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 후 첫명절 고민입니다

헤헤 조회수 : 2,967
작성일 : 2017-10-02 20:01:16

안녕하세요.
5월에 결혼하고 이번이 첫 명절입니다.
결혼할때 양가 부모님 도움없이 햇고
매달 생활비 15씩 양가 드리고 있구요.
생신 10, 명절 20, 어버이날 20씩 드릴거구요.
물론 만날때마다 식사값도 저희가 냅니다. (보통 1회 10만원 이하)
평소 양가서 반찬 조금씩 갖다먹습니다.

이번에 첫명절인데요 시아버지 환갑도 겹쳐서
시댁엔 환갑용돈 100 드리고 식사 같이 하려하구요.
선물 작은거 사갈거구 (5만원정도?) 명절용돈은 따로 안드리려구요
저는 맞벌이하다 이번주부터 휴직 들어갔습니다(34주)
(휴직전에는 둘이 합쳐 월 500벌었구요. 월급은 둘이 비슷해요. 결혼때 갖고
온 돈도 비슷. 30대중후반 나이에 비해 둘이 모은 돈이 얼마 안되요.)
시어머니께서 남편이랑 통화중에 첫 명절이니 친정에 선물해야 하는거 아니냐고 하셔서 남편이 알아서 한다고 했는데요.
이렇게 되면 시댁도 친정도 양가 어르신 명의 선물까지 준비해야 할 거 같습니다.
친정은 요즘 저랑 사이가 안좋아서 왕래가 잘 없어서 신랑이 저렇게 대답한거 같은데 친정은 그렇다치고 이렇게 되면 시댁에도 저희 부모님 명의로 또 선물해야할거 같습니다.

신랑은 평소 저한테 매우 잘해서 저도 잘하려 노력합니다만. 가족 간에 돈 문제는 자꾸 연연해하고 계산하지 말자는 주의입니다.
평소 신랑 성품이 좋은지라 그 뜻은 제가 알겠지만 통상 드리는 용돈이나 이런 수준이 있는데 그런 부분은 신경을 쓰지 않으니 저는 그냥 속앓이 합니다. 돈 가지고 얘기하는것도 치사하기도 해서요..

어쩌면 좋을까요? 인생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릴게요

p.s 그리고 평소 사돈끼리 식사하고 술드시는게 종종 있는 일인가요? 시어르신들은 그렇게 하시길 원하시더라구요
IP : 49.143.xxx.11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0.2 8:05 PM (70.191.xxx.196)

    아뇨. 집안 나름이지만 왕래하는 거 꺼리는 집안이 더 많죠. 시어른들 원하는대로 다 들어줄 필요 없어요.

  • 2. 용돈
    '17.10.2 8:10 PM (119.207.xxx.27)

    처음부터 너무 과하게 시작하신듯, 이젠 한갑인데 무슨 매달 용돈을 드립니까, 생신에도 십만원에 식사정도로
    하시고 부모님 칠십팔십되시면 병원비 간병비로 도와드리세요, 이번에 휴직이시라니 정신차리시고 매달 용돈
    중단하세요. 남자들은 잘 모릅니다 앞으로 둘이 벌수있을때 열심히 모으세요. 애 생기면 육아비 교육비 앞으로
    돈 모으기 힘들어요 잠시 서운해도 눈 감고 돈 모으세요 제발:-)

  • 3. ,,,
    '17.10.2 8:13 PM (121.167.xxx.212)

    시댁이 능력이 없으면(사돈댁에 선물할 돈이 없고 자식에게 사라고 한다면)
    아들(원글님 남편)이 중간에서 자르고 양가 서로 선물 하지 마세요.
    시댁에서 선물하면 친정에서 그냥 방을수도 없어요.
    친정에서도 시댁으로 답례가 가야 하는데. 친정도 여유 없으면 중간에서
    원글님이 두군데 다 선물 해야 돼요.
    허례 허식이라고 중간에서 안해도 된다고 하세요.
    사돈끼리 만날일이 뭐가 있어요.
    손주 돐에 한번 봤어요.(결혼 4년차)

  • 4. .
    '17.10.2 8:17 PM (1.226.xxx.237) - 삭제된댓글

    양가 주고 받는 선물 하지마세요.
    안주고 안받으면 문제 없어요.
    시부모님 아직 젊으신데 용돈 줄이고
    원글님 살 궁리하세요.

  • 5. 새댁
    '17.10.2 8:24 PM (114.206.xxx.36)

    정신 좀 차리셔야할 듯.
    여기 부모님 생활비 부양 고민글 많으니
    읽어보세요.
    그리고 사돈끼리 선물은 무슨...
    불편한 사이에선 선물하는거 아닙니다.
    사돈끼리 친해지는 경우는 백만명 중 하나쯤.
    얽힐수록 흉만 늘어요.

