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1 아들 잠자리 독립 어쩔까요ㅜㅜ

아들 조회수 : 3,430
작성일 : 2017-09-22 13:41:41
작년에 8살, 4살 아이들 침대사서 작은방에
예쁘게 침대방 꾸며주고 잠자리 독립시켰어요.
그런데 여름에 작은방에 에어컨이 없다보니
안방에서 다같이 자다가 다시 침대방가서 자라고하니
무섭다고 못잔다고 하네요ㅜㅜ
워낙 겁이많고 소심한 아이라 억지로 시키긴싫은데
아. 저도 안방에 바닥에 깐 것도 이제 그만 치우고싶고
애랑 같이 자는것도 너무 피곤하고 그러네요ㅜㅜ 솔직히..
오히려 작은 아이는 제 침대에서 잘자고요.
무섭고 싫다는데 억지로 엄마랑 떨어뜨려 자게하는건 (동생이랑 같이 자는거지만) 아닌가요? 겁많은 아이라ㅜㅜ
비법 있으시면 좀 알려주세요ㅜㅜ
IP : 180.230.xxx.161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7.9.22 1:44 PM (61.106.xxx.81)

    초딩 고학년만되도 문닫고 안나와요
    좀만 참으세요
    한창 어리광부리고싶을때 마음껏 받아주세요

  • 2.
    '17.9.22 1:44 PM (116.127.xxx.144)

    1학년때부터 방 만들어줬는데
    결국,,,초5인가? 그때부터 혼자 좀 자더군요.....

    그전엔 계속 같이 잤어요. 주말부부라.

    해보고 안되면,,,,그냥 시간이 흐를때까지 두는것도 방법

  • 3.
    '17.9.22 1:44 PM (125.185.xxx.178)

    아이가 잘때 방에 led등 약하게 켜고 재우세요.
    아들은 아들침대에 재우고 엄마는 바닥에서 며칠 자다가
    조금씩 안방쪽으로 이동해서 잠.
    그러다가 서로 방문열고 잠.
    나중에 문 닫고 잠.

  • 4.
    '17.9.22 1:44 PM (39.7.xxx.159)

    아직까지 다같이 자요 때가되면 저절로 혼자자요

  • 5. 아들
    '17.9.22 1:48 PM (180.230.xxx.161)

    역시 지금 당장은 안되는건가요...OTL
    좌절이네요ㅜㅜ
    그전에도 저나 아빠가 들어가서 재우고 잠든거 보고나오거나 너무 피곤하면 같이 자거나ㅜㅜ
    은은한 조명도 해주었고요..

  • 6. 굳이 떨어트려 놓을 필요가 있을까요
    '17.9.22 1:48 PM (211.245.xxx.178)

    초등6학년 중학 들어가면 아들들도 다 떨어져서 엄마는 옆에도 못오게 하는때가 곧입니다.
    그렇게 늦게 까지 끼고있냐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실보다는 득이 많다고 생각해서요저는.

  • 7.
    '17.9.22 1:50 PM (116.127.xxx.144)

    맞아요.윗분들 말대로
    좀 커면....우리앤 고1남..
    엄마가 방에 조금이라도 있는거 자체를 싫어하는 날도 옵니다 ㅋㅋㅋㅋ

    그냥 그시기 즐기세요~

  • 8. 아들
    '17.9.22 1:50 PM (180.230.xxx.161)

    안방 청소기밀다가 바닥에 깔린거 먼지 잔뜩 묻은거보니 짜증이 확..올라와서요ㅜㅜ 이럴꺼 침대는 괜히 왜 사줬나 몰라요...에휴

  • 9. 그냥
    '17.9.22 1:52 PM (175.209.xxx.57)

    아들 원하는 대로 해주세요. 애들마다 다르니까요.
    그 시절은 다시 돌아오지 않아요. 저는 너무 그립네요. 초6때만 해도 엄마랑 자고 싶다고 밤마다 보챘었는데 ㅠㅠㅠ

  • 10. ...
    '17.9.22 1:57 PM (58.143.xxx.21)

    저도 같은상황인데요 억지로 떼어놓으면 애가 날밤새드라구요 그냥 포기함

    저도 등이쑤시고 이불땜에 바닥청소 지겹네요

  • 11. 억지로 떼지 마시고 같이 자세요
    '17.9.22 1:59 PM (211.117.xxx.234) - 삭제된댓글

    우리 아이들도 늦게까지 안떨어졌어요.

  • 12. ㅇㅇ
    '17.9.22 2:13 PM (125.180.xxx.185)

    우리 아들도 엄청 늦은 나이까지 안 떨어질거 같은.
    자기 침대는 인형들만 잔뜩 자고 엄마아빠 침대 당연히 자기 침대인줄 알아요. 얌전히 자는 것도 아니고 굴러다니면서 자고. 아빠 보곤 꼭 옆에서 자라 그러고 ㅋㅋ

  • 13. ㅡㅡㅡㅡ
    '17.9.22 2:19 PM (116.37.xxx.99)

    울애는 중3인데 아직도 같이 잡니다
    어제도 새벽에 제이불 홀딱 뺐어가서 자다가 어이없었어요
    제 큰애는 20살인데 친구중에 아직도 혼자못자는애있어서
    한번씩 가서 자고 와요 울집에 델고 와서 자기도하고..
    징해요

  • 14. 저는
    '17.9.22 2:28 PM (49.143.xxx.240)

