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2 대책은 성공일까

부동산 조회수 : 1,873
작성일 : 2017-10-14 20:46:18

이번 개포 래미안 강남 포레스트 계약에서 20프로가 계약 포기를 했죠.

중도금 대출이 막혔고, 자금 출처를 밝혀야 하고, 40프로 대출이라 점수 높은 청약통장 가진

평범한 서민들 60프로 대출 받아 개포 진입해 보려다 포기한게 저 만큼이었어요.

곳곳에서 드디어 강남 붕괴의서막이라며 좋아했는데.

래미안에서 한건지, 조합 결단인지

오늘 아침에 줄서서 계약금 5000만원들고 오면 추첨한다. 한거에요.

그럼.

이건 청약 당첨이 아니라 돈있는 사람들이 자금 출처 밝히지 않고 개포 재건축 물건을 살 수 있는 절호의기회가

찾아온 셈이죠.

오늘 아침 오픈 전부터 줄이 길더니.

오후 1시 정도에 마지막까지 안 팔린 50평대 두채가 계약 되었습니다.

개포가 4100~ 정도로 강남 입지치고도 그리 비싸지 않은 분양가여서 아마 돈 좀 있는 사람들 모인 결과로 보여요.

이걸 보니.

선의의 대책이 결국 서민들의 강남 진입을 막고 자기들의카르텔 형성을 공고화 하며 사다리 찬 결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앞으로 줄줄이 구반포, 반포 경남, 이하 수 많은 서초 강남 의 재건축 아파트들이 줄 서있고

일반분양을 하겠죠.

정부 눈치 봐 가며 분양가 자체가 어마어마 높지는 않겠습니다마는

이런식으로 자금 문제로 60점 이상의 무적 통장을 가지고도 당첨 후 계약 포기 세대가 꽤 될 듯 하고

그건 부동산 투기자들의 먹이감이 되는 게 아닌가..하는 예상을 하게 되네요.

IP : 61.78.xxx.20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어차피
    '17.10.14 8:49 PM (1.176.xxx.41)

    그동네는 서민이 사기에는 진입장벽이 높은곳이고
    그들만의 리그니 너무 염려마세요.

    돈있는 사람이 돈있는 사람에게 넘기는 공이니까요

  • 2. ...
    '17.10.14 8:51 PM (223.62.xxx.188)

    8.2 대책으로 부동산 양극화만 심해졌어요.대출규제로 돈없는 사람은 집사기 힘들어 졌고 현금부자들은 오히려 기회가 됐어요.

  • 3. 부동산
    '17.10.14 8:58 PM (61.78.xxx.204)

    개포 일반 분양을 그들만의 리그라 하기엔 저긴 30평대 12억 선이에요.
    저걸 가지고 그들만의 리그라 하진 않죠.
    50프로 대출 받아 분양 받으면 6억이면 사요.
    6억도 너무 많다 하면 할 말 없지만.
    요즘 서울시내 각 구 대장 아파트들 30평대는 6억도 없어요. 보통 8억이에요.
    그 사다리를 의도치 않게 걷어 차버린 거죠.
    포기한 20프로 생각해 보면요.

  • 4. 실수요는
    '17.10.14 8:58 PM (58.143.xxx.127)

    돈 정보 다 포기상태로 접하기 힘들어요.
    대출도 아주 적은 금액의 이자로 최장 20년에 걸쳐
    갚게 해주며 집값 동반상승같은게 따라주어야 그나마
    구입의지가 있을 겁니다. 당연 부자들에게 돌아가지요.
    8.2.대책 솔직히 보유세 같이 실시했어야 하지요.
    알지만 그냥 유보했다 생각합니다.
    양극화 극심해진건 사실이구요.
    그저 강남에 머물렀다는 이유로 10억 이상 자산 갖게
    되고 팔고사고 하면서 늘어난 부를 갖고 사는 이들이
    참 많지요.

  • 5. 어쨌든
    '17.10.14 9:03 PM (1.236.xxx.107)

    난 6억도 없어서 그저 남 얘기 같고
    강남주민이 되고 싶었던 사람들은 아쉽긴 하겠네요

  • 6. 부동산
    '17.10.14 9:04 PM (61.78.xxx.204)

    예.
    윗님 저와 생각이 비슷하시네요.
    저희 양쪽 부모님들이 딱 그런 케이스인데
    딱히 대단한 자산 없이 동작구, 동대문구(90년대 초반만 해도 동대문구가 서울시내 집값 탑 3위 정도 였더군요, 동대문구 회기동 넓은 주택) 살다가 강남개발 붐에 집 팔고 구반포, 서초동 각각 입성하신 케이스에요.
    대단한 소득 없이 집값 상승기를 잘 타서 부동산으로 어느정도 재산을 일구셨고
    이후 근처 동네들 재건축 한단 얘기 있는 작은 빌라 같은 거 매입하셔서 자식들에게 증여 하시고
    그 방법으로 자식들이 모두 강남 서초에 모여 살아요.
    생각해 보면 노동으로 번 재산에 비해 강남서초에 살았단 이유 하나도 벌어들인 재산이 훨씬 많고
    부동산 불패론을 믿고 계신 분들인데.

