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정보 공개하지 않는 일본·한국정부 지적한 것"
원전 전문가 공개 토론 제안, 전문가 "최악 상황만 가정"
■ 탈원전 정책 핵심 김익중 교수 '원전 공포감' 조성 논란
지난 13일 서울의 한 고교에서 김익중 동국대 의대 교수가 '탈핵'을 주제로 한 강연 내용이 논란이 되고 있다. 그는 고교 1학년 70여 명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300년간 북태평양산 고등어·명태·대구를 먹지 말라" "후쿠시마 사고 후 일본에서 60만명이 더 죽었고 10만명이 이민 갔다" 등의 주장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문재인정부의 탈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육성을 골자로 한 정책 수립에 참여한 인물로 과거부터 탈핵을 주장해왔다.
김 교수는 16일 매일경제신문과 통화하면서 이번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교수는 태평양 지역에 있는 고등어·명태·대구 등이 방사성 물질에 오염됐으니 전혀 먹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일본산 수산물을 검사하고 있지만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가 없다.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반론을 폈지만 김 교수는 "세슘과 요오드만을 조사했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세슘과 요오드뿐 아니라 플루토늄, 스트론튬 등 수백 가지의 방사성 물질이 흘러 나온다. 김 교수는 "세슘과 요오드는 검사하는 데 3시간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쉽게 검사가 가능하다"며 "다른 방사성 물질은 조사에 한 달 이상 걸리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산물에서 세슘이 검출됐다는 의미는 다른 방사성 물질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원전 사고에서 흘러나온 방사성 물질 중 세슘이 차지하는 비율은 1% 정도로 알고 있는데 제대로 된 정보 공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인체에 영향이 거의 없음에도 수산물·농산물 등이 오염됐으니 먹지 말라고 주장하는 것은 공포감 조성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식약처 측도 김 교수의 말이 상식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방사능이 방출되는 CT 촬영 등 모든 일은 '위험과 효과'를 감안해서 한다"면서 "300년 동안 수산물을 먹지 않는다는 것은 방사능이 제로 상태가 되어야 안전하다고 하는 것인데, 이는 상식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세슘 오염치 기준을 초과한 고등어를 1년 동안 매일 먹는다 하더라도 CT를 촬영할 때 받는 방사선량의 10분에 1 정도에 불과하다. 물론 이는 세슘 외에 방사성 물질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얘기다.
일본 땅의 70%가 방사능에 오염됐다는 주장에 대해 김 교수는 "오염의 의미를 서로 다르게 해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1년 11월 6일자에는 일본 도쿄대와 나고야대, 노르웨이대기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진이 일본 지역 토양에 쌓인 세슘의 양을 측정한 논문이 게재됐다.
논문을 살펴보면 일본 동부지역 상당수가 토양 1㎏당 5㏃(베크렐) 이하의 세슘이 쌓였다는 지도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일본 식품위생법 기준상 토양 내 세슘 농도 허용치는 ㎏당 2500㏃이다. 김 교수는 "세슘이 없어야 하는 땅에 방사성 물질이 쌓인 것은 맞는다"며 "여기에서 생산한 농산물에도 방사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의견 차이는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해석 차이로 발생한다. 학계에서는 이를 '문턱 없는 선형가설'이라고 부른다. 100m㏜(밀리시버트) 이상의 방사선에 피폭된 사람들은 암 발생률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하지만 그 이하의 방사선 피폭량에 대해서는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결론이 확립되지 않았다. 어떤 실험에 따르면 미량의 방사선도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나온 반면 또 다른 연구에서는 관련이 없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학계는 문턱 없는 선형가설을 토대로 한 규제에 동의하고 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 등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2006년 미국 국립과학원(NAS)은 이 문턱 값을 검토했지만 큰 문제가 없어 선형가설을 기준으로 방사능과 관련된 기준 법안을 만들고 있다.