    아들과 딸이 자연스럽게
    초등될때부터 떨어져 잤어요
    한번도 떼어 놓을려고 애써본적이 없어요
    방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분위기로
    원하는대로 꾸며주었구요(제맘엔 좀 안들어도)
    자신만의 공간이라고 엄마도 노크하고 들어오라고 하더라구요

  • 15. 네?
    '17.9.22 2:29 PM (180.230.xxx.161)

    20살이요?????????? ㅜㅜ

  • 16. ...
    '17.9.22 2:57 PM (203.244.xxx.22)

    전 아직 6살 짜리라 같이 자는데, 저도 아이 냄새 맡으면서 자면 좋은 점도 있는데
    다른것보다 수면의 질이 너무 떨어져요...ㅠㅠ
    하루에도 몇번씩 중간에 깹니다...
    360도 돌면서 자서 발로 절 막 퍽퍽 차구... 절 막 베고 자고..
    제가 쫌만 뽀시락 거려도 같이 뒤척거리고.
    남편이랑 나이들면 왜 각자 침대쓰는지 알거같더라구요.

  • 17. 루루
    '17.9.22 3:18 PM (118.34.xxx.194)

    저희애도 중3 남자예요.아직 같이 잡니다^^ 때되면 혼자 자려니 합니다~

  • 18. 쥬쥬903
    '17.9.22 3:31 PM (218.55.xxx.76)

    전 일부러 다시 합방해요.
    열나고 아파 밤새 우눈데도
    겨울에 각자 문닫고 자니
    안들려서 ㅠㅠㅠ
    언제부터 혼자 울넛을까 생각하니
    억장이 무너져요.
    두번을 경험하고선
    옆에 끼고 자눈게 좋다싶어요

  • 19. 쥬쥬903
    '17.9.22 3:32 PM (218.55.xxx.76)

    애입장에선 자다 3분만 혼자 울엇어도
    3시간같앗겟죠.

  • 20. 전 무조건
    '17.9.22 4:26 PM (14.45.xxx.221)

    가서 자라고 했어요.징징대던 말던.
    같이자니 신경쓰이고 영 잠을 푹 못 자겠더라구요.
    일단 스텐드 켜주시고 자라고 해주세요.
    5분만 의자에 앉아있다가 나오시구요.
    정이 많은 나라여 그런지 다큰애랑 같이 자는 부모님들 참 많으시네요.

  • 21. 근데.
    '17.9.22 5:53 PM (112.150.xxx.194)

    일찍 독립시키면 아플때는 어떻게 해요?
    애들 열나면 힘들어하잖아요.
    불러도 못듣고.
    그럴땐 옆에서 자는건가요.?
    저도 이제 독립시키려는데. 쉽지가 않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2329 둔촌동 주공아파트 아세요? 14 그리운 2017/11/28 3,174
752328 영화 좋아 하시는 분들 6 질문 2017/11/28 1,354
752327 폐업신고 할때..... 2 소리 2017/11/28 1,072
752326 아파트 난관외에 다른 표현 없을까요? 4 ... 2017/11/28 1,336
752325 강남구청 5 gfsrt 2017/11/28 970
752324 당뇨)) 120에 잠들었는데, 왜 아침에 일어나면 140일까요?.. 8 ar 2017/11/28 2,841
752323 고려대 영어교육 / 춘천교대 31 대학면접 2017/11/28 5,770
752322 지병땜에 자꾸 기분이 가라앉아서 속상하네요 3 ㅇㅇ 2017/11/28 1,628
752321 jsa 군인자격조건 6 궁금 2017/11/28 2,631
752320 도쿄 시부야역에서 열린 위안부 촛불집회 richwo.. 2017/11/28 706
752319 집매매시 취득세 등록세요 10 ㅇㅇㅇ 2017/11/28 2,666
752318 자식키우기 너무 힘들어요 21 . 2017/11/28 8,023
752317 무도에서의 그 참신함은 어디로가고 탐욕에 찌들은 얼굴로 6 국당 장진영.. 2017/11/28 3,462
752316 몽클레어 직구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ㅜㅜ 7 질문 2017/11/28 4,026
752315 아침 연소극 역류 1회부터 보질못핵어됴 1 555 2017/11/28 990
752314 2001년생 남자 아이 2년째 키가 안크고 있어요.. 9 ... 2017/11/28 2,729
752313 조말론 향수중에서 딱 하나만 산다면 어떤걸 추천하시겠어요? 12 추천 2017/11/28 6,310
752312 면허따려고 학원에 등록했는데, 필기 첫날엔 뭘하나요? 4 호박냥이 2017/11/28 1,312
752311 교인수 10명인 개척교회는 어떻게 유지되요? 11 2017/11/28 3,870
752310 완경인줄 알았는데 십개월만에 다시 시작 6 .. 2017/11/28 3,152
752309 신광렬 판사, 김관진 석방기사는 전형적인 패턴이 보이네요. 3 2017/11/28 1,328
752308 사,오십대 오빠 있는 분들 자랄 때 39 .4050 2017/11/28 7,289
752307 노무현 국밥집 수사와, MB의 뻔뻔함. 정치보복이라고? 5 MB의 부정.. 2017/11/28 2,196
752306 크리스마스때 부산 방문하는 직장동료가족 식사접대 어디가 좋을까요.. 식사 2017/11/28 950
752305 겨울방학이 시작되면 원룸 빈방이 많아 질까요? 2 원룸 2017/11/28 1,684