  • 6. 시작
    '17.10.2 8:26 PM (121.200.xxx.126)

    환갑인데 용돈을 매달드리나요?
    70넘어서시작하셔도 병원치료니 뭐니 감당해야할일이많읉텐데요
    양가 선물도 양쪽 다 님네가 덤탱이쓰게될확율100% 시작을 마세요 처음부터
    시어른들 원하는거 다 해야하는거 아닙니다
    무슨 사돈끼리 친목할일 전혀없어요
    남편이 대답하게 미리 언질을 주세요 새며느리가 나서지말고

  • 7. ...
    '17.10.2 9:09 PM (222.232.xxx.179)

    새댁 정신차리세요
    양가 15만이면 한달 30×12=360
    생신 10×4=80
    명절 20×4 =80
    어버이날 20× 2 =40
    일년 560 이네요
    한달에 50만원 돈이 시집친정에 들어가는데
    너무 커요
    올해는 스페셜 환갑도 있잖아요
    그것도 ×4 될텐데
    좀 줄이셔야겠어요
    애 낳으면 내 애 기저귀 더 저렴한걸로 바꾸고
    그 돈이 시집, 친정으로 갑니다
    물론 내부모에게 들어가는 돈 아까워 하면 안되지만
    아직 젊으시니
    돈 모으세요

  • 8. ..
    '17.10.2 9:15 PM (222.120.xxx.20)

    주고받지 마세요.
    서로 죽이 잘 맞는 분 아니면(그런 경우 아주 드물죠) 왕래 안하고 사는게 피차 편해요.
    12년차인데 친정이 농사를 지어서 어쩌다 때가 맞으면 과일이나 쌀 드린 적 있는데 그때 시어머니도 생선? 선물 해주신 적 있어요.
    딱 한 번 뿐이에요. 어쩌다 양가 부모님 필 받으셨을때 ㅎㅎㅎ
    10년 넘었는데 그 한 번으로 충분하다 생각하고 있어요. 저뿐만 아니라 부모님들도.
    돈 아끼세요....
    저도 아직은 괜찮지만 이제 늙은 부모님께 돈 들어갈 일밖에 없어요.

  • 9. ..
    '17.10.3 8:32 AM (121.138.xxx.73)

    양가에 드는 비용.....과합니다.
    첫 단추가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스는군요.
    이게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양가의 친척들이 늘어나게되면 (형제,조카..그로인한 자잘한 행사)
    돈쓰임이 어마무시하게 늘어나거든요
    물론 결혼은 집안과집안의 문제이지만
    제 생각은 그 이전에 부부의 울타리의 문제라고 생각해요.
    둘이 생각하는 미래를 먼저 그려보고 그 방향으로 걸러가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7981 질문) 용인시청 근처 맛집 2 ... 2017/10/13 1,162
737980 정봉주 정치쇼에서 스브스 원일희란 기레기가.... 3 와아 2017/10/13 1,104
737979 에어쿠션이 화장 사기인거 같아요 16 2017/10/13 8,696
737978 예금은 어디에 하세요? 금리 그나마 나은 곳이 어딘가요 ㅠ 3 예금 2017/10/13 1,953
737977 원래 히트텍은 사이즈 교환 안되나요? 6 원래 2017/10/13 2,066
737976 아래 카플마누라인데요 22 ㅜㅜ 2017/10/13 4,906
737975 국감] 서울대·연세대 등 , 학종 전형에 학부모직업 평가반영!!.. 8 금수저 전형.. 2017/10/13 2,305
737974 알쓸신잡2 엄청 기대되요♡♡♡♡ 6 ..... 2017/10/13 2,399
737973 어느정도 기르면 뿌리염색 하세요? 8 뿌리염색 2017/10/13 2,986
737972 17개월 아기 다들 어떻게 이 닦이세요? 팁좀 주세요ㅜㅜ 7 곰순엄마 2017/10/13 2,255
737971 펌) 죄송... 댓글보니 잘못된 정보를 펌했네요.. 맨 아래 국.. 18 마음대로문 2017/10/13 3,698
737970 82님들 기억에 특별한 연예인있으세요? 16 .... 2017/10/13 2,607
737969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극적 합의...한중관계 돌파구 1 샬랄라 2017/10/13 568
737968 갤노트2 쓰시는분 계신가요? 31 튼튼 2017/10/13 1,585
737967 이영학 기사 내용 중 질문이 있어요 3 ㅡㅡ 2017/10/13 1,492
737966 주말에 뭐하시나요?! 2 노는 가족 2017/10/13 1,085
737965 운동발달 빠른 애들이 지능이 높은가요? 17 육아선배님 2017/10/13 4,677
737964 두 달 후에 뉴욕갈거라는 딸래미..주의점은요? 6 .. 2017/10/13 1,220
737963 밤에만 생기는 피부 가려움 어떻게 고치나요? 8 ... 2017/10/13 3,909
737962 mb, 그네, 최순실, 이재용... 우리 잊지말고 꼭 챙기자고요.. 2 그네들 2017/10/13 491
737961 청와대에 사법시험 존치 청원 열렸습니다. 서명 부탁드립니다. 11 Regina.. 2017/10/13 899
737960 신맛 안나는 구수한 원두 추천해 주세요 18 핸드드립원두.. 2017/10/13 7,499
737959 친구에게 말실수한듯해요 어떻게 사과하죠? 2 미안해서 2017/10/13 2,824
737958 욕실 청소 수세미 어떤 걸로 하세요? 6 잘 닦이는 .. 2017/10/13 2,148
737957 법원 "朴 재구속 여부 합의 중..재판 뒤 법정 밖서 .. 6 법원재구속하.. 2017/10/13 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