠
    제 주변은 12시에서 한시쯤 첫끼먹고
    저녁 간단히 먹는 사람이 많은데요

  • 27. ...
    '17.11.19 11:44 AM (114.204.xxx.212)

    다 먹는건 좋은데 국 찌개에 김치에 반찬 서너가지이상 바라는건 싫어요
    아이랑은 한두가지로 먹는데 , 정작 받아먹기만 하는 남자들은 제대로 한상 안차리면 대접 못받는단 생각에 투덜대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3333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중간에 다른 직급(?)의 공무원시험을 칠 수.. 3 ... 2017/11/26 1,670
753332 난방텐트를 왜 사는건가요? 21 ... 2017/11/26 6,849
753331 60 인치 TV 사려는데 8 33평거실에.. 2017/11/26 2,065
753330 BTS)방탄소년단 'MIC Drop' 미국 아이튠즈 ‘톱 송 차.. 37 ㄷㄷㄷ 2017/11/26 2,846
753329 아파트에 사시는 분들 낮에는 뛰어놀아도 된다 안된다? 9 아파트 2017/11/26 1,569
753328 남편이랑 같이 다님 짜증나요 22 남편 2017/11/26 7,727
753327 무장 독립 투쟁사(1935~1945) 특강 5 ........ 2017/11/26 550
753326 집에서 대부분 누워있는데 비정상인가요? 17 ..... 2017/11/26 5,735
753325 수능 끝난 아이 용돈 얼마 줘야 할까요?? 6 용돈 2017/11/26 2,652
753324 대학생인 아들한테 느끼는점 18 소나무 2017/11/26 8,832
753323 빌리 엘리어트 1 EBS 2017/11/26 1,099
753322 부모가 없는 어린 자녀는 누가 보살피나요? 3 강아지왈 2017/11/26 2,110
753321 배현진 아직도 앵커하나요? 6 2017/11/26 2,567
753320 논술 지금보는 학생들 8 논술 2017/11/26 1,794
753319 첫댓글 이상한 게 왜 이렇게 많죠? 8 ... 2017/11/26 650
753318 가족 아우터 이정도 가격 괜찮죠 1 2017/11/26 923
753317 지금 부산여행왔어요 3 부산통신원 2017/11/26 1,728
753316 이 정도는 돼야지... 2 가로수길52.. 2017/11/26 696
753315 초딩애들 사막 보여주려면 어디가 젤 가깝나요? 22 ㅇㅇ 2017/11/26 2,835
753314 수능 원점수 295 점이라는 게 국수탐 합한 건가요? 4 수능 2017/11/26 1,738
753313 영어사교육이 이상황에서 필요할까요 8 ㅇㅇ 2017/11/26 2,279
753312 데코타일위에 장판깔면 따뜻할까요? 1 이사 2017/11/26 1,006
753311 재수할경우 고3 기말고사 반영비율 6 고3 2017/11/26 2,016
753310 악보에 stent. 라고 써있으면 무슨뜻인가요? 17 sky 2017/11/26 3,640
753309 급)아이 안경을 바꿀때가되어 사러나가는데 2 안경 2017/11/26 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