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 어릴 때 이혼하신 분들,, 싱글맘, 아이의 삶.. 어떤가요

......, 조회수 : 5,142
작성일 : 2017-11-12 11:06:25
아이 어릴 때 이혼하고
엄마가 키우시는 분들,,

어떤 어려움과,,
어떤 행복이 찾아오나요..

아이가 힘들어하는것,,
앞으로 아이 앞에서 조심해야할 것,,
뭐가 있을까요...


용기와 응원만 주지 마시고..
현실적인 어려움 아픔도 알려주세요. 미리 마음 준비하고 단단해지고싶어요.
IP : 223.62.xxx.7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7.11.12 11:17 AM (121.135.xxx.185)

    주변에서 보면 아무리 부모가 (각자) 잘해줘도 아이는 늘 피해의식을 가지는 거 같더군요.. 일단 가정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사실에 대해 억울해하는 거 같아요. 이혼 부모 사실 빼고 다른 면은 부족한 것 없는 가정이었던 경우 더 그러함...

  • 2. .....
    '17.11.12 11:24 AM (110.47.xxx.25) - 삭제된댓글

    아혼전 부부의 상태에 따라 다르겠죠.
    친구는 경제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최악인 상태에서 이혼하면서 아이 둘을 데리고 나왔습니다.
    가진 것 없는 여자가 어린 아이 둘을 키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서 그야말로 개고생을 했네요.
    그렇게 살다 살다 지치고 남편에 대한 감정도 많이 사그라들어서 재결합하면 어떨까 하고 아이들에게 물어보니 "엄마가 원한다면 재결합해도 상관없지만 우리 때문에 아빠와 다시 산다고는 말하지 말라"고 하더랍니다.
    결국 친구는 남편과의 재결합을 포기하고 계속 혼자 살면서 아이들을 키웠습니다.

  • 3. ......
    '17.11.12 11:26 AM (110.47.xxx.25)

    아혼전 부부의 상태에 따라 다르겠죠.
    친구는 경제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최악인 상태에서 이혼하면서 아이 둘을 데리고 나왔습니다.
    가진 것 없는 여자가 어린 아이 둘을 키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서 그야말로 개고생을 했네요.
    그렇게 살다 살다 지치고 남편에 대한 감정도 많이 사그라들어서 재결합하면 어떨까 하고 아이들에게 물어보니 "엄마가 원한다면 재결합해도 상관없지만 우리 때문에 아빠와 다시 산다고는 말하지 마라. 매일밤 엄마 아빠가 싸우는 지옥으로 되돌아 가고 싶지는 않다"고 하더랍니다.
    결국 친구는 남편과의 재결합을 포기하고 계속 혼자 살면서 아이들을 키웠습니다.

  • 4. ......
    '17.11.12 11:59 AM (114.202.xxx.242)

    주위에 어릴때 이혼하고, 아이 다 키워서 그 아이가 결혼해서 손주까지 본 싱글맘이였던 친구들이 많은데.
    할머니가 된 지금까지 제일 힘든게, 전남편과의 관계라고 그래요.
    아이가 있으면, 이게 전남편이라지만 끊어지지 않는 관계거든요.
    손주 태어나면 백일잔치 돌잔치에 또 전남편도 같이 모여, 사진을 찍는게 인생사라고.
    그분은 전남편이 재혼을 해서, 재혼한 부인도 어떻게 한번 봤다고.
    가급적 나쁘지 않게 전남편 전부인 이랑 헤어지는게 중요한것 같고.
    아이는 이미 다른가정과 자기집이 다르다는것 자체도 신경쓰이는 상태이니 엄마나 아빠가 상대방에 대해 너무 비난하지 않게 조심하는게 아이에겐 가장 좋겠죠.
    남편하고 그걸 약속을 서로 하세요. 아이에겐 상대부모에 대해 헐뜯지 않는 상황을 만들어준다는게 중요해 보여요.

  • 5. ..
    '17.11.12 12:05 PM (211.176.xxx.46)

    알면서 굳이 묻는 이유가 뭔가요?
    그런 게 부당한 거라는 것도 잘 아시죠?

    이혼이란 그냥 님이 어떤 사람과 혼인관계를 해소하는 것뿐이어요.
    님 자녀와는 상관없잖아요.
    부모 역할은 하던 대로 하면 되고.

    님 자녀 입장에서 님이 누군가와 법률관계를 해지한 게 무슨 상관이겠냐구요?
    이혼이 위법이기를 하나.
    이혼 제도라는 게 정부에서 국민들 편의를 위해 마련한 제도잖아요.
    이혼이라는 제도가 있으니까 혼인신고 하신 거 아닌가요?

    합리적으로 사고 하세요.
    그래야 비합리적 사람들이 활개를 못치죠.

    뭐가 그렇게 걱정인데요?
    자식에 대해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걱정투성이지만 시간이 해결해주잖아요.

    자녀가 교통사고 날까봐 걱정이시죠?
    자녀가 음식 잘못 먹어 배탈날까봐 걱정이시죠?

