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한산성 보신 분들만 보세요~(스포 있음) - 역사학자 이야기

.. 조회수 : 2,019
작성일 : 2017-10-09 00:56:13

김상헌이 자결한 걸로 나오는데 아니라네요.

다른 지적은  몰라도 이건 사실대로 했어야 하지 않나요


'남한산성' 본 역사학자 "이 장면 왜 안 썼는지 의문"


© 제공: CBSi Co., Ltd. '남한산성' 본 역사학자 "이 장면 왜 안 썼는지 의문" 역사학자인 주진오 상명대 교수가 영화 '남한산성'을 본 뒤 "역사학자인 제가 느꼈던, 그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아쉬움 몇 가지만 말씀드리겠다"며 감상평을 전했다.



"첫째, 기록에 보면 최명길이 쓴 항복문서를 김상헌이 찢어 버리자 (최명길이) 이를 다시 주워모았다고 나옵니다. 그러면서 '조정에 이 문서를 찢어 버리는 사람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나처럼 주워 모으는 자도 있어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고 하지요. 이 장면이 들어갔으면 아마도 명장면으로 남지 않았을까요? 다른 부분에서는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왜 이렇게 실제로 널리 알려진 기록을 쓰지 않았는지 의문입니다."



그는 "둘째, 김상헌이 자결한 것으로 나오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 있습니다. 사실은 자결하려는 시도만 했지요"라며 설명을 이어갔다.

"그에 대해 최명길은 당시, 자결하려면서 사람들 앞에서 시도하는 것은 말려달라는 것밖에 안된다고 냉소를 보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김상헌이 주전론을 주장했던 홍익한, 오달제, 윤집처럼 청군 진영으로 넘겨진 것도 아니었지요. 그들은 심양까지 끌려가 처형을 당했습니다. 이들에 대해서도 영화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어요. 김상헌이 심양으로 끌려 간 것은 그보다 3년 후의 일이었습니다."



이어 "셋째, 영화에서는 최명길 혼자서 외롭게 항복을 주장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남한산성 내의 군인들은 항복을 주장하면서, 주전론자들에게 압박을 가했어요"라며 "그것이 당시의 민심이었고, 이 부분은 원작에도 나옵니다. 저는 오히려 이런 부분이 영화에 반영되었으면 더욱 더 리얼리티를 살릴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적었다.


"넷째, 최명길은 단순히 주화론자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강화도 가는 길이 막혀 할 수 없이 남한산성으로 인조 일행이 피신할 때, 홀로 청군의 지휘관 마부대 진영을 찾아가 항의담판을 함으로서 피신할 시간을 벌어준 사람입니다"라고 전했다.



http://www.msn.com/ko-kr/entertainment/news/남한산성-본-역사학자-이...

IP : 122.40.xxx.31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네이버 검색
    '17.10.9 1:12 AM (125.186.xxx.221)

    네이버 검색해보니 김상헌이 안동김씨의 근간이라고
    하던데요

  • 2. ...
    '17.10.9 3:04 AM (118.33.xxx.166)

    저도 자결부분이 아쉬웠어요.
    주화파는 최명길만 나오는 것도 그렇구요.

    후에 최명길과 김상헌이 심양 감옥에 나란히 갇혀
    서로 대화를 나누기도 했대요.
    김상헌 시는 당대 중국에서도 유명했다고 합니다.

    김상헌 후손이 순조의 장인 김조순인데
    김조순 이후 그의 형제와 자식들에 의해
    60년간 세도정치가 이어지죠. ㅠㅠ

  • 3. 예전
    '17.10.9 9:14 AM (118.222.xxx.105)

    예전 드라마에서 김상헌이 청나라 잡혀가면서 '가노라 삼각산아...' 그 시조 지었다고 나오고 학교에서도 그리 배운 기억이 나는데 영화에서 자결을 하니 좀 의아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8714 국민 연금 수급은.... 6 ........ 2017/10/13 1,725
738713 헉 날씨가 밤새 많이 추웠나봐요 ! 5 오잉 2017/10/13 3,513
738712 이영학 딸말인데요.. 9 ... 2017/10/13 6,788
738711 자식 키우면서 어떤게 가장 힘들다고 느끼시나요? 9 부모로서 2017/10/13 3,044
738710 겁내 춥습니다. 5 ... 2017/10/13 3,079
738709 Sk폰 장기고객이라고 1~2년간 할인 7 Sk통신사 2017/10/13 1,591
738708 영국사시는분들 16 아리송 2017/10/13 4,825
738707 아이들이 독립하니 너무 좋은 나 ,,비 정상인가요? 14 밥 지옥 2017/10/13 4,693
738706 남편이 이제 들어왔어요 2 아정말 2017/10/13 2,482
738705 비트코인..1억5천정도 투자했는데 3~4일만에 6500정도 수익.. 28 2017/10/13 25,046
738704 수지 성복동 롯데캐슬2차 분양 받아야 할까요??? 5 ㅇㅇ 2017/10/13 4,102
738703 아빠라고 부르다 나이들면 아버지로 부르나요? 6 호칭 2017/10/13 1,980
738702 일본 패션 잡지 관련한 며칠 전 글...기억하시는 분? 5 얼마전 2017/10/13 2,259
738701 안돼요,싫어요,도와주세요.라고 가르치시는 선생님, 부모님들께- .. 37 마우코 2017/10/13 46,177
738700 간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8 대학1학년 2017/10/13 2,643
738699 서울 아파트 지금 구매vs2년뒤 구매 2 ㅇㅍㅌ 2017/10/13 2,093
738698 정말 스필버그영화 마이너러티 리포트처럼 범죄예측시스템이라도 3 000 2017/10/13 1,208
738697 낮에 올렸었는데 퇴사하려고 해요(유부남추근거림) 12 짜증 2017/10/13 6,316
738696 유치원생이랑 엘리베이터를 같이 탔는데 ㅠ 7 2017/10/13 4,499
738695 옆집페인트칠 1 .. 2017/10/13 1,192
738694 마흔 살, 무슨 재미로 사시나요? 11 ㅁㅁ 2017/10/13 5,731
738693 스마트폰 뭐로 바꾸셨나요? 8 별바우 2017/10/13 2,066
738692 생각이 많은 밤이에요.. 3 가을 2017/10/13 1,578
738691 정석 푸나요? 아이 가르치게 제가 좀 예습하려고요 2 요새도 2017/10/13 1,406
738690 저만 집이 더운가요?;; 1 ㅇㅇ 2017/10/13 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