    그 상황이 더욱 심해져 가는 느낌입니다.

  • 7. ㅁㅁ
    '17.10.14 9:09 PM (39.7.xxx.1) - 삭제된댓글

    내년 3월까지 있는집들 정리하라고 예고하지않았나요

    뭐 그럼에도 강남은 안잡힐거라보지만

    전 좀더 지켜보자 입니다

  • 8. 6천
    '17.10.14 9:11 PM (1.176.xxx.41)

    부동산으로 자산일구는게 능력이라면 능력인데
    이걸 같은 부류가 할말은 아닌거 같아요.
    덜벌고 많이벌고

    한채가지고 있냐
    10채가지고 있냐

    이차인거 같아요.

  • 9. ...
    '17.10.15 12:32 AM (59.12.xxx.4)

    아마 포기한사람들은 대출 많이 얻어서 캡투자하려던 사람 아닐까싶은데요 사실 보면 샙투자더 불로소득이니 덩부의 규제나 이익환수는 당연하다고 보구요 6억대출은 사실 왠만한 고소득자아니면 불가능이죠 잘못하다간 이자율 높이 올라가면 망할수있는금약같은데요 집이 갑자기. 폭등하면 정부는 무슨짓이든해야죠 아마도 계속 오르려한다면 보유세도 들고 나올겁니다

  • 10. ??
    '17.10.15 10:52 AM (119.70.xxx.204)

    그들만의 리그를 공고화시키는게
    진보정권인가보죠
    학종도그렇고 부동산정책 사시없애는거
    행시도없앨거라면서요
    로스쿨출신들은 니네아버지뭐하시노 중요하잖아요
    최상위는 내버려두고 중간계층까지 하향평준화시키는게
    이번정부목푠가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8475 장서갈등글. 12 .. 2017/10/16 2,647
738474 노통은 혼자였으나, 문재인 대통령은 아니네요. 15 lenvan.. 2017/10/16 3,035
738473 걸어서20분정도 고등학교가는거 어떤가요? 15 조언부탁 2017/10/16 2,748
738472 포도즙 다이어트 시작! 17 크하하 2017/10/16 4,956
738471 다리찢기하다 비구순 파열되신분 3 질문 2017/10/16 3,341
738470 MB국정원 '김재철에 문건내용 전달' 정황..檢, 조사 방침(종.. 1 다스는 누구.. 2017/10/16 595
738469 시든 무 어떻게 요리해 먹어야할까요? 9 고민 2017/10/16 1,669
738468 쇠고기가 보약은 보약인가봐요 7 50대 2017/10/16 3,729
738467 정동진쪽에 새벽에 도착하면 10 ,,,, 2017/10/16 1,491
738466 비가 몇날며칠 오니 운동이 안되네요 2 .... 2017/10/16 789
738465 맨날 아프다고 하는지인 대처법좀 알려주세요 14 ㅇㅇ 2017/10/16 4,212
738464 문대통령 만난 엄지원/공효진 인스타 보니 하트가 뿅뿅 9 ........ 2017/10/16 3,604
738463 어린아이 돌보는 젊은부모들보니 짠하네요 16 ... 2017/10/16 4,598
738462 장서갈등 글에 댓글중 ..... 2017/10/16 705
738461 다스, 언론에 한 줄이 안나오네요 6 .. 2017/10/16 1,013
738460 오늘 춥네요 18 가을 2017/10/16 2,715
738459 입을 중심으로 동그랗게 주름이지네요.어디로 물어봐야해요? 3 주름 2017/10/16 1,779
738458 토락국 먹고 복통이 있을숟 있나요?.. 1 ;; 2017/10/16 915
738457 30년전에도 82가 있었으면 37 윌리 2017/10/16 4,048
738456 천년의 사랑 듣고 있어요. 박완규 2017/10/16 683
738455 발목 심하게 다쳐보신 분ᆢ 얼마만에 나으셨나요? 8 47세 2017/10/16 1,875
738454 아파트 못질 어느정도까지 허용하시나요? 3 공공의적 2017/10/16 1,186
738453 급) 알타리 무가 저를 째려보고 있어요 25 ... 2017/10/16 2,656
738452 엄마가 요양원에 계시는데 오래 못 가실 것 같다고 하네요 4 엄마 보고 .. 2017/10/16 2,656
738451 아이들이 먹을수있는 눈영양제도 있나요? 1 .. 2017/10/16 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