    되지도 않게 이혼을 공격 거리로 삼는 인간 있을 수 있겠죠.
    님도 그렇지만 아동도 이혼은 좋은 제도라고 개념 장착해서 대응하면 되어요.
    불쾌한 경험할 수 있지만 극복 못할 거 아니어요.

    비혼자들도 넘쳐나고 1인 가구도 넘쳐나고 기혼상태였다가 비혼상태로 넘어간 사람도 비혼자인 건 마찬가지고.
    좀 유쾌하게 넘어가봅시다.
    드라마에서 이혼도 많이 다루고 하는데도 왜 이게 그렇게 심리적으로 극복이 안되는지.
    그러면 이혼 제도가 폐지라도 되기를 바라는 건지.

    유쾌하게! 경쾌하게!
    전혀 자존감에 타격받을 일 아니라는 거.
    민법에 규정되어 있는 소중한 제도라는 거.

  • 6. ..
    '17.11.12 12:10 PM (211.176.xxx.46)

    이혼과 관련해서 제3자가 비하할 수 있는 경우는 한 가지뿐이에요.
    유책배우자에 대해서.
    유책배우자나 그 쪽 편에 선 사람들이 이혼했다는 이유만으로 사람을 비하하는 거에요.
    그런 궤변에 말리면 안됩니다.

  • 7. ....
    '17.11.12 2:16 PM (110.70.xxx.188) - 삭제된댓글

    저도 비슷한 입장과 비슷한 두려움을 가진 상태에요
    나는 상관없지만..내 아이의 상처는..정말 마음아플것같아요
    경험자분 얘기들려주시면 댓글 귀담아듣겠습니다

  • 8. 이혼가정아이
    '17.11.12 2:29 PM (203.90.xxx.179)

    제가 이혼가정의 아이였는데요
    저희는 엄마가 양육권을 가져오려고 재산분배 이런거 하나도 없었어요
    넉넉하지 않았지만 외갓집에서 살았구요
    상대에 대한 지나친 욕은 할 필요가 없어요
    아이가 스스로 존재에 대한 비하감을 가질수있거든요
    엄마가 많이 힘들게 키우셨고 저도 그걸 아니까 소위 말하는 효녀 역활을 하고 있어요
    아빠가 없다는게 다른 아이들과 달라서 힘들기도 했지만 대학교부터는 극복해서 크게 돌아가신집도 있고 해서 사는거에 별 의미 없습니다.
    엄마의 재혼은 해도 좋다는 쪽이였지만 엄마는 지금껏 그런생각없이 사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0670 마유다 헤어팩 아세요? ㅇㅇ 2017/11/18 757
750669 느타리버섯이 많아요 4 2017/11/18 865
750668 후지제록스 서비스 엔지니어들...깔끔하고 멋지네요 4 ㅇㅇ 2017/11/18 974
750667 너무 맵고 쓰게 싱겁게 된 알타리 김치 뭐가 문제일까요? 고치는.. 8 알타리 2017/11/18 3,356
750666 독일 사시는 순덕이엄마님 소식이 그리워요~ 20 궁금해요 2017/11/18 10,953
750665 55입는데 타이즈는 몇 사이즈 입으세요?? 1 운동할때 2017/11/18 588
750664 아이 구스다운 세탁법알려주세요~~ 1 궁금 2017/11/18 984
750663 코 모공넓고 빨개지는거 3 조언 2017/11/18 1,921
750662 마트에서 파는 갈린 커피는 분쇄도가 어느정도인가요? 2 n.. 2017/11/18 635
750661 50원 100원을 카드로 할생각이 드세요? 13 ... 2017/11/18 2,946
750660 원두갈아서 커피뽑아주는 머신 추천부탁드려요 5 커이 2017/11/18 1,430
750659 알타리김치 일킬로그램 구천원 ... 2017/11/18 649
750658 김냉 없는 분들 냉장고서 김치통 보관 어찌 하세요 ? 8 흐엉 2017/11/18 2,122
750657 배추 겉절이 직접 해보니 넘 쉽네요.ㅎㅎ 14 김치 초보 .. 2017/11/18 3,642
750656 평창 롱패딩 사려고 줄선 사람들.jpg 42 ... 2017/11/18 19,669
750655 서울에 이렇게 전통혼례식 하는 곳이 어디 어디 있나요? 4 ........ 2017/11/18 918
750654 오년전 전자동 에쏘 머신을 샀었는데요 4 2012년 2017/11/18 1,057
750653 김장김치 얻어드시는데 좋은분들 돈으로 드리세요 8 해결 2017/11/18 2,379
750652 시누이도 안 먹는 김치 저희는 먹어요 4 아하 2017/11/18 2,606
750651 김장김치 맛있게 익히는 방법? 6 김치야 2017/11/18 4,748
750650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35평이 21억.. 19 우와 2017/11/18 7,530
750649 개들 겨울에 옷입혀야할까요 5 ㅇㅇ 2017/11/18 1,070
750648 전세집, 도배지가 찢긴것도 세입자가 하는건가요 10 도배 2017/11/18 1,995
750647 전자동 에스프레소머신 시음하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4 익명 2017/11/18 856
750646 피부가 뒤집어졌어요 ㅠㅠㅠ 5 울긋불긋 2017/11/18 1,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