김 교수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이후 60만명이 죽고, 30만명이 덜 태어났으며, 10만명이 이민 갔다는 주장도 했다. 그는 그러나 "(이 숫자는) 후쿠시마 원전 폭발 때문이라고 말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일본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오는데 그 자료에 표기돼 있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는 알 수 없다"며 "일본 정부가 조사해야 할 일인데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김 교수의 주장에 대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놓고 공포감을 조성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원전 사고가 발생했는데 일본에서는 제대로 된 조사조차 하고 있지 않으며 주변국에 정보 공개도 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괴담, 공포감 조성이라는 말 대신 공개적인 장소에서 원자력 전문가들과의 토론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16일 매일경제신문과 통화하면서 이번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 모두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제대로 된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 않은 점을 지적한 것"이라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공포감이 높아졌고 국내에서도 원전 비리, 원전 사고 등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원자력계가 자초한 일"이라고 화살을 원자력 업계로 돌렸다.
김 교수는 태평양 지역에 있는 고등어·명태·대구 등이 방사성 물질에 오염됐으니 전혀 먹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일본산 수산물을 검사하고 있지만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가 없다.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반론을 폈지만 김 교수는 "세슘과 요오드만을 조사했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세슘과 요오드뿐 아니라 플루토늄, 스트론튬 등 수백 가지의 방사성 물질이 흘러 나온다. 김 교수는 "세슘과 요오드는 검사하는 데 3시간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쉽게 검사가 가능하다"며 "다른 방사성 물질은 조사에 한 달 이상 걸리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산물에서 세슘이 검출됐다는 의미는 다른 방사성 물질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원전 사고에서 흘러나온 방사성 물질 중 세슘이 차지하는 비율은 1% 정도로 알고 있는데 제대로 된 정보 공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인체에 영향이 거의 없음에도 수산물·농산물 등이 오염됐으니 먹지 말라고 주장하는 것은 공포감 조성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식약처 측도 김 교수의 말이 상식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방사능이 방출되는 CT 촬영 등 모든 일은 '위험과 효과'를 감안해서 한다"면서 "300년 동안 수산물을 먹지 않는다는 것은 방사능이 제로 상태가 되어야 안전하다고 하는 것인데, 이는 상식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세슘 오염치 기준을 초과한 고등어를 1년 동안 매일 먹는다 하더라도 CT를 촬영할 때 받는 방사선량의 10분에 1 정도에 불과하다. 물론 이는 세슘 외에 방사성 물질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얘기다.
일본 땅의 70%가 방사능에 오염됐다는 주장에 대해 김 교수는 "오염의 의미를 서로 다르게 해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1년 11월 6일자에는 일본 도쿄대와 나고야대, 노르웨이대기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진이 일본 지역 토양에 쌓인 세슘의 양을 측정한 논문이 게재됐다.
논문을 살펴보면 일본 동부지역 상당수가 토양 1㎏당 5㏃(베크렐) 이하의 세슘이 쌓였다는 지도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일본 식품위생법 기준상 토양 내 세슘 농도 허용치는 ㎏당 2500㏃이다. 김 교수는 "세슘이 없어야 하는 땅에 방사성 물질이 쌓인 것은 맞는다"며 "여기에서 생산한 농산물에도 방사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의견 차이는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해석 차이로 발생한다. 학계에서는 이를 '문턱 없는 선형가설'이라고 부른다. 100m㏜(밀리시버트) 이상의 방사선에 피폭된 사람들은 암 발생률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하지만 그 이하의 방사선 피폭량에 대해서는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결론이 확립되지 않았다. 어떤 실험에 따르면 미량의 방사선도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나온 반면 또 다른 연구에서는 관련이 없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학계는 문턱 없는 선형가설을 토대로 한 규제에 동의하고 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 등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2006년 미국 국립과학원(NAS)은 이 문턱 값을 검토했지만 큰 문제가 없어 선형가설을 기준으로 방사능과 관련된 기준 법안을 만들고 있다.
김 교수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이후 60만명이 죽고, 30만명이 덜 태어났으며, 10만명이 이민 갔다는 주장도 했다. 그는 그러나 "(이 숫자는) 후쿠시마 원전 폭발 때문이라고 말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일본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오는데 그 자료에 표기돼 있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는 알 수 없다"며 "일본 정부가 조사해야 할 일인데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김 교수의 주장에 대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놓고 공포감을 조성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원전 사고가 발생했는데 일본에서는 제대로 된 조사조차 하고 있지 않으며 주변국에 정보 공개도 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괴담, 공포감 조성이라는 말 대신 공개적인 장소에서 원자력 전문가들과의